과학기술원,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27일(월)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3개 과학기...
뉴스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수업만으로 학사학위 취득 가능 내년부터 사이버대학이 아닌 일반대, 전문대에서도 강의실에 나가지 않고 온라인 수업으로만 대학 졸업장을 얻을 수 있게 됐다. 대학 4곳에서 내년에 입학할 신입생 모집이 허용됐다.교육부는 '제3회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과정' 심사를 마치고 신청한 대학 7개교 중 4개교의 학...
오피니언 [조동일 칼럼] 설명과 논증 [민경찬 칼럼] 한국대학 힘들어도, 정신은 깨어있자! [대학직설] 대학과 지역의 협력과 상생을 위한 교수의 역할 [아카데미쿠스] AI 시대에 대처하는 지식 교육의 접근 방향 [교수논평] 낡은 사고에서 벗어나자 - 〈대학무상교육이 해법이다〉 [이상룡 칼럼] 심심한 사과, 특수한 교과
최신뉴스 전남대 박영준 교수, 대한치과의사협회 대상 학술상 선정 과학기술원,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일반대학에서도 온라인 수업만으로 학사학위 취득 가능 KAIST, 김인중 초대전시 ‘빛의 전언(傳言)’개최 IBS 카이스트/포스텍 캠퍼스 준공 7개 대학교수단체, 이주호 만나 ‘시장만능주의 대학구조조정 정책’ 철회 촉구 교수·연구자 단체 “윤석열 정부의 최악 외교참사 및 한미일 신냉전 획책 규탄” 비수도권 대학 30곳 ‘글로컬대학’으로 육성…1개교 당 총 1000억 지원 고려대, 국내 대학 최초 ChatGPT 활용 가이드라인 제정 한국사학진흥재단, 2023년도 사립대학 구조개선 지원사업 시행…재정진단·진단컨설팅·경영자문 중심으로
전남대 박영준 교수, 대한치과의사협회 대상 학술상 선정 전남대학교 박영준 교수(사진)가 국내 치의학계 최고의 학술상으로 평가받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대상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박태근)는 3월 21일 제11회 정기... 경북대 평의원회 의장에 비정규직 교수 당선···전국 최초 KAIST 이재우 교수, 미국화학공학회 석학회원(AIChE Fellow) 선임 서울대 제17기 후반기 평의원회 신임 의장 및 부의장 선출 제29회 용재상에 에드워드 슐츠 하와이대 명예교수
대학단신 KAIST, 김인중 초대전시 ‘빛의 전언(傳言)’개최 IBS 카이스트/포스텍 캠퍼스 준공 고려대, 국내 대학 최초 ChatGPT 활용 가이드라인 제정 대학 우수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촉진…투자환경 개선 ‘원하는 전공 직접 만들어 학위 받는다’
인기기사 1 고려대, 국내 대학 최초 ChatGPT 활용 가이드라인 제정 2 7개 대학교수단체, 이주호 만나 ‘시장만능주의 대학구조조정 정책’ 철회 촉구 3 ‘빌딩’과 ‘빌둥’ 4 비수도권 대학 30곳 ‘글로컬대학’으로 육성…1개교 당 총 1000억 지원 5 지역대학의 생존을 위한 근원적 방향성 찾기
학술·연구·교육 강의 시간에 스피닝을 하겠다고? 인문예술 스피닝 수업을 개설하다5년 전쯤으로 기억합니다. 수업 도중 학생 하나가 조심스레 자리에서 일어납니다. 이내 내 눈치를 슬금슬금 살피는가 싶더니, 강의실 맨 뒤쪽에 가 섭니... [학술평론] 엔데믹 시대의 한중관계 발전을 위한 제언 우리 사회는 길고 어두웠던 팬데믹의 터널을 지나 바야흐로 엔데믹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2023년 3월 2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병원 등 일부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하고 마스크 착용 ... [KEDI BRIEF] 국가의 대학재정투자가 필요한가? 정부의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설치 등 고등교육 재원 확보 및 투자 규모 확대 노력을 계기로 국가의 대학재정투자 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 [KIRD 이슈 페이퍼] 박사후연구원 전담기관 설립 시급하다…교육·멘토링 지원과 소통 채널 운영도 필요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 인력 및 통계조사, 독립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전담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또한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경로 