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예술의 경계는?…KAIST 국제 심포지엄 개최
상태바
인공지능 시대 예술의 경계는?…KAIST 국제 심포지엄 개최
  • 고현석 기자
  • 승인 2023.10.13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9일(목) 9시부터 KAIST 본원 대강당에서 인공지능과 예술을 주제로 국제포럼 개최
- 인공지능 기술과 예술의 접점에서 활약하는 국내·외 전문가 10인이 연사로 참여
- 예술의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역할 및 미래 전망에 관한 통찰 공유

 

KAIST는 인공지능과 예술(AI+ART)을 주제로 오는 19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인간이 인공지능의 기술을 빌려 창작하고 인공지능도 스스로 창작이 가능해진 기술의 시대가 도래했다. 19일 열리는 ‘인공지능과 예술 국제심포지엄’은 이러한 인공지능 시대에서 예술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를 묻고 이에 대한 담론을 촉발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창작의 소유자는 누구이며, 감상의 대상은 무엇일지 등 인공지능이 예술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시대의 변화 속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예술과 그 문화적·사회적·기술적 맥락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를 위해 KAIST 미술관은 세계적인 석학과 연구자, 큐레이터, 비평가 등 국내·외 전문가 10인을 초청했다. 과학기술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가 직면한 새로운 과제를 탐구하고 미래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총괄한 석현정 KAIST 예술융합센터장 겸 미술관장은 “인공지능 및 예술의 역할과 기능을 다각도에서 연구해 온 전문가들의 통찰과 전망을 공유하는 이번 심포지엄이 관련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유익한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KAIST 미술관이 주최하고 대전관광공사가 협력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사전 신청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현장 강연에 참석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KAIST 미술관 홈페이지(https://art.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AIST 미술관 유튜브 채널에서 19일 오전 9시부터 국·영문 동시통역으로 실시간 중계된다.


【발표 내용 요약】

영국 서펜타인(Serpentine) 갤러리의 캐이 왓슨(Kay Watson) 아트 테크놀로지 수석은 개회 기조 연사로 나서 ‘예술이 미래의 기술을 형성할 수 있는가?’를 주제로 강연한다. 서펜타인 갤러리가 운영 중인 아트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이 어떤 방식으로 인공지능과 관련된 작업을 진행하며, 예술 및 기술에 어떻게 초점을 맞춰 접근하는지 소개한다. 

ㅇ 주요 내용

런던 서펜타인(Serpentine) 갤러리의 아트테크놀로지팀은 지난 10년 동안 예술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첨단 기술 개발에서 예술분야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 도전해왔다. 우리는 예술적이고 조직적인 실험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예술과 창의적인 기술개발이 어떻게 사회적 협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새로운 제안을 하고, 역량을 강화하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강연에서 아트 테크놀로지 책임자인 Kay Watson은 커미셔닝, 생산, 인프라 프로토타이핑 및 기술개발을 통해 아트테크놀로지 팀의 AI 관련 작업이 예술 및 기술에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대한 방식을 소개한다.

이진준 KAIST 아트앤테크놀로지센터장은 폐회 기조 강연을 맡아 기계가 ‘창조’할 수 있게 된 세상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의 표현 범위를 확장하거나 반대로 인간의 독특한 감성을 억제하게 될 가능성 등 기술 발달이 가져온 예술의 중추적 변화와 미래를 심도 있게 탐색한다. 

ㅇ 주요 내용

KAIST에서 열리는 <AI + ART 심포지엄>의 심도 있는 질문 및 탐색 : 어떻게 인공지능의 계산결정론은 인간의 창의성과 맞물려 있으며, 이것이 예술의 궤적과 인간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미치는가? 

역사적으로, 예술은 인간의 표현과 사유를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여 진화하는 우리의 인식 패러다임과 열망을 포착해 왔다. 르네상스의 미술기법부터 현대 디지털 플랫폼까지 다양한 예술적 매체가 도입되었다. 오늘날, 인공 지능의 발전은 예술적 영역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모두 제공한다. AI의 등장은 예술의 핵심적 본질을 재평가하게 만든다. 기계가 '창조'할 수 있는 세계에서, 예술적 표현의 어떤 요소가 인간에게 남아 있을까? AI가 예술에 끼어들면서 우리의 표현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우리 독특한 감성을 억제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마르크스 프랭크 연구소의 저명한 인류학자 비아오 시앙(Biao Xiang)이 쓴 책 제목인 "방법으로서의 자기(Self as Method)"는 심포지엄의 주제와 일치한다. 예술의 본질적인 힘은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촉진해왔다. AI가 가져온 예술의 중추적인 변화를,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날카롭게 관찰하고자 한다. 

