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 육성 주관대학 15곳 선정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미래자동차 분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양성” 사업을 주관할 15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교육부와 산업부가 함...
정책·이슈 박순애 교육부 장관 임명 강행…교육계 반발 "부적격, 무지한 인사" 각종 논란 속에 윤석열 정부 첫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박순애 서울대 교수가 4일 임명됐다.박 교수는 김인철 후보자의 낙마 이후 지난 5월 26일 교육부장관에 내정됐고 국회 원 구성이 미뤄지면서 39일 만에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은 채 임명이 강행된 것이다. 하...
오피니언 [고성빈 칼럼] 정치 허무주의가 남긴 것 [조은영 칼럼] (거의) 모든 길은 문화예술로 통한다 [조원형 칼럼] 학생은 고객이 아니다 [교수논평] 국가 운영의 기본 질서 훼손을 주목한다 [시론] 기후 위기와 보복 소비 [시평] 플랫폼 경제시대의 규제혁신
최신뉴스 2022년 7월 과학기술인상, 서울대 권성훈 교수 선정 과기정통부,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협의회’ 개최 박순애 교육부 장관 임명 강행…교육계 반발 "부적격, 무지한 인사" 허준이 교수,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 수상…한국계 수학자 최초 강원대 정성훈 교수, 「대한지리학회」 차기 학회장 선출 건국대병원 하지현 교수, 한국정신신체의학회 이사장 취임 전남대 길영우 교수, 한국암석학회장 취임 5개 대학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조성…3년간 18억 지원 미래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 육성 주관대학 15곳 선정 2022년 K-MOOC 신규 강좌 추가 선정 결과 발표
허준이 교수,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 수상…한국계 수학자 최초 재미동포 수학자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 수학과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했다. 세계수학자대회 126년의 역사... 2022년 7월 과학기술인상, 서울대 권성훈 교수 선정 강원대 정성훈 교수, 「대한지리학회」 차기 학회장 선출 건국대병원 하지현 교수, 한국정신신체의학회 이사장 취임 전남대 길영우 교수, 한국암석학회장 취임
대학단신 과기정통부,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협의회’ 개최 메타·서울대, 메타버스 연구 손잡았다…'XR허브 코리아' 출범 2022년 K-MOOC 신규 강좌 추가 선정 결과 발표 미네르바 대학 창립학장 스티븐 코슬린 교수, 서울대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전(全) 공공기관, 32만 국가인물정보 직접 검색 가능
인기기사 1 학생은 고객이 아니다 2 ‘등록금 규제·재정지원·획일적 평가’ 등 관련 정책 손본다…조만간 결론 3 박순애 교육부 장관 임명 강행…교육계 반발 "부적격, 무지한 인사" 4 플랫폼 경제시대의 규제혁신 5 (거의) 모든 길은 문화예술로 통한다
학술·교육 [정책연구보고서] 인문사회분야 연구성과물 플랫폼(기초학문자료센터: KRM) 고도화 로드맵 제안 OECD에서 발간한 Recommendation of the Council concerning Access to Research Data from Public Funding 보고서는... [글로벌 고등교육] 미국 10개 대학, 페이스북 지원으로 현실캠퍼스·가상캠퍼스 결합하는 메타버시티 프로젝트에 동참 ▶ 최근 미국의 10개 대학기관이 현실 공간의 대학과 가상세계를 결합한 이른바 ‘메타버시티(metaversities)'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서명했다. 페이스북(Fa... [심포지엄]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지식 저작물 저작권 보호와 공유의 가능성을 논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하 ‘한중연’)은 “국내외 학술지식 저작물의 정보 공유와 저작권”이라는 주제로 6월 29일 문형관 대회의실(B107)에서 을 개최했다.최근 국내에서 지식정보 사유... [동북아역사재단] 中, 동북공정 이후 역사왜곡 고대서 한국사 전체로 확대…한중간 역사·문화 갈등 심화될 것 중국 역사학계가 2007년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종료한 이후에도 자국 중심으로 주변국 역사를 재단·왜곡하는 패권적 역사 인식을 지속·심화하고, 한중 갈등의 골도 깊어진 것으로 분석... [불교연구 100년] 한국불교史·불교學 연구 100년 총결산! ■ 『한국불교학연구: 한국불교연구 100년 논문선』 | 고영섭 엮음 | 민족사 | 2022.05.20 | 816쪽■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연구 100년 논문선』 | 고영섭 엮음... [학술회의] ‘동서양 사회통합의 정치사상’ 한국정치사상학회(회장 안외순 한서대 교수)는 지난 6월 18일(토) 서울대학교 종합교육연구동 201호에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과 공동주최로 를 주제로 한 공동학술회의를 개최했다... [교육정책포럼] 「균형발전과 대학」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혁신의 과제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6월 16일(목) 오후 2시부터 대전 인터시티 호텔에서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균형발전과 대학... [R&D BRIEF] 2021년 기초연구본부 평가 및 평가위원 활용 현황 분석 한국연구재단은 평가의 전문성·공정성 제고를 위해 2021년 기초연구본부에서 시행한 평가 및 평가에 참여한 평가위원 현황을 분석한 R&D 브리프를 발간했다. 분석 대상은 기초연구사업...
