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이하 ‘진단’) 최종 결과를 2월 23일 발표했다.교육부는 교원양성기관(사...
뉴스 지방대 소멸 위기, 어떻게 극복해야 하나?…범부처 차원의 총체적인 정책 재설계 필요 지난 16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영덕(광주 동남갑, 국회 교육위원회) 의원은 유은혜 부총리에게 지방대 입학 정원 감소로 인한 위기에 대응할 방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윤 의원은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사라진다’고 하는 일명 ‘벚꽃엔딩...
오피니언 [변기용 칼럼] 자기 평가와 반성 없는 ‘대학 기관인증 평가’ – 성장기에 마련된 ‘대학 기관인증 평가’ 기준은 구조개혁기에도 타당할까? [최기련 칼럼] 미래의 직업(job) 창출 [시론] 생애주기별 복지상식 교육을 실시해야 [시니어 칼럼] 위기의식 공유하여 위기를 극복하자 [고영남 칼럼] 질곡 그 자체, '3주기 평가' [시평] 임성근과 김학의
최신뉴스 혁신공유대학…8개 신기술 분야, 1~3개 컨소시엄 선정, 올해 832억 원 지원 가톨릭대, 성공회대, 군산대, 상지대…사회적경제 선도대학 선정 영산대 박홍련 교수, 2021한국측량학회 학술상 수상 조미혜 인하대 교수, 대한체육회 체육상 연구부문 ‘최우수상’ 대교협, 202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발표 표준계약서로 공정한 출판 분야 생태계 만든다 서강대학교 제16대 심종혁 총장 취임식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 경상대·경남과기대 통합…‘경상국립대학교’로 3월1일 출범 ‘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발표 성균관대, ExCampus 시즌 2 공개
영산대 박홍련 교수, 2021한국측량학회 학술상 수상 와이즈유(영산대학교, 총장 부구욱) 스마트시티공학부 드론교통공학과 박홍련 교수가 한국측량학회의 2021 정기총회에서 학문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학술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지난해 ... 조미혜 인하대 교수, 대한체육회 체육상 연구부문 ‘최우수상’ 서강대학교 제16대 심종혁 총장 취임식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 세종대 무용과 김형남 교수, 한국무용학회 회장 취임
대학단신 가톨릭대, 성공회대, 군산대, 상지대…사회적경제 선도대학 선정 표준계약서로 공정한 출판 분야 생태계 만든다 KAIST, 물에서 작동하는 급속충전 가능한 전지 개발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전자 피부’ 개발 KAIST, 개교 50주년 기념 국제학술지(ACS Nano) 특집호 발간
인기기사 1 ‘연구과제 동료심사(Peer Review) 윤리가이드’ 마련 시급 2 지방대 소멸 위기, 어떻게 극복해야 하나?…범부처 차원의 총체적인 정책 재설계 필요 3 그래도 우리정치는 발전한다 4 ‘Justice’의 관점에서 본 대한제국의 사법개혁 5 질곡 그 자체, '3주기 평가'
학술/연구 [학술 출판]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생생한 기록, 530여건의 기사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이영호)은 최근 『광복 후 독도와 언론보도 1: 1948년 독도폭격사건』을 출판했다. 이 책은 『광복 후 독도와 언론보도』의 첫 번째 자료총서로 1948년 독... [대교협_ 고등교육 이슈] 포스트 코로나 시대…대학교육의 미래 어디로 가야하나? 코로나19 팬데믹 선포(2020년 3월)로 국내 대학들은 2020년 1학기 초유의 개강연기와 비대면 수업을 시행했으며, 학사운영, 교수학습, 방역 및 학생관리 등에 큰 영향을 받았... [연구 성과] 찰나의 빛과 인공지능이 만나면 바이러스의 3D 동영상도 찍을 수 있다? 태양광의 100경 배 밝고, 무려 1천조분의 1초로 ‘찰나의 빛’으로 불리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인공지능이 만나 바이러스와 성질이 비슷한 나노입자의 입체(3D) 구조를 영상화하고... [고등교육 이슈] 강사법 이후 대학강사현황과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의 과제 2019년 추경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은 해직을 경험한 강사들에게 경제적 어려움 해소와 연구 지속에 다소 도움이 되었으나, 연구자들은 코로나19, 열악한 연구 환경, 경제적 어려움, ...
기획연재/문화 [최승연의 뮤지컬 인사이트] 감정을 설득시키는 방법 - 뮤지컬 아직 제한적이지만 재개되기 시작한 대학로에서 뮤지컬 이 눈에 띈다. 대학로를 달구고 있는 또 하나의 흥행작이다. 은 CJ문화재단의 2017스테이지업 창작 뮤지컬 공모전에서 최우수작... [연호탁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이집트를 지배한 노예 정권, 맘루크 왕조 ■ 기획연재: 연호탁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42)_ 노예 이야기 2: 이집트를 지배한 노예 정권, 맘루크 왕조개인이든 집단이든 인간은 틈만 나면 싸웠다. 무슨 이유에서든 싸... [이슈 리포트] 사회적 연대의 힘 코로나19 대유행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새로운 사회 문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산업구조와 국제질서가 바뀌고 우리의 사고와 ... [과학 리포트]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지난해에 이어 사스코로바이러스-2(SARS-CoV-2)의 과학적 이해와 극복 방안 모색을 위한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2’를 연재하고 있다. 이번 연재...
북캐스트 [리베르타스] 코로나 이후 세계는 보이지 않는 적들과의 싸움에 직면해 있다. COVID-19 팬데믹은 역사적으로 매우 드문 전 지구적 위기를 낳고 있다. 14세기의 흑사병과 20세기 초반의 스페인 독감이 이... [저자에게 듣는다] 마약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사를 보다 ■ 저자에게 듣는다_ 『마약의 사회사: 가정상비약에서 사회악까지, 마약으로 본 한국 근현대사』 (조석연 지음, 현실문화연구, 312쪽, 2021.01)문제의식그간 한국사 분야에서 ... [책을 말하다] 서양의 목민심서 『성직자의 의무』 ■ 책을 말하다_ 『성직자의 의무』 (암브로시우스 지음, 최원오 옮김, 아카넷, 657쪽, 2020.12밀라노의 주교 성 암브로시우스(334년경~397년)는 고대 그리스도교에서 황... [저자가 말하다] 역사의 진실에 다가가는 디딤돌…고대 지중해 세계의 시간, 공간, 인간 ■ 저자가 말하다_ 『공존과 약탈의 역사: 고대 지중해 세계를 가다』 (차영길 지음, 경상대학교출판부, 486쪽, 2020.12)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공존...
신간소개 기독교 신학과 현대성은 어떤 관계인가? 시대정신과 신학은 어떤 대화를 나누었나? 의학을 동서로 나누어 보는 시대는 끝났다 인종적 편견은 어떻게 불평등을 고착시켜왔는가? 혁신을 통해 성장의 사다리를 오르고 있는 중국 경제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한국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이해하는 세 가지 키워드…쌀, 재난, 국가 우리는 왜 『자본』을 개론서가 아니라 『자본』 자체를 읽어야 하는가? 과학과 신앙은 적이 아니라 동반자적 관계 억압과 금지를 넘어 시대 변화의 기폭제가 된 지식의 역사 괴물 기록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사회상, 세계관과 문화의 실마리를 품고 있다 우주가 만들고, 별이 쓰고, 인류가 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