심포지엄이 제시하는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AI 중심 시대에 있어서 예술가의 역할은 진화하고 있는가?, 아니면 중복되어 접근하고 있는가?

요약하면, <AI + ART 심포지엄>은 AI시대의 예술의 미래에 대한 단순한 논의를 넘어선다. 참석자들에게는 인간의 정체성, 예술적 노력의 본질, 그리고 빠르게 디지털화되는 세상에서 창조자와 창작물 사이의 균형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며, 방법으로서 인간 존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이어, 육 후이(Yuk Hui) 네덜란드 로테르담 에라무스 대학교(Erasmus University Rotterdam) 교수가 ‘인공지능의 경계에 선 예술’을 주제로 특별 강연한다. 후이 교수는 1930년대 사진과 영화의 확산 시기에 나타났던 기술 변화 속에서 예술이 가졌던 위상을 살펴본 뒤 이를 인공지능이 등장한 현재에 비춰 논의하고 예술이 인공지능 발전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고찰한다. 

ㅇ 주요 내용

1935년 발터 벤자민(Walter Benjamin)의 에세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사진과 영화의 확산으로 나타나는 기술적 변화 속에서 예술의 위상을 고찰한다. 

강연의 첫번째 부분은 인공지능(AI)으로 인한 현재의 변화에 비추어 예술의 위상에 관한 월터 벤자민의 질문을 다룬다. 강연의 두번째 부분은 예술이 인공지능의 발전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고찰하여 벤자민의 질문을 전환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질문들은 기술결정론에 의해 얕아진 예술과 기술간의 관계를 재평가하도록 요구한다. 이번 강연을 통해 인공지능의 경계를 확인하고 예술을 기술의 가능성이자 기술을 위한 가능성으로 자리매김하려 한다.

옌스 하우저(Jens Hauser) 독일 칼스루에 공과대학교(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교수는 ‘예술과 인공지능의 인간중심주의 도전: 미시적 성능과 거시적 효과부터 비녹색화까지’를 주제로 발제한다. 예술 활동을 통해 ‘지능’과 ‘인공’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킨 사례를 소개하고, 미디어에서 자연 혹은 인간 본연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녹색’을 과학기술적 관점으로 분석해 인간 중심적 사고(思考)를 설명한다.

ㅇ 주요 내용

예술은 언제나 새로운 매체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러한 미디어의 사용은 자연과 문화에 대한 논쟁을 촉진하고 현대 과학 기술을 활용할 비판적 사고와 의지를 필요로 한다. 

인공지능 및 합성 생물학을 포함한 생명공학과 같은 우리 시대의 핵심 기술들은 전례 없는 능력과 관련된 현상, 유행어, 은유를 제공하며, 동시에 주요 생태학적 위기 시기에 인간 중심적 사고 방식을 강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식론적으로 스스로 자각하는 미디어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요소' 자체는 매우 오래된 것이다.

긍정적이고 변명적인 입장과는 대조적으로, 많은 예술가들은 정보 처리 능력의 향상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산하여 인간의 인지능력의 모방하는 ‘AI’를 뛰어 넘는다. 그들의 작업에서, 정보 처리 능력을 기반으로 한 상징적 계산 ‘AI'의 현상을 생물학적 영감을 받은 'N/AI'와 대조시킴으로써 '지능'이라는 모호한 개념과 '인공성'의 개념이 인간 행위에만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그린 AI(Green AI)'가 의미하는 다의적 다양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이 일부의 예술가들은 인간이 아닌 물질들이 광활한 생물기호학적 네트워크 안에서 펼치는 고유한 기술적 능력에 주목한다. 이러한 ‘마이크로퍼포머티비(microperformativity)’라는 개념은 퍼포머성 이론과 공연예술적 실천의 이론에서 현재의 추세를 나타내며, 지배적인 인간의 척도(공간 및 시간 모두에 해당)를 어지럽히고, 미시적인 인간 신체 이상에서 미시적 물질의 보이지 않는 것과 거대한 것의 이해 불가능함을 강조한다. 마이크로퍼포머티비 포지션은 어떻게 예술적인 방법이 생물학적 및 분자 수준에서 생명을 이용하는 기술적 방법과 비디오 미디어를 융합하여 비디오 미디어에 생명을 표현하는 방법과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는 현대 퍼포머스 아트의 '라이브 아트' 분야의 발전을 확장시킨다.

