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우리와 맞닿아 있는 살아 있는 역사, 근대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상태바
오늘의 우리와 맞닿아 있는 살아 있는 역사, 근대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2.01.17 0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근대 유산, 그 기억과 향유 | 이광표 지음 | 현암사 | 288쪽

 

우리가 근대를 온전히 기억하고 향유하고 있는지를 진지하게 묻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책이다.

최근 10여 년 사이 근대 유산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인천의 개항장 거리 일대와 차이나타운, 일제강점기 상흔이 남아 있는 군산의 도심, 군항제가 열리는 창원의 진해 도심 등지는 인기 명소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인 군산의 이성당을 찾아 기꺼이 길게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이 많고, 인천 차이나타운에서는 공화춘 짜장면을 먹으며 중화요리의 역사에 관심을 갖는다. 경주 대릉원 옆 ‘황리단길’에선 젊은이들이 1970~1980년대식으로 꾸민 다방에서 커피를 마시고 옛날 사진관에 들러 흑백사진을 찍는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1,500년 전 신라 고분과 50여 년 전 근대 풍경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흥미로운 모습이다.

근대 건축물을 문화공간, 카페 등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이미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옛 서울역, 서울의 당인리 발전소, 대구와 청주의 연초제조창, 부산 고려제강(F1963)처럼 규모 있고 유명한 공간뿐만 아니라 제주 도심의 순아커피, 문경의 가은역 카페처럼 작고 아담한 공간도 적지 않다.

오래된 브랜드에 대한 향수도 다시 제품으로 되살아났다. 곰표 밀가루의 브랜드를 활용한 곰표 맥주, 말표 구두약의 브랜드를 활용한 말표 흑맥주, 백양 BYC 속옷 브랜드를 활용한 백양 비엔나 라거, LG의 전신인 금성전자 브랜드를 활용한 금성 맥주……. 모두 1960년대 전후 태어나 지금까지 우리와 함께해온 브랜드들이다.

우리는 이렇게,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일상 속에서 근대를 기억하고 경험하고 소비한다. 좀 과장하면 ‘근대가 대세’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그런데 최근의 현상을 보면 흥미로운 변화가 감지된다. 근대 건축물과 같은 물리적인 공간을 기억하고 경험하는 것을 뛰어넘어 근대의 분위기나 이미지를 경험하고 소비하는 경향이다. 시각적인 유형의 흔적을 넘어 무형의 흔적을 기억하고 경험하는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근대 유산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근대 유산을 어떻게 기억하고 소비하고 향유할 것인지 등에 대해 많은 고민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쉽고 우려할 만한 일도 많다. 우선, 근대 유산을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일들이 도처에서 벌어지는 현실을 꼽을 수 있다. 앞으로 50~100년이 흐르면 어엿한 문화유산으로 대접받을 텐데, 그것이 비록 사유재산이라고 해도 서둘러 미리 훼손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근대 건축물을 활용하는 방식이 지나치게 단순하다는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거의 대부분은 전시장, 공연장, 카페이다. 원래 건물의 맥락이나 의미는 무시되고, 고민과 성찰이 결여된 너무나 손쉬운 활용이 아닐 수 없다. 근대 유산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하는 작업도 아직은 부족한 편이다. 근대 유산은 그 양상이 워낙 다양한 데다 사회적 주목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쉽지는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근대 유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흥미로운 변화가 포착되는 상황이기에 좀 더 논리적이고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바로 이 책이 그러한 필요에 답하고 있다.

이 책은 일반적인 문화유산에서 찾아볼 수 없는 근대 유산만의 특징은 무엇인지, 우리는 지금 근대 유산을 어떻게 기억하고 향유하고 있는지, 또한 앞으로 근대 유산의 보존과 활용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진지하게 성찰한다.

1부 ‘근대 유산과 기억의 방식’에서는 구체적으로 옛 서울역(문화역 서울 284)을 예로 들어 우리가 옛 서울역을 지금처럼 활용하는 방식이 과연 적절한지, 옛 서울역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를 물으면서 근대 유산을 새로운 시각으로 깊이 있게 볼 수 있게 해준다.

근대 유산은 과거이면서 현재이다. 과거의 연속이면서 거기에 새로운 변화가 축적된다. 현재와 연결되어 있고 현재의 사람들이 행위에 참여한다. 그것은 지금의 나, 우리와 연결되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대 유산은 그 어떤 문화유산보다도 이 시대 대중들의 수용과 인식의 문제가 더욱 중요해진다. 그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2부 ‘근대를 걷는다’에서는 이 같은 관점과 문제의식을 토대로, 우리가 잘 알지 못했거나 잘 안다고 생각했으나 사실은 잘 몰랐던 근대 유산의 다양한 현장들을 직접 찾아가 소개하고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되짚어본다.

일제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기 시작하던 옛 궁궐과 왕릉, 수난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옛 서울역, 우리와 희로애락을 함께해온 극장, 빵집, 서점 등의 장소들, 산업화 시대의 공장과 굴뚝, 궁핍한 시대 속에서도 피어났던 예술혼과 가려졌던 이야기, 수탈의 아픔이 새겨진 철길과 역사, 추억의 애잔함이 묻어나는 우체국, 사연이 숨어 있는 곳곳의 건물들, 도처에 산재한 애환 가득한 생활의 흔적 등 오늘의 우리와 직접 맞닿아 있는 근대의 역사, 그 역사의 현장성을 생생히 느끼면서 근대 유산을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