연구성과 KAIST, 합성색소 문제를 해결하는 미생물 기반 천연색소 생산을 위한 시스템 대사공학 전략 제시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신디(Cindy Pricilia Surya Prabowo) 박사과정생과 은현민 박사과정생을 포함한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기반의 천연색소 생산... ‘도장 찍듯이’ 한 번에 세계 최고 효율의 메타 홀로그램 찍어낸다 최근 ‘맘마미아’ 노래로 유명한 가수 ‘아바(ABBA)’가 40년의 공백을 깨고 홀로그램 콘서트를 연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무대에는 1970년대 모습을 재현한 홀로그램 아바타... KAIST, 새로운 인공지능 형광 현미경 적용, 뇌 신경세포 등 3차원 고화질 영상기술 개발 KAIST는 김재철 AI 대학원 예종철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 장성호 교수팀, 포스텍 김기현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형광 현미경의 오랜 문제인 이방성(Anisotropy)을 해... 활성산소에 의한 꽃의 탈리 조절 메커니즘 규명 이유리 서울대학교 조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팀은 활성산소의 대사가 식물의 꽃잎이 떨어지는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꽃잎, 과일, 씨앗등의 식물... 전남대 허민 교수팀, 세계 최초 익룡 군집생활 증거 화석 발굴 전남대학교 허민 교수팀이 익룡들의 군집생활을 증명해 주는 화석을 세계 최초로 발굴해, 관련 학계와 공룡마니아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전남대 허민 교수(지구환경과학부. 한국공룡연구센터... KAIST, 팔라듐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고민감도·고신뢰성 무선 수소 가스센서 개발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와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서민호 조교수(KAIST 박사 졸업) 연구팀이 넓은 범위의 수소가스 농도를 무선으로 검출하는 고 민감도 센서 ... 청년기 자해 행동, 사회경제적 지위가 크게 영향 미쳐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태에 처할수록 자해 행동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하려는 목적 없이 수행하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자해 ... KAIST, 인공지능 이용하여 3차원 홀로그래피 현미경의 박테리아 신속 식별 기술 개발 KAIST는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 연구팀이 홀로그래피 현미경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속 박테리아 병원균 식별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병원균의 조기 식별은 감염질환 치료에 필...
현안 · 이슈 [삶의 질 측정 포럼] "한국인 행복 수준, 경제적 성취에 못 미쳐"…국가행복지수 146개국 중 59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현황을 진단하고 정책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의 장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한국인의 행복 수준은 경제적 성취에 미치지 못한다며, '일과 삶의 ... [시선과 논단] 모빌리티의 미래, 세상의 변화 모빌리티 혁신이 주목받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나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개인형 이동수단과 같은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을 비롯하여 플랫폼 기반 여... [이슈앤포커스] 소득과 재산 많은 노인도 사회적 불안 높아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적 불안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한 노인은 적응·안전 불안과 불공정·경쟁 불안이 은퇴하지 않은 노인 혹은 평생 일한 적 없는 노인에 비... 특목고·영재학교 출신 신입생 가장 많은 대학은 ‘서울대’…KAIST는 70% 2022학년도 대입 선발 결과, 고교 유형별로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이 가장 많은 학교는 서울대로 나타났다. 올해 서울대에 입학한 특목고 및 영재학교 출신은 994명으로 총 입학... [정책토론회] 지자체-기업-지역 대학 간 협업 통한 거버넌스 구축해야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에서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내걸고 지방인재 육성과 지역발전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변한 만큼 지방정부가 지방... [이슈브리프] 사립대학 적립금 현황과 쟁점 사립대학 적립금은 재평가적립금 등 특정한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치하는 자금으로서 기금 등에 대응하는 적립액으로 대학이 장기계획 하에 대학을 운영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대교연 현안보고] 2016~2020년 국·공립대학 신문 광고료 현황 대학교육연구소(이하 ‘대교연’)는 전국언론노동조합이 공개한 ‘신문사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전수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2016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45개 국·공립대학(... 새로운 개념의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교환 체계 구축해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네트워크는 전 세계 주요 거점에 분산되어 있는 인터넷 교환 노드(IXP)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한 구글, 아마존...
