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의 지도를 바꾼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유산
상태바
우주론의 지도를 바꾼 스티븐 호킹의 마지막 유산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4.01.09 1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시간의 기원: 스티븐 호킹이 세상에 남긴 마지막 이론 | 토마스 헤르토흐 지음 | 박병철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496쪽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과학자를 꼽으라면 많은 이가 스티븐 호킹(1942~2018)을 떠올릴 것이다. 이어 휠체어에 몸을 맡기고 컴퓨터로 세상과 소통하는 물리학자의 모습이 그려진다. “우주는 왜 생명체에 우호적인 곳이 되었는가?” 평생에 걸쳐 답을 찾아 헤맨 질문만을 남기고, 2018년 3월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은 세상을 떠났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2023년, 그 질문에 대한 답이자 호킹이 우주에 남긴 마지막 유산이 그의 공동 연구자인 토마스 헤르토흐를 통해 공식적으로 세상에 공개되었다.

이 책은 스티븐 호킹이 세상에 남기고 간 최종 우주론의 결정판이다. 저자인 토마스 헤르토흐는 호킹이 배출한 여러 걸출한 물리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따라서 이 책은 토마스 헤르토흐라는 미래가 기대되는 물리학자의 대담한 연구 성과를 엿볼 기회인 동시에 우주 연구에 평생을 바쳤던 학자로서의 호킹의 삶, 더불어 고난 속에서도 언제나 유머를 잃지 않았던 한 인간으로서의 호킹의 삶이 담겨 있는 과학서이자 에세이이자 그를 기리는 회고록이다.

저자를 필두로 하는 호킹의 연구팀은 빅뱅 연구를 시작으로 생명친화적인 우주의 탄생 비밀을 밝히고자 몇 년을 분투한 끝에 생명체의 존재를 허용하는 우주론을 내놓았다. 계속 논란이 되어온 다중우주 가설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홀로그램 우주holographic universe’라는 양자물리학의 극단을 탐험하고, 그 기원을 추적하고자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입자와 힘, 심지어 시간까지 사라지고 물리법칙이 극도로 단순해지는 깊은 수준의 진화를 발견했다. 이에 “물리법칙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우주가 형성되면서 함께 진화해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데, 이 책의 제목에서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떠올렸다면 우연이 아니다. 1988년, 호킹의 베스트셀러 『시간의 역사』가 출간된 이후 25년이 흐르는 동안 연구를 거듭하면서 호킹의 우주론은 다윈의 진화론을 닮아 있었다.

유일한 우주인가, 다중우주인가? 설계된 우주인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우주인가? 이는 오랜 시간 해결되지 않은 채 과학계에 남아 있는 질문이다. 호킹 연구팀의 최종 목표 역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었다. 호킹의 우주론 연구의 핵심은 빅뱅의 특성과 생명체가 존재하게 된 원인을 밝히는 것이었지만, 그 못지않게 자연법칙 저변에 깔린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했다. 우주론은 이 세상에 대해 무엇을 알아낼 수 있으며, 우리는 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는가? 이것이 바로 호킹이 죽는 날까지 탐험했던 세계였다.

벨기에의 성직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조르주 르메트르의 우주팽창론을 시작으로, 우주론의 역사를 한눈에 정리하면서 책은 전개된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플라톤으로 이어지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뉴턴의 물리학과 찰스 다윈의 진화론까지, 저자는 물리학과 철학을 넘나든다. 1927년, 조르주 르메트르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지만 당시 아인슈타인을 비롯해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천문학자들은 50억 년 전부터 우주의 팽창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냈다. 우주팽창의 역사는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이 있다는 사실이 수용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르메트르는 우주가 생명체의 존재를 허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팽창이 한동안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던 감속기’가 있음을 알아냈다. 즉 별과 행성,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도록 우주팽창이 아주 느리게 진행된 시기가 있었다는 말이다. 아주 작은 조건이라도 어긋났다면 우주에는 생명이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왜 우주에 생명체의 존재를 허용한 걸까?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호킹은 원점으로 돌아가 빅뱅을 연구했다. 하지만 그의 초기 연구는 다중우주라는 문제에 부딪히면서 위기를 맞는다. 연구 초기에 호킹은 빅뱅 깊은 곳에 숨겨진 수학이 모든 것을 인과적으로 설명해줄 것이라고 가정했다. 다중우주를 대체할 최종 이론이 어딘가에 존재한다고 믿은 것이다. 그러나 호킹은 우주론을 거꾸로 뒤집은 후, 자신의 생각이 틀렸음을 깨달았다. 하향식 관점이 물리적 실체와 법칙 사이의 계층구조를 완전히 바꿔놓았기 때문이다. 하향식 철학에 의하면 우주는 법칙을 무조건 따르는 기계가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자기조직적 실체이며, 그 안에서 온갖 패턴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을 우리는 ‘물리법칙’이라 부른다. 하향식 우주론에서는 법칙이 우주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가 법칙을 위해 존재한다. 존재의 근원을 묻는 질문에 답이 존재한다면, 그 답은 바깥이 아니라 이 세상 안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하향식 접근법을 통한 양자우주는 가능성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가고, 우리는 우주의 역사를 만드는 주인공이 된다. 우주가 우리를 창조했듯이, 우리도 우주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빅뱅에서 시작된 우주의 기원을 찾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기원을 찾는 여정이다. 호킹은 뿌리를 얼마나 깊이 이해하는가에 따라 인류의 미래가 좌우된다고 믿었다. 우주에 대한 그의 마지막 이론은 과학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중심에 두고 있었다. 호킹은 아이작 뉴턴의 엄밀한 수학과 찰스 다윈의 깊은 통찰을 하나로 연결했고, 세상을 떠난 후에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뉴턴과 다윈의 무덤 사이에 안치되었다. 우리는 호킹에게서 세상을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그러니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고 절대 포기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호킹이 남긴 마지막 이론처럼, 우주의 역사는 우리가 하는 질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