현대 기술에 열광적인 사회가 위장환경주의(greenwashing)로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를 제거하고자 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green’부터 자연성과 인공성 사이에서 재정의될 필요가 있다. ‘녹색'은 '생명'과 '자연'과 같은 비기술적인 용어들로부터 시급히 구별되어야 한다. '녹색은 오히려 가장 인간중심적인 색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식물은 인간의 눈에만 녹색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엽록소가 광합성의 과정에서 적색광과 청색광을 흡수하면서, 녹색광만 반사시키기 때문에 – 즉, 식물의 입장에서는 ‘녹색광’이 오히려 사용하지 않는 ‘쓰레기’나 다름없다. 

다양한 지식문화 간에 '녹색(greenness)’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대한 고찰은 거의 없었다. 한편에서는 엔지니어들이 '녹색 화학(green chemistry)'이나 '녹색 생물학(green biotechnology)'을 생태친화적인 것으로 소개하는 반면, 기후 연구자들은 인류의 이산화탄소 배출의 경고로 '지구의 녹색화'를 지적한다. 얼핏보기에, 살아있음과 자연스러움이 함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녹색’이라는 용어는 네크로폴리틱스(necropolitics;시신정치;죽음을 결정하는 권력)의 과도한 보상적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생명체, 생태학, 생물권에서 증가하는 기술적 조작의 형태를 취한다. 


□ 아트 앤 테크놀로지(Art and technology) 분야의 학자이자 예술가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연사들의 강연도 이어진다. 

강이연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몰입형 예술 + 인공지능’을 주제로 다중감각적 예술작품이 인공지능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탐구하고 인공지능이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예술가와 협업해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생성할 수 있는 개념적 자원으로서의 사례를 공유한다. 

ㅇ 주요 내용

〈몰입형 ART + AI〉은 다중감각적 예술작품이 인공지능(AI)를 받아들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AI를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개념적 지원으로 사용하여 AI와 예술가가 협력하여 몰입형 스토리텔링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다.
 
이 강연에서는 AI 기술을 몰입형 작품에 통합하는 다양한 사례 연구를 탐구하며, 강이연 박사의 프로젝트를 예시로 활용한다.

후미히코 스미토모(Fumihiko Sumitomo) 일본 도쿄예술대학(Tokyo University of the Arts) 교수는 ‘기술의 취약성’을 주제로 발제한다. 90년대 중반부터 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는 미디어아트 작업을 해온 스미토모 교수는 인공지능이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시대에 속에서 예술은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논의하고 예술은 양면성을 가진 인공지능의 발전 방향을 결정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제언한다. 

ㅇ 주요 내용

1990년대 중반부터 미디어아트 작업을 시작했지만, 큐레이터 실무를 통해 직접 참여하게 된 것은 벌써 10년이 넘었다. 이후 나는 지역사회 연계 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해 2011년 지진 이후 예술과 재난의 관계를 연구해 왔다. AI가 세상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 지금, AI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내가 90년대부터 어떻게 미디어 아트 작업을 해왔는지, 그리고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취약성에 어떻게 직면해왔는지를 바탕으로 강연을 진행하고자 한다.

AI의 진화는 인간이 지능을 갖춘 기계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AI는 불평등을 확대시킬 수도 있고, 인간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도구가 될 수도 있다. 예술은 둘 중 어느 것이 될지에 대한 열쇠를 쥐고 있을 것이다. 

유토피아적인 생각일지 모르지만, 취약성을 인식한 사람들이 기술을 자립을 위한 도구가 아닌, 상호 지원을 위한 사회 변화의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기억해야 한다. 이 강연이 AI와 예술이 만나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인공지능과 러닝 도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지향적 미술관들의 사례도 함께 알아본다. 

김성은 백남준아트센터 전 관장은 ‘디-컨트롤: 신체와 데이터 틈에서’을 주제로 미디어아트 특화 미술관인 백남준아트센터가 인공지능 시대에 집중하는 예술 작업을 소개하고 미술관의 큐레이션 활동이 인공지능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가를 짚어본다. 

ㅇ 주요 내용

백남준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고 사이버네틱스를 탐독하며 이론적 틀로 삼았던 1960년대는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속화하고 인류의 기대가 뜨겁게 끓어오르던 첫 시대다.