다양화를 지원할 수 있는 교... [열린연단]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위기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41강_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위기」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버 ... [통계뉴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재교육을 통한 연구 전문성 강화 요구 높아 한국은 IT강국이라 하지만, 과학기술 패권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과학기술 인재의 확보와 육성이 시급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 기관 재직자 대부분... [학술평론] 동아시아 시각에서 일본의 정신세계 파헤치기 ② - 습합과 작위로 빚어낸 기묘한 사상사 ■ 동아시아 시각에서 일본의 정신세계 파헤치기 ② - 습합과 작위로 빚어낸 기묘한 사상사 신불교와 유교, 병학-무사도의 ‘이이토코토리’- 무위국가(武威國家)의 무위이치(武威而治) ... [NRF 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021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성과분석보고서〉 발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산출된 성과 중 2021년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실적은 총 19,078건(기여율 고려 시 12,639건)으로 나타났다. 전문학술지 논문실적 중 ...
연구성과 KAIST, 양자컴퓨팅 원자를 던지고 받는 기술 개발 양자컴퓨터의 기본 구성요소인 원자를 이동하여 배치하는 기술은 리드버그 양자컴퓨팅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원자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려면, 일반적으로 광 집게라고 불리는 매우... 세종대 홍석륜 교수, MIT 연구진 등과 공동으로 ‘Nature Nanotechnology’에 논문 게재 세종대학교 홍석륜 교수가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김지환 교수, 김현석 박사 등과 공동으로 첨단 리모트 에피택시 기술을 시연하고 규명함으로써 헤테로-인티그레이션 및 멤브레인 ... 미세유체칩 기반 3차원 피부-신경 연접 모델 개발 고려대학교 정석 교수팀(공과대학 기계공학과/KU-KIST융합대학원/KIST뇌과학연구소)은 미세유체칩을 이용, 피부세포(keratinocyte)와 감각신경세포(DRG neuron)를... 암전이 유발하는 세포택배 ‘엑소좀’생성 원리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가 배출하는 세포외소포체(EVs)의 일종으로 세포 간 정보교환과 신호 전달을 위한 메신저 역할로 ‘세포 간 택배’, ‘세포계의 아바타’로 불린다. 암세포는 자신에게... 화학적 안정성 뛰어난 ‘이산화티타늄 나노플라워 기반의 시냅스 소자’ 개발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김태근 교수 연구팀이 ‘이차원의 티타늄카바이드(Ti3C2Tx) 맥신(MXene)에서 유도된 3차원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플라워 구조’를 시냅스 소자에... KAIST, 발열 40% 낮춘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기술 구현 디지털화된 현대인 생활 속에는 웨어러블,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미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데 특히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위한 스마트 글라스 등 디바이스의 경우에 완벽... 약물 독성 미리 알아보는 인공신장 개발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 생체에 유독하고 불필요한 물질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 한국교원대 이시우 교수팀, 고체-액체 계면 핫전자 거동 세계 최초 규명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이시우 교수팀이 KAIST 화학과 박정영 교수팀과 함께 고체-액체 계면에서의 핫전자 거동을 실험적으로 최초로 관찰하는 데에 성공을 했다.핫전자(hot el...
