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한흑구
상태바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한흑구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4.01.27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 방민호·박진임·서주희·신재기·김시헌 외 2명 지음 | 아시아 | 344쪽

 

시, 소설, 평론, 수필, 영미문학 번역을 아우른 일제강점기 작가 한흑구의 삶과 문학을 총체적으로 재조명하는 책이다.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의 개척자로서 한흑구의 문학적 면모와 한국 수필문학의 개척자로서 한흑구의 선구적인 수필론과 수필문학의 특징을 통찰한 글, 미국문학의 영향 가운데 세워진 한흑구 문학의 ‘조선적 정체성’에 관해 탐구하는 글을 만나볼 수 있다.

방민호의 논문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의 네 가지 형식」은 부제로 삼은 ‘최재서·이효석·백석·한흑구’의 한국 영문학에 대한 개척자 내지 선구자로서 그 수용 방식의 차이와 의의를 면밀히 살펴본 글이다. 특히 이 논문은 백석의 키플링 소설 번역을 주시하고 한흑구의 키플링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경청하면서, 흑인문학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인 한흑구의 번역 및 비평 활동을 통해서 간취되는 한흑구 영문학의 특징은 무엇보다 한반도와 일본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던 작가나 시인, 비평가들과 달리 영문학에 스며들어 있는 제국주의적 속성을 객관적으로 인식한 바탕 위에서 전개된 것이라 밝히고 있다.

박진임은 논문 「한흑구 창작시와 월트 휘트먼」에서 한흑구 스스로 가장 흠모한 미국 시인이라고 표명한 월트 휘트먼이 그의 창작 시편과 문학정신에 끼친 영향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양자 사이에 존재할 수밖에 없었던 차이점도 찾아내고 있다. 그 과정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둔 휘트먼의 시집 『풀잎』과 그의 시대 및 미국문학의 전통에 대한 진술은 나라를 잃고 미국에서 고학하는 청년시인 한흑구의 시세계 형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서주희의 논문 「번역의 유토피아적 장소: 한흑구의 미국흑인 번역시를 중심으로」는 한흑구 문학에 나타난 미국의 모습과 한흑구의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그의 문학이 논의되면서 남달리 그의 관심이 깊었던 흑인문학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온 사정을 직시하여, 흑인문학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짚어보고 흑인문학과 한흑구 문학 간의 접점과 미끄러진 지점을 밝혀낼 뿐만 아니라, 한흑구 문학에서 번역이 갖는 의미를 집어내고 그의 오역 장면에 돋보기를 올려놓기도 한다. 특히 한흑구가 텍스트로 선택한 『뉴 니그로』의 역사적 의미를 짚어보고 한흑구가 번역을 통해 포착했던 1920년대~30년대 흑인문학의 실천적 측면과 비평으로써 번역이 갖는 의의를 조명하고 있다.

신재기의 논문 「한흑구 수필론 연구」는 제목 그대로 한흑구가 남긴 ‘수필론’을 중심으로 그의 수필관을 분석하면서 한국 수필문학의 개척자·선구자로서 한흑구의 문학사적 업적을 통찰하는 글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오늘의 문학교육 현장에서 수필을 고착적으로 에세이(중수필)와 미셀러니(경수필)로 양분한 것은 수정돼야 마땅하다며, 한국 근대문학사에 영미의 에세이 개념을 최초로 소개한 한흑구의 견해 그대로 경수필(형식적 수필)과 연수필(비형식적 수필)로 양분하고 이를 통용해야 합당하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밝혀준다.

한편, 김시헌(1925~2014)의 「한흑구론: 유화와 같은 수필」은 한흑구가 자신의 수필론에 따라 창발한 시적 수필을 예리하게 분석한 글이다. 고통은 인간의 성격을 창조한다. 이는 틀림없는 말이다. 장소는 인간의 성격을 창조한다. 이는 더 정확한 말이다. 고통도 장소가 수렴하는 것이다. 한흑구 문학의 두드러진 특징은, 그의 글쓰기가 그의 삶이 이뤄진 장소를 문학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무릇 삶과 문학이 장소를 벗어날 수는 없겠으나, 과연 장소가 한흑구 문학을 창조했다고 말할 수 있게 해주는 글들을 그는 남겨두었다.

김미영의 논문 「한흑구 문학에 나타난 평양, 미국, 포항의 장소감」은 구조주의적으로 공간과 장소를 분석한 캐나다의 지리학자 에드워드 랠프의 『장소와 장소상실』, 현상학적이고 인문학적으로 지리를 탐구한 중국계 미국인 인문사회학자 이 푸 투안의 『공간과 장소』, 이들 저서를 이론적 근거로 삼아 한흑구 문학에 서린 평양, 미국, 포항의 장소감을 분석적으로 제출하고 있다. 그의 고향인 평양을 가운데에 놓고 살펴볼 때, 미국에 체류한 청년기 문학의 평양과 포항에 정착한 장년기 문학의 평양은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희정의 논문 「한흑구 문학에 나타난 미국 인식과 조선적 정체성」은 한흑구의 미국 체험이 담겨 있는 소설과 수필, 평론 등 문학 작품을 통해 식민지 조선인으로서의 미국 경험과 그것을 통한 자기 인식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한흑구 문학은 일제식민지 당시 미국유학의 경험이 조선인 작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끼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특히 그는 미국을 체험하면서 물질주의의 냉정함을 단지 환멸적으로만 보지 않고, 그 안에서 미국이 가진 열정을 찾으려 스스로 다지고 노력하였으며, 이를 몸소 행동으로 실천하고자 애썼던 것을 밝혀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