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와 성서가 제시하는 믿음의 역사
상태바
성서와 성서가 제시하는 믿음의 역사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3.12.23 2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성서의 역사: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책 이야기 | 존 바턴 지음 | 박규태 옮김 | 비아토르 | 988쪽

 

이 책은 발견할 수 있는 희소한 증거들을 토대로 구약과 신약에 담긴 책들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성되고 어떻게 결합해 유대교와 기독교 안에서 각기 다른 모습의 정경을 이루게 되었는지 추적한다. 더불어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수 세기에 걸쳐 성서를 어떻게 수용해 왔고, 어떻게 읽고 가르쳐 왔으며, 다양한 해석법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성서의 가르침을 따라 어떻게 살았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성서를 번역해 왔는지 깊이 있게 고찰한다. 

‘1부 구약’에서는 구약 성서의 책들이 형체를 갖추기 시작한 기원전 8세기부터 거의 모든 책이 완성된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와 언어를 고찰하고, 히브리 성서의 주요 장르인 산문 내러티브, 율법과 지혜, 예언, 시와 시편의 고유한 특성과 주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부 신약’에서는 다양한 사회 종교 그룹이 존재하던 유대교 세계에서 기독교가 등장한 역사적 배경을 추적하고, 이 새로운 종교가 남긴 텍스트인 서신서와 복음서에 관하여 각 책의 저자와 기록 시기, 염두에 둔 독자 등을 고찰하면서 허다한 이론이 있지만 정작 우리가 아는 것은 거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3부 성서와 그 텍스트들’에서는 기원후 4세기부터 열린 여러 공의회에서 성서에 포함할 책과 제외할 책이 결정되었다는 세간의 생각과 믿음을 반박하는 한편, 필사자들의 손을 거쳐 성서 본문이 전달되어 온 과정을 살펴본다. ‘4부 성서의 의미’에서는 성서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나 의미를 규정하려는 시도들을 고찰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별개의 해석 체계를 형성해 온 유대교와 기독교의 해석 전통이 랍비와 교부의 시대, 중세 시대, 종교개혁 시대,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각각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는 한편, 히브리 성서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기원전 3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성서 번역의 역사와 해석 논쟁을 다룬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성서를 고찰하는 일이 신앙을 기름지게도 하고 고민을 안겨 주기도 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성서와 신앙의 관계를 되짚어 본다.

이 책은 성서의 기원과 발전, 성서에 포함된 책들의 수집, 해석, 수용, 번역의 역사를 상세히 다룬다. 저자가 이 책에서 치밀하게 펼쳐내는 논지의 핵심은 ‘기독교와 유대교라는 두 신앙과 성서의 관계’다. 일부 기독교인은 성서와 기독교 신앙의 관계를 묻는 행위 자체를 진리에 도전하는 것으로 여겨 불편해한다. 성서가 곧 기독교 신앙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유대교나 기독교 신앙과 성서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성서가 두 신앙을 살아 약동하게 하는 자원이자 토대인 것은 맞지만, 성서가 두 신앙의 산물이라는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기독교와 유대교가 성서에 기초하고 있듯 성서 역시 이 두 신앙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차근차근 증명해 나감으로써 성서와 믿음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