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의 유행이라는 시각에서 본 중국과 동아시아의 역사
상태바
감염병의 유행이라는 시각에서 본 중국과 동아시아의 역사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4.03.23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감염병의 중국사: 공중위생과 동아시아 | 이이지마 와타루 지음 | 이석현 옮김 | 역락 | 224쪽

 

이 책은 감염병의 유행이라는 시각에서 중국과 동아시아의 역사, 특히 19세기부터 20세기의 역사를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중국에서 기원한 페스트가 글로벌화되었고,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도 감염이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준 적이 있었다. 감염병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훨씬 큰 충격을 중국이나 동아시아 역사에 가져다주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은 페스트, 콜레라, 말라리아, 일본주혈흡충증이다. 이것들은 모두 원생 동물·세균과 바이러스를 원인으로 하는 감염병이다.

특정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걸리는 감염병을 역병이라고 부른다. “역병의 학문은 곧 인류문화의 역사와 밀착하며 서로 떨어질 수 없다”는 명언이 있다(富士川游 『日本疾病史』). 감염병은 사회의 방식과 깊이 관련되면서 정치·경제·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이는 감염병의 유행을 단순히 의학적인 문제로만 생각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중국의 감염병 유행에는 그때마다의 정치와 사회의 모습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제1장에서 다루는 페스트는 중국 남서부 윈난 기원 감염병으로 광둥성 전역 유행을 거쳐 19세기 말 홍콩에서의 유행을 계기로 세계화되었다.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하와이·북미, 나아가 동남아시아, 인도에서 아프리카로 감염이 확대되어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청일전쟁의 결과 일본의 식민지가 된 대만에서도 페스트가 유행했다. 이것은 잘 알려지지 않은 일이지만, 페스트의 유행이 일본의 대만통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되었다.

제2장에서는, 페스트 유행에 대한 대책이 진행되는 가운데, 중국에서도 공중위생이 정비되어 가는 과정을 다룬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중국이 공중위생을 확립하기 위한 모델로 삼은 것이 일본이라는 점이다. 일본은 19세기 중반부터 서양 의학에 근거한 공중위생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런 제도는 국내뿐만 아니라 대만과 만주에도 도입된다. 이런 가운데 확립된 일본 모델이 중국의 공중보건의 모델이 된 것이다.

제3장에서는 중국 역사와 큰 관련이 있는 세 가지 감염병을 다룬다. 콜레라는 인도 기원의 감염병으로 1817년 벵골 지방에서의 유행한 후 순식간에 동남아시아에서 동아시아, 또 중동에서 유럽으로 퍼졌다. 콜레라는 일체화가 진행되고 있던 19세기 세계를 상징하는 감염병의 하나이다. 그리고 중국에서의 사망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질병이다.

말라리아는 열대 지역에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이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군을 비롯한 많은 병사들이 말라리아로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역사를 읽다 보면 말라리아가 일본 열도에서도 유행했고,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중국 남부와 윈난, 대만, 그리고 오키나와에서도 많이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말라리아 유행은 논농사로 상징되는 농업의 방식과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일본 주혈흡충병은 이름 그대로 일본 에도 시대 무렵부터 유행하고 있던 기생충병이다. 중국에서의 역사는 더 오래되었는데, 한대漢代부터 광범위한 지역에서 맹위를 떨쳤다. 삼국지에 나오는 적벽대전에서 위나라 수군을 괴롭힌 것도 일본주혈흡충증이라는 설이 있다. 이 감염병의 유행 역시 수전 개발 등의 농업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 사회주의를 목표로 한 중국 공산당의 정책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렇다 치더라도 왜 이 병에는 '일본'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일까. 일본주혈흡충증은 감염병을 둘러싼 일본과 중국의 숨겨진 관계를 말해 준다.

중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 밖에도 거론해야 할 감염병이 많이 있다. 천연두, 이질, 장티푸스는 오랫동안 중국에서 중요한 사인이었다. 또한, 20세기 들어 공업화 및 도시화의 결과물인 결핵도 간과할 수 없다. 

20세기 중국은 감염병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서양 의학을 도입하고 공중위생제도를 정비했다. 중요한 것은 19세기 중반부터 급속히 근대화를 진행한 일본이 이 방면에서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이다. 

20세기 후반 중국은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경험하였다. 그 요인 중 하나는 감염증의 억제이다. 이렇게 곳곳에서 다양한 감염병 유행이 억제되면서 인류는 가까운 미래에 감염병을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이 확산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나아지지 않았다. 21세기 초반인 현재 빈곤이나 전쟁, 위생행정의 이완, 세균이나 바이러스, 그것들을 인간에게 매개하는 동물의 약물내성 출현, 감염증의 글로벌화 등으로 인류의 감염병 극복은 지극히 어렵다는 생각이 일반적이다.

감염병의 역사는 인류사의 주요 주제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이 책이 다루는 감염병은 모두 다수의 환자와 사망자를 내고 중국이나 동아시아 역사, 나아가 세계 역사에 큰 충격을 준 것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감염병의 중국사는 글로벌 히스토리의 중요한 한 부분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