그로부터 반세기가 넘게 지난 지금, ‘예술과 기술’이라는 오랜 화두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다시금 활활 타오르고 있다. 예술 창작의 매체이자 플랫폼으로서 인공지능이 갖는 역량을 섭렵하는 한편으로 그 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윤리적 쟁점들을 격렬히 제기하는 가운데, 동시대 작가들의 지향은 서로 만나기도 하고 서로 갈라지기도 하면서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 중이다. 

백남준아트센터와 같은 미디어아트 특화 미술관에서도 이처럼 작가들이 탐사하는 지형을 전시라는 시공간으로 옮겨오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큐레토리얼 연구와 실험이 활발하다. 백남준아트센터는 기술의 첨단성이 성취하는 미학적 감탄보다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신체의 관계를 감각적으로 사유하게 하는 작업들에 좀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면서 그 기술 시스템의 제어에서 삐져나오는, 혹은 가지를 치는, 백남준식 ‘디-컨트롤’의 작용과 정서로써 문제의식을 세공하고 현상에 침투하는 작가들에게 주파수를 맞추고자 한다. 

백남준이 1977년에 쓴 어느 글에서 인공지능과 나란히 두었던 “인공신진대사”의 뜻을 오늘의 인간과 자연, 기술과 사회의 결합체 속에 투영하여 찾도록 해준다. 강연에서는 백남준아트센터의 전시 맥락을 같이 살피면서, 미술관의 큐레토리얼이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를 학습하고 있을 인공지능에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가 짚어본다.

김석모 솔올미술관 관장은 ‘인공지능 미술시대의 도래. 미술과 기술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을 통해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기술과 미술이 맺어온 관계를 미술사적으로 고찰한다. 

ㅇ 주요 내용

미술사의 전개과정에서 신기술의 등장은 어김없이 미술창작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고 그와 함께 미술개념의 틀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왔다. 

‘AI미술시대’가 도래했다. AI아트의 출현으로 인간을 창작의 주체로 전제하고 있는 기존 미술개념의 유효성이 서서히 확실성을 잃어가고 있다. 과연 미술창작의 주체로서 인간지위는 지속될 수 있을까? 또한 창작 주체로서 인간이 배제된 AI미술은 미술이기에 충분한가? 

이 강연은 앞서 기술된 미술 본질의 문제에 다다르기 위해 기술과 미술이 맺어온 관계를 미술사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김장언 아트선재센터 관장은 ‘큐레이터로서 미술에서의 인공지능을 다시 생각하기’ 강연을 통해 미술계에서 인공지능의 역할과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청중과 공유한다. 

ㅇ 주요 내용

지금 미술계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을 고려할 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들로 시작한다. 

사회와 기술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관심을 가진 큐레이터로서 연사는 90년대 이후 시대와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예술 운동과의 흥미로운 교차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큐레이터로서의 관심은 전후 모더니즘 미술의 복잡한 얼개들 속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60년대 후반과 70년대 미술 운동에 놓여 있으며, 큐레이터로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60년대 이후 등장한 실험적인 미술 경향들과 90년대 이후 번성한 동시대 미술의 움직임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 강연은 과거의 작가와 큐레이터들의 앞선 노력의 결과를 조명함으로써 이 흥미로운 역사적 내러티브를 발굴하고, 이러한 탐구를 통해 동시대 미술에서 AI가 개념적으로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 강연의 목표는 예술에 대한 단일한 해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의 역동적인 환경에서 예술 실천을 정의하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조건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박성필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장은 특별 강연자로 나서 ‘인공지능 창작예술이 저작권 제도에 미치는 과제’을 주제로 인공지능 생성 예술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법적 문제를 다룬다. 

ㅇ 주요 내용

생성적 AI는 예술가들이 생산성을 크게 높이며 더 빠르게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술가들에게 상상 이상의 새로운 예술을 창작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예술 산업을 둘러싼 현행 법률 시스템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도전한다. 우선, 인간이 예술의 유일한 창작자라는 저작권 법률의 가정에 어긋난다. 또한, 생성적 AI의 등장으로 재구성된 미술산업 가치들은 현재의 저작권 법률로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법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연사는 AI 생성 예술과 관련된 세 가지 중요한 법적 문제를 다룬다.

첫째, 인간예술가가 사전 허가 없이 창작한 작품으로 생성적 AI를 훈련시키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될까? 둘째, 생성적 AI가 만든 작품의 작가(예술가)는 누구인가? 셋째, 생성적 AI가 만든 작품은 인간이 만든 원본 작품의 저작권을 침해할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