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초 사관에서 벗어난 사실적 메이지 유신 이야기
상태바
삿초 사관에서 벗어난 사실적 메이지 유신 이야기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4.01.09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쓰마와 시마즈 히사미쓰: 메이지 유신의 선봉 | 손일 지음 | 푸른길 | 448쪽

 

우리가 신문지상이나 그 밖에 매체에서 보고 전해 듣는 메이지 유신 이야기는 대체로 삿초 사관에 기반해 편찬된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일본사』에 실려 있는 수준으로, 현재 일본이 세상에 전하고 싶은 메이지 시대의 근대화 역사 그 자체이다. 물론 우리 고등학교 교과서인 『동아시아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문부성은 메이지 시대가 끝나자 본격적으로 메이지 유신에 대한 사료를 수집, 편찬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결과가 바로 1939년에서 1941년 사이에 발간된 『유신사』이다. 

삿초 사관에 기반한 이 『유신사』의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사쓰마·조슈로 대표되는 서남웅번이 번의 군사력을 동원해 막부를 타도하는 데 성공하였고 그 이후 근대 천황제의 확립에 크게 공헌하였는데, 이 과정에 근왕지사들이 크게 이바지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막부의 개혁 실패와 대외 의존성도 빠짐없이 지적하고 있다. 근왕지사, 다시 말해 하급 무사들에 의해 이루어진 역성혁명이라는 점도 지적하고 있는데, 바로 이것이 현재 일본의 출발점이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메이지 유신의 3걸로 사쓰마의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 조슈의 기도 다카요시 등이 거명되는 것도 모두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막부 말기에는 다양한 세력이 할거하였고, 또한 투쟁하였다. 따라서 어느 세력의 입장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메이지 유신의 실체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고, 승자인 사쓰마·조슈의 시선과 패자 막부의 그것은 극과 극일 수밖에 없다.

외국인에 의한 메이지 유신 연구의 백미라 평가되는 『사카모토 료마와 메이지 유신』(2014, 번역)에서 저자 마리우스 잰슨 교수가 사이고도, 오쿠보도, 기도도 아닌 도사 번 출신의 탈번 낭사 사카모토 료마를 주인공으로 끄집어낸 것은, 삿초 사관에서 한 걸음 물러나 메이지 유신을 보다 객관적 입장에서 바라보고자 한 의도가 아니었을까 판단된다. 특히 메이지 신정부 초기 민권운동의 맹아를 료마를 비롯한 도사 번 출신 이타가키 다이스케나 고토 쇼지로에서 찾으려 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승자인 사쓰마의 입장에서 메이지 유신을 바라보고자 했다. 총체적인 힘으로서 사쓰마 번, 조금 더 나아간다면 사쓰마 번을 하나로 묶어 막말 교토 정국을 주도한 사쓰마의 국부 시마즈 히사미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것은 어느 개인의 영웅적 결단이 아니라 사쓰마 번이라는 집단의 매 순간 결정이 어떻게 막말의 대혼돈을 헤쳐 나오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나아가 메이지 신정부 탄생이라는 엄청난 결과에 도달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메이지 유신을 시기적으로 정확히 규정한다면, 1867년 천황의 왕정복고 이후 일본이 성취한 근대화, 민주화, 산업화라는 급속한 변혁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 관심을 보이는 기간은 대체로 1853년 페리의 내항 이후 왕정복고 기간까지로, 변혁이 실제 일어난 기간은 아니다. 외세에 대응해 새로운 국가를 만들겠다는, 다시 말해 자신들은 결코 식민지가 되지 않겠다며 막말 모든 계층의 일본인들이 대외내적 모순과 갈등에 대응한 방법과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

메이지 유신의 성공에 기여한 최대 세력은 사쓰마 번이고 그 주인공은 당연히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이다. 두 사람의 업적을 놓고 우열을 가늠하기란 쉽지 않지만, 이 책에서는 메이지 유신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 사이고의 역할을 제한한다. 이것은 ‘사이고 다카모리’라는 소영웅주의에 매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종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번벌 사관 혹은 삿초 사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지는데, 제1부는 시마즈가가 성립된 12세기부터 1862년 히사미쓰의 솔병상경 직전까지를 다룬다. 제1장과 제2장은 주로 일본사를 바탕으로 규슈 나아가 사쓰마 지방사라는 관점에서 페리 내항 전까지의 기간을 그 대상으로 한다. 제3장은 막말 최고의 제후라 일컫는 나리아키라의 일생을 통해 페리 내항 직후 사쓰마와 막부의 실상을 엿보며, 제4장에서는 나리아키라 사망 후 성충조라는 하급 무사 결사체가 등장하고, 이것이 히사미쓰의 권력 기반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조망한다. 

한편, 제2부는 주로 1862년 히사미쓰의 솔병상경부터 1867년 왕정복고 쿠데타까지를 다룬다. 제5장과 제6장은 솔병상경 준비 과정부터 교토와 에도에서 조정 개혁과 막정 개혁에 성공적으로 개입하면서 종횡무진하는 히사미쓰의 활약상을 살펴본다. 이후 제7장에서는 조정 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사쓰마와 정적 조슈 사이 쟁투를 살펴본다. 제8장과 제9장에서는 금문의 변, 참예회의, 4후회의 등을 주도하면서 막정 참여의 길을 도모하였지만 쇼군 요시노부의 정치력에 밀려 좌절하고는, 결국 도막으로 방향을 전향해 막부를 무너뜨리고 천황 주도의 신정부를 여는 과정에서 보여 준 히사미쓰의 판단력과 실행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