현안·이슈 [디지털포용 지표] 취약계층 디지털정보화·웹 접근성 수준 개선…일반국민 스마트폰 과의존 비율 감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과 관련된 사회 현황 진단을 위해 디지털정보격차, 접근성, 스마트폰과의존 분야 2022년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번에 발표한 실...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 세계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감소하는 추세가 발견되면서 그 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안됐다. 이러한 노동소득분 배율의 감소는 소득불평등의 심화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노동소... [이슈와 논점] 프랑스 의회 선거제도…프랑스 상원 및 하원 선거에서의 결선투표 프랑스 선거제도는 안정적인 의회 다수당 형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랑스 하원은 소선거구 다수대표제와 결선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상원의 경우 별도로 선발된 선거인... [이슈 브리프] 언어모델, 사람과 소통하다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고의 과정과 지식의 표현 및 보존에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자연 발생적 기초 체계이다. 자연어를 컴퓨터가 이해하거나 생... [이슈&포커스] 사회적 취약계층, 재난에 더 취약…자연재난보다 사회재난에 대한 불안 더 커 사회계층별로 재난불평등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계층이 낮은 사람이 재난에 더 취약했으며, 개인적 취약성을 보완해 주어야 할 정부의 지원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이슈와 논점] 일본 중의원 ‘소선거구·비례대표 병립제’…참의원 ‘중·대선거구제와 전국단위 비례대표제’ 일본 국회는 1947년 시행된 현행 헌법에 따라 중의원(衆議院, 하원) 및 참의원(参議院, 상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 의원(議院)은 각각 다른 선거제도를 통해 의원(議員)을 ... [KISTEP 포럼] "디지털 강국 넘어 양자강국으로"…‘양자컴퓨팅’ 경쟁력 확보 위한 전략은? 특정 연산에 대해 기존 컴퓨터보다 월등히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로,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국의 집중적인 양자컴퓨팅 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보스턴 컨설팅그룹(BCG)에 의하... [선거제도 시리즈]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 선거제도마다 장단점이 있다. 독일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장점을 결합한 모델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지역구선거를 통해 지역민의 직접대표를 뽑으면서도 전국수...
기획 · 연재 · 문화 〈음악과 철학 사이〉 아이유 … Celebrity ■ 김광식 교수의 〈음악과 철학 사이〉 “세상의 모서리 / 구부정하게 커버린 / 골칫거리 outsider걸음걸이, 옷차림 / 이어폰 너머 playlist / 음악까지 다 minor... [생활에세이] 나의 극단적인 선택 ■ 김영명 교수의 〈생활에세이〉 1980년대 미국 유학 시절에 (많이 늙은 나!) 텔레비전을 보는데 어떤 소련 출신 사나이가 나와서 미국의 언론 통제나 소련의 언론 통제가 마찬가지... [계간 '문화과학'] 10·29 이태원참사, 책임과 애도의 윤리 사라지고, 애도의 통치만 남아 ■ 『문화/과학 (2023년 봄 통권113호) - 애도와 책임, 10·29 이태원참사』 | 정원옥·이동연 외 16명 지음 | 문화과학 편집부 엮음 | 문화과학사 | 310쪽 | 2... [법률과 사건으로 보는 조선시대]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악행, 십악 ■ 심재우 교수의 ‘법률과 사건으로 보는 조선시대’범죄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법규를 어기고 저지른 잘못이라고 나온다. 우리는 종종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범죄를 천인공노할 짓이라...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발달과 현대 생물학 ■ 김환규 교수의 〈과학에세이〉 현미경의 발명에 의해 미생물이 발견되었고 모든 생명체의 기본 단위가 세포라는 세포설이 제기되었듯, 생물학은 새로운 도구의 출현 및 기술 발전과 그 ... [말로 푸는 역사 기행] 고려시대 雙花店은 만두가게인가, 보석가게인가, 색주가인가? ■ 연호탁 교수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사모사(samosa)는 서역 사람들이 좋아하는 일종의 군만두 내지는 야채 튀김이다. 원뿔, 반달 모양 등 지역차가 있지만 주로 삼각형 모... [여행이야기] '예술의 끼가 흐르는 마을'…안동 예끼마을 선성수상길 ■ 류혜숙의 '여행이야기'_ 경북 안동 예끼마을 선성수상길 호숫가 구릉진 땅에 마을이 있다. 집들은 호수를 바라보며 차곡차곡 앉았다. 저 물밑에 마을 사람들의 고향집이 있고, 공부... [류근조 詩房] 든든한 친구 - '아내'라는 이름의 변천사 류근조(柳謹助) 논설고문/중앙대학교 명예교수·시인 전북 익산 출생. 인문학자. 雅號 이경(裡耕). 1966년『문학춘추』로 등단. 시집《나무와 祈禱》, 《목숨의 盞》, 《입》, 《날...
