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상태바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 고현석 기자
  • 승인 2023.11.18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RF 이슈 리포트]

 

현재 한국의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재생산 체계는 열악한 연구 예산과 연구자 생계의 불안정,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성과 산출 등과 맞물려 위기에 처해 있다. 한국 사회에서 기초 학문이 설 곳은 더 이상 없다.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재생산의 실패는 필연적으로 한국 사회의 문제해결능력 상실로 연결된다. 이제 본격적으로 중장기적인 발전안을 도출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한국연구재단은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당사자들이 이 위기를 직접 진단해 보고 정책적 관점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기 위한 보고서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방안 개선안』을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재생산의 실패로 인한 기초학문 토대의 붕괴를 심각한 위기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후속세대 당사자의 입장에서 본 지원방안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내에는 연령과 생애주기, 학위 수료·종료 여부, 젠더, 지역, 국적 등에 따라 다양한 층위가 존재한다. 연구·교육환경 및 연구자로서의 경력 설계도 연구자 개인이 처한 위치와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보고서는 이러한 점을 의식하여 학문후속세대 내부의 층위에 따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원책을 점검하고 여기에 당면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차후 실태 조사 시 필요한 내용을 시론적 차원에서 제시했다. 

 

◇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학문후속세대 지원제도 점검 및 수요조사 제언

ㅇ 학문후속세대 지원 정책은 첫째, 연구자의 삶에 밀착한 통합적 학술 정책을 구상하고, 둘째, 연구자에 대한 차별 없는 체계적 지원을 제공하고, 셋째, 인문사회 분야 연구자에게 특성화된 개인 맞춤형 지원 방안을 설계하고, 넷째, 인문사회계와 이공계를 막론한 기초 학문의 균형적·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생애주기에 따라 접근해야 한다.

ㅇ 현재 ‘학문후속세대’로 범칭되는 신진 연구자는 대학원 과정의 단계와 전업 여부, 학계 내 정착 여부를 기준으로 ㉠ 대학원 진입 이전 시기 ㉡ 석·박사 학위과정 시기 ㉢ 전업연구자 트랙(㉢-1 수료생-학위논문 작성 시기 / ㉢-2 박사 후 취업 전 시기), ㉣ 전업연구자 외 진로 트랙으로 구분할 수 있다. 

ㅇ 그러나 ▲ 대학원 진입을 유도하는 지원 정책의 부재 ▲ 대학의 한국연구재단 개인 연구과제 사업 주관기관 승인 거부 사태 ▲ A유형 지원을 위한 연구소 모색의 어려움 등이 해결 과제로 제시되었고, 향후 ▲ 개인 연구 과제의 증가 및 다변화 방안 개발 ▲ 출산,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연구자에 대한 실태 조사 등의 과제가 제기되었다.

ㅇ 또한 학문후속세대가 각각의 생애주기에 따라 어떤 지원책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해야 할 내용으로는 ㉠ 대학원 진입 이전 시기에는 대상자 분포 분야, 진학 동기 및 결정 요인, 진학 방해 요인, 희망 대학원 환경 등을, ㉡ 석·박사 학위과정 시기에는 체계적 교육 환경 및 커리큘럼, 안정적 연구 환경 등을, ㉢ 전업연구자 트랙에서는 생계보장, 사회보장 체계 내 지위 부여, 일-생활 균형, 연구 지원 및 진로 정보 접근 등을, ㉣ 전업연구자 외 진로트랙에서는 분야별 전문성 획득 전략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ㅇ 인문사회 분야에는 여성 연구자 지원 정책이 부재함을 지적하고, 학술정책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여성 연구자의 경험과 입장을 중심으로 학문후속세대 정책을 재설계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 비수도권 대학원 학문후속세대 육성의 현황과 제언

ㅇ 비수도권 인문사회 분야 대학원의 학문후속세대 양성은 지역 인재의 양성 및 지역 간 균형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최근 비수도권 인문사회계 대학원에는 관련 학과의 통폐합, 연구 인프라의 수도권 집중화, 노동시장 진입에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인해 대학원생 유입이 많지 않다.