기획 · 연재 · 문화 [류혜숙의 여행이야기] 포항 크루즈…포항운하와 바닷길, 그 물길의 낭만 강변은 땡볕이다. 바람도 없고 가까운 바다도 잔잔하다. 포항 운하관의 파아란 유리창은 액체처럼 흘러내리는 듯하고, 강 건너 거대한 포스코는 한낮의 열기로 희부윰하다. 운하관 아래 ... [열린연단] 노자의 자유관: 무위·자연을 중심으로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10강_ 이승환 고려대 명예 교수의 「도가의 자유관」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버 스퀘어 종로... [교육의봄] “스타트업 등 창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일자리 시장의 대격변 예상돼...” 재단법인 교육의봄은 '스타트업 등 창업의 현황과 전망'을 탐색하는 4회 연속 포럼(2022년 6월 21일∼7월 13일)을 기획하고, 그 첫 번째 행사를 지난 6월 21일(화) 광화... [연호탁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놀라운(?) 한국인의 창의력: 무굴제국 악바르 대제와 악ᄇᆞ리 ■ 말로 푸는 역사 기행(79)_ 놀라운(?) 한국인의 창의력: 무굴제국 악바르 대제와 악ᄇᆞ리 “尺蠖屈以求信(척확굴이구신)” … 자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장차 뻗기 위함이다.... [김영명의 생활에세이] 백남준은 넥타이를 자르고 이라는, 그의 부인이 쓴 책을 읽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백남준이 젊었을 적에 공연장 손님의 넥타이를 가위로 자르고 (미리 약속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바이올린을 끌고 다니고 ... [열린연단] 불교의 자유론: 초연의 자유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9강_ 한자경 이화여대 교수의 「불교의 자유론: 초연의 자유」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버 스... [김환규의 과학에세이] 다윗과 골리앗 싸움의 생물학적 이해 각 종교의 경전에 기록된 기적과 인간사의 많은 신화는 인간에게 용기를 불러일으키고 영혼을 풍요롭게 하는 인자이다. 다윗(David)과 골리앗(Goliath) 이야기는 약자가 강한 ... [정책연구보고서] 지식재산 정책 거버넌스 재정비 필요하다 지식재산(IP: Intellectual Property) 제도는 발명자의 지식공개 대가로 부여하는 독점적 배타적 권리로서, 혁신 유인을 제고하고 산업 성장을 유도하는 주요 인센티브...
북캐스트 [리베르타스] 조선을 다시 만나다 - 『조선, 지극히 아름다운 나라』 ‘고요함 속에서 말없이 생각에 빠져 있는 사람들, 일본인의 달그락거리는 게다 소리와는 너무나 다르게 짚신이나 고무신을 신고 소리 없이 나타나는 이 사람들은 말할 때조차 눈에 띄지 ... [나의 책, 나의 테제] 혼돈의 글로벌 시대와 공동체주의 ■ 나의 책, 나의 테제_ 『혼돈의 글로벌 시대, 공동체주의를 말하다』 (최영종 지음, 가톨릭대학교출판부, 427쪽, 2022.05) 오늘날 물질중심주의가 가져오는 폐해는 날로 심... [저자에게 듣는다] 『신록예찬』의 이양하, 그의 고독한 삶과 문학의 총체 ■ 저자에게 듣는다_ 『이양하: 그의 삶과 문학』 (김욱동 지음, 삼인, 376쪽, 2022.05) 문학가는 흔히 얼핏 대수롭지 않아 보이는 한 조그마한 이미지에서 작품의 실마리를... [화제의 신간] 시민 위한 한국 통사…‘이념’과 ‘해석’보다는 ‘사실 서술’에 치중 ■ 『시민의 한국사: 1 전근대편 · 2 근현대편』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돌베개, 2022.06, 1권 588쪽·2권 574쪽) 해석을 절제하고 객관적 사실 서술에 역점을 둔 한... [저자에게 듣는다] 대한민국을 쥐고 흔드는 재벌,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무사할 수 있을까? ■ 저자에게 듣는다_ 『재벌 공화국』 (박상인 지음, 세창출판사, 264쪽, 2022.05) 대한민국이 ‘재벌공화국’이라는 자조어린 표현은 대한민국의 실질적인 주인 노릇을 국민이 ... [나의 책, 나의 테제] 자유·평등·박애라는 위대한 혁명 이념에 감추어진 폭력성 ■ 나의 책, 나의 테제_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 (김응종 지음, 푸른역사, 644쪽, 2022.05) 필자가 애초에 정한 제목은 ‘혁명과 폭력 – 다시 생각하는 프랑스혁명’이... [옮긴이의 말]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 현대』로서 내딛는 한 걸음 ■ 옮긴이의 말_ 『액체 현대』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이일수 옮김, 필로소픽, 420쪽, 2022.04) 2017년 작고한 사회학자 바우만의 생애는 그의 대표 저서 『액체 현대... [책을 말하다] 〈AI는 양심이 없다〉 어떻게 집필하게 되었나? ■ 책을 말하다_ 『AI는 양심이 없다: 인간의 죽음, 존재, 신뢰를 흔드는 인공지능 바로 보기』 (김명주 지음, 헤이북스, 336쪽, 2022.05) 2022년 6월 중순. 구글...
신간소개 내로남불은 인간 인식의 불가피한 조건이다 세계사의 중심축은 다시 아시아로 넘어올 것인가? 디지털 신대륙에서 살아갈 인류 미래 문명의 이야기 고통을 축소하거나 은폐하면 안 된다, 그러나 오랜 고통은 깨부수어라! 그림으로 기록한 조선 시대 양반가 문화, 그 문화를 이끈 문화 지형도! 1682년 임술년 일본에 파견된 조선통신사 매일매일의 기록 남자들의 도시에 사는 여자들의 도시 경험 “문학의 외부성에 대한 사유” 들뢰즈 사후 20주기에 발간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유고집 서양 중세 말 죽음의 춤 원형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