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세 가지 자기 인식…자신감, 자존감, 자부심
상태바
인정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세 가지 자기 인식…자신감, 자존감, 자부심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4.03.23 1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 | 크리스토퍼 주언 지음 | 박형신 옮김 | 한울아카데미 | 368쪽

 

이 책은 3세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가장 중요한 철학자 악셀 호네트에 대해 다룬다. 악셀 호네트는 통찰력 있고 폭넓은 인정이론(theory of recognition)을 통해 프랑크푸르트학파가 주창한 비판사회이론의 전통을 결정적으로 다시 틀 지었다. 

호네트의 저작은 철학, 사회학, 심리학, 역사학, 정치경제학, 문화 비평의 통찰을 결합하여 인간 사회성의 도덕적 기반, 사회성과 현대 사회적 삶의 약속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은 다양한 분야에 걸친 호네트의 주요 공헌을 알기 쉽게 개관하며, 그의 사상의 장점과 약점을 평가한다.

저자 크리스토퍼 주언은 호네트의 다면적인 이론 및 그 이론과 다양한 주제 ― 개인의 정체성, 도덕성, 행동주의적 운동, 진보, 사회병리, 자본주의, 정의, 자유, 비판 등 ― 간의 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또한 주언은 그러한 작업을 통해 칸트, 헤겔, 마르크스, 프로이트, 듀이, 아도르노, 하버마스와 같은 고전 사회이론가뿐만 아니라 사회이론과 정치철학의 현대적 경향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지적 맥락에 호네트의 이론을 위치시킨다. 

호네트의 핵심 목표는 인정이론의 구축을 통해 정밀하고 설득력 있고 통찰력 있는 비판사회이론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그는 인정에 대한 비판사회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세 가지 실천적 자기 인식 형태를 자신감, 자존감, 자부심으로 구분한다. 자신감은 돌봄과 사랑을 조건으로 하고, 자존감은 법적 관계와 권리를 조건으로 하며, 자부심은 연대 관계를 조건으로 한다. 이 세 가지 자기 인식은 호네트 도덕철학의 토대를 이룬다.

호네트에 따르면, 그중에서도 자신감은 개인 정체성에 매우 근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건강한 자신감 없이는 자존감과 자부심 같은 더 높은 형태의 규범적 자기 존중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사랑의 인정 관계는 권리와 사회적 연대를 통해 부여되는 형태의 인정에 우선한다고 호네트는 주장한다. 즉, 호네트의 결정적인 주장은 사회적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건강한 자아의식의 발달과 구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호네트의 사회이론 또는 사회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구 지성사의 폭넓은 지적 맥락 속에 그의 인정이론을 자리매김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저자 크리스토퍼 주언의 말대로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의 위대한 사상가들의 저작을 읽는 엄청난 도전”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주언은 이 책에서 먼저 호네트의 저작을 서구 사상사의 지적 맥락에 위치 짓는 하나의 방법으로 그러한 전통 중 가장 두드러진 몇 가지를 길잡이로 제시한다. 그리고 그다음으로 호네트의 초기 저작, 즉 『인정투쟁』에서부터 『이성의 병리』, 『물화』, 『무시』, 『재분배인가 인정인가?』를 거쳐, 주언이 이 책을 집필하던 당시 호네트의 최신 저작이었던 『자유의 권리』까지 아우르면서 호네트가 제시한 테제들을 인정이론의 맥락에서 차례로 검토한다.

크리스토퍼 주언은 이 책에서 “호네트의 저작을 역사적 자료, 주류 사회·정치이론, 비판이론의 경쟁하는 접근방식과 관련하여 위치 지음으로써” “비판사회이론에 대한 호네트의 독특한 접근방식의 핵심 관념과 주장을 명료하게 체계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