ㅇ 이러한 상황에서 BK21 플러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방 대학 인문계열 학과들은 미참여 학과에 비해 대학원 입학 인원 및 재적 인원에서 운영상의 이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BK21 플러스 사업 지원을 위한 양적 연구 성과 제출 등이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 풍토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여 연구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ㅇ 그러므로 비수도권 인문사회 분야 대학원이 지역 인재 배출 및 지역 사회 발전과 긴밀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 역량이 충분한 시간과 안정적인 환경에 달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패러다임에 입각해 이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ㅇ 장기적으로는 비수도권 인문사회계 대학원의 학문후속세대 육성 기능 활성화를 위해 ▲ 지역 기반 연구 커뮤니티 활성화 ▲ 수도권에 집중된 연구 인프라의 지역 확산 ▲ 비수도권 인문사회계 신진 연구자들의 진로모델 모색 및 구축 등을 위한 학술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 외국인 대학원생 교육·연구환경 문제와 개선 방안

ㅇ 현재 국내 대학원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그들의 재학·졸업·졸업 후 진로에는 큰 관심이 없다.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 및 정책은 대부분 학부와 대학원 문제를 구분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ㅇ 외국인 대학원생들은 교육 및 학술 정책의 사각지대에 위치하여 외국인 전담 조직 부재,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 외국인 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의 한계, 제한적인 수료생 지원 문제, 진로 지원 문제 등과 마주하고 있다. 

ㅇ 이에 따라 ▲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담 조직 신설 및 인력 확보 ▲ 언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모색 ▲ 외국인 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의 내실화 ▲ 수료생 지원 프로그램 확대 ▲ 진로 지원 및 연구 환경 조성 등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된다. 이뿐만 아니라 향후 외국인 대학원생이 연구자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요건, 외국인 대학원생이 마주한 교육·연구 환경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진로 설계 및 실제 진로 실태, 외국인 대학원생 및 연구자를 다루는 주체의 설정과 역할 부여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조사 및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학문후속세대 진로모델 검토 및 다양화 방안

ㅇ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선택할 수 있는 진로모델이 매우 한정되어 있는 현실에 문제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문사회계에 맞는 진로모델 다변화 및 공공인문학(public humanities) 개념 활용을 통한 새로운 산학협력모델 구축을 제안했다. 이러한 산학협력모델은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인적 자원을 인문사회 과학 전문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민간 분야(콘텐츠 생산, 지역 기반 역사·문화 사업, 출판, 언론, 정치 등)와 결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ㅇ 이를 위해 우선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진로 현황 및 설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진로모델이 시간강사/계약직 연구교수-극소수의 정규직 교수/연구직으로 극도로 제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후속세대가 생애주기에 따라 어떤 진로를 지향하고 선택하는지, 학업을 포기하는 비율과 사유는 어떠한지, 인문사회 전문 지식의 활용도와 활용 형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러한 실태 조사를 토대로 보다 다양하고 정교한 인문사회 분야 진로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ㅇ 이와 관련하여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을 사회에 확산시키는 모델로서 ‘공공역사(public history)’ 개념을 활용한 ‘공공인문학(public humanities)’ 개념 도입을 제안한다. 공공인문학 개념을 바탕으로 한 인문사회 분야 산학협력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문후속세대 생산 주체 및 연구자 진로 개발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형의 행위자 ▲ 인문사회 분야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하는 민간 분야 ▲ 민간 분야가 필요로 하는 인문사회계 인적 자원 및 전문 지식의 특성 ▲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와 민간 분야의 네트워킹 방법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ㅇ 향후 인문사회 분야를 대상으로 ▲ 박사급 신진 연구인력 공공기관 인턴십 프로그램 ▲ 연구자 단체의 공공인문학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지원 ▲ <인문학 협업 허브> 구축 ▲ 구미학계를 참고하여 공공인문학 성과의 연구 성과 인정 등의 정책 시행을 제안한다.

■ 학문후속세대-한국연구재단 소통 경로 구축 제언: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정책 파트너스> 신설

ㅇ 한국연구재단 실무진과 인문사회 분야 학문 후속세대 집단의 의사 교류를 촉진하는 교량(bridg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파트너스” 신설을 제안한다. “파트너스”는 인문사회 분야 대학원생·신진 연구자 중에서 연간 00명의 인원을 모집하여 ▲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집단과 한국연구재단 간 소통 창구 ▲ 민간 정책 홍보단 ▲ 정책자문단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실질적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연구재단 및 인문사회 분야 정책 기획 과정 및 그 의도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인문사회학계 인사들이 증가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