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년간 청년 대졸자 실업률 OECD 순위, 14위에서 28위로 하락
- 청년 대졸자 실업률 증가폭(%p)…그리스(7.0) 〉 터키(1.7) 〉 덴마크(1.5) 〉 한국(0.7, 4위)
- 한국의 청년 대졸 실업 문제는 일자리 미스매치에 기인

한국 청년들의 교육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고수준이지만, 고학력 청년 실업자가 유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의 고학력자 실업률이 최근 10년간 상당 폭 감소한 반면 한국의 고학력자 실업률은 되레 악화한 것이다. 노동시장 체질개선과 산업계 니즈를 반영한 교육과정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OECD 국가의 청년(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 및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OECD 국가들의 평균 청년 대학졸업자(이하 대졸자) 실업률은 2009년 6.1%에서 2019년 5.3%로 0.8%p 개선된 반면, 한국은 5.0%에서 5.7%로 0.7%p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청년 대졸자 실업률 순위는 2009년 OECD 37개국 중 14위에서 2019년 28위로 14계단 크게 하락하며 하위권으로 밀려났다(실업률이 낮을수록 순위가 높음).
한편, 한국의 청년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 60.6%에서 2019년 69.8%로 9.2%p 올라 OECD 평균(8.6%p)보다 크게 증가했고, 비교대상 시점인 2009년 이후 줄곧 OECD 1위를 차지했다.

10년간 한국 청년 대졸자 실업률 OECD 순위 14계단 급락
OECD 청년 대졸자 실업률 0.8%p 감소 vs. 한국 0.7%p 증가
2009년~2019년 OECD 내 한국의 청년 대졸자 실업률 순위는 14위에서 28위로 14계단이나 하락했다. 이는 OECD 평균 청년 대졸자 실업률이 6.1%에서 5.3%로 0.8%p 개선된 반면, 한국은 오히려 5.0%에서 5.7%로 0.7%p 악화됐기 때문이다. G5의 청년 대졸자 실업률 변화를 살펴보면,▸미국 2.8%p(5.2%→2.4%)▸일본 2.1%p(4.7%→2.6%)▸영국 1.5%p(3.9%→2.4%)▸독일 1.4%p(4.0%→2.6%)▸캐나다 1.1%p(5.8%→4.7%)▸프랑스 0.6%p(6.4%→5.8%) 순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청년 대졸자 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OECD 37개국 중 한국을 포함하여 8개 국가 뿐이었으며, 증가폭 기준으로 한국(0.7%p)은 그리스(7.0%), 터키(1.7%p), 덴마크(1.5%p)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청년 대졸자 고용률 76.4%, OECD 37개국 중 33위
경제활동 안하는(비경제활동) 청년 대졸자 비율 18.9%, OECD 3위
지난 10년간 한국의 청년 고등교육 이수율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지만, 대졸자 고용률은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청년 대졸자 고용률은 2009년 73.9%에서 2019년 76.4%로 2.5%p 소폭 올랐으나, OECD 내 순위는 같은 기간 35위에서 33위로 여전히 최하위 수준에 머물렀다. 한경연은 “한국의 청년 대졸자 중 구직을 포기하거나 취업준비 등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율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2019년 한국의 청년 대졸자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은 18.9%로, 이탈리아(23.1%), 체코(21.1%)에 이어 OECD 3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고학력 청년 실업은 일자리 미스매치에 기인
대졸자 연평균 3.5%↑>고학력/제조업 일자리 연평균 2.2%/1.3%↑
한경연은 한국의 고학력 청년실업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에 대해서 “고학력을 요구하거나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속도가 대졸자 증가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지난 10년간 청년(25∼34세) 실업자 중 대졸자 비중은 56.3%에서 68.4%로 12.1%p 올랐다. 2009년~2019년 중 대졸자는 연평균 3.5% 증가한 반면, 고학력 일자리로 분류되는 관리자, 전문가 및 사무종사자 수는 연평균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소위 양질의 일자리인 제조업 고용도 연평균 1.3% 증가하며 대졸자 증가 속도에 미치지 못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교육 수준은 OECD 최고지만, 이들의 고용은 OECD 최하위권이다”라면서, “대졸 청년실업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사회·경제적 인적자본 손실이 심화될 수 있는 만큼 규제완화, 노동시장 체질개선 등을 통해 민간의 고용창출 여력을 개선하고, 산업계 니즈를 반영한 교육 커리큘럼 등 산학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게다가 기사에선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인 청년실업을 대학에 전가하면서, "산업계 니즈를 반영한 교육 커리큘럼"을 짜야 한다고 강변하는 해당기관 경제정책실장의 말을 덧붙이고 있군요.
대학지성 In&Out, 정말 이런 식으로 기관서 보내온 보도자료 그냥 복붙하실겁니까? 한국 재벌이 대학 먹어치우려고 이데올로기 공세하는 거 모르세요? 이런 식으로 대학 소프트랜딩 구조조정 하고자 하는 획책의 일환이라는 걸 모르시나요?
정신 바짝 차리시기 바랍니다! 대학의 본질에 부합하는 목소리를 실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