북캐스트 [리베르타스] 인간을 믿는다는 어려운 일 - 『휴먼카인드』 그렇다, 나도 언젠가부터 인간은 악하게 태어난다고 생각해온 것 같다. 자기만 알고 자기 것만 챙기는 존재라고, 교육과 규율을 통해 그나마 인격을 갖출 수 있다고 말이다. 내가 평소... [저자 인터뷰] 문장의 과학 ■ 저자 인터뷰_ 『문장 분석』 (김의수 지음, 하우, 476쪽, 2023.02) ▶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 그동안 우리말의 문장을 올바로 분석해 줄 수 있는 틀을 ... [나의 테제]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 우리는 연관성 초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 나의 테제_ 『포스트매스미디어: 연관성 위기에서 초위기로』 (김용찬 지음, 컬처룩, 576쪽, 2023.02) 스마트폰, 소셜미디어, 4차 산업혁명, 블록체인, 자율주행차, 스... [저자에게 듣는다] 내러티브, 교육을 만나다 ■ 저자에게 듣는다_ 『내러티브와 교육: 삶, 앎, 그리고 가르침』 (강현석 지음, 경북대학교출판부, 746쪽, 2023.02) 본 저서는 인간의 전체적 삶의 모습을 내러티브 존재... [서평] 아직 오지 않은 것을 번역하기 ■ 서평_ 『광장과 젠더: 집합감정의 행방과 새로운 공동체의 구상』 (소영현 지음, 갈무리, 464쪽, 2022.11) 이 책을 분류하자면 문학이나 비평의 갈래에 속하겠지만, 과감... [옮긴이 에필로그] 위잉스의 눈으로 본 현대 중국사와 중국학 ■ 옮긴이 에필로그_ 『위잉스 회고록: 1930~2021 텐진에서 하버드까지』 (위잉스 지음, 이원석 옮김, 마르코폴로, 400쪽, 2023.02) 재작년인 2021년 8월 1일 ... [저자에게 듣는다] ‘문학 철학’을 꿈꾸며 2 ■ 저자에게 듣는다_ 『문학의 깊이와 철학: 문학과 철학의 해석학적 만남』 (박유정 지음, 인간사랑, 300쪽, 2023.02) 바슐라르는 인간의 몽상을 분석하여 물질적 상상력을 ... [책을 말하다] 문자 훈민정음과 문헌 『훈민정음』을 문화중층론의 관점에서 해석하다 ■ 책을 말하다_ 『훈민정음의 문화중층론: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해석』 (백두현 지음, 경북대학교출판부, 1108쪽, 2023.02) 지금까지 문자 훈민정음과 문헌 『훈민정음』에 ...
신간소개 우리는 오늘날 과연 마녀 프레임을 벗어났는가? KAIST 김대식, 기계와의 대화를 시도하다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도덕경』, 우리가 살길(道), 우리가 살 힘(德) 디지털화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18세기에서 20세기까지, 주제별로 바라본 러시아 문학사 21세기 미국의 침략 전쟁 실패사失敗史 인류는 언제부터 수학에 관심을 가졌고, 실생활에 적용해왔을까?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인간은 모두 죽음을 향해 달려간다. 우리는 그것을 삶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