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간에 담긴 내밀한 역사와 시대를 넘어 전해온 절절한 마음
상태바
언간에 담긴 내밀한 역사와 시대를 넘어 전해온 절절한 마음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3.11.07 2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언간, 조선시대 한글로 쓴 편지 | 이남희 지음 | 은행나무 | 244쪽

 

지배계층인 사대부와 왕실이 한문을 사용하여 통치 이념을 세우고 나라를 다스렸으니, 조선은 ‘한문의 나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문은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한정되어 있었고, 섬세한 감정 표현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여성, 양민, 천민 등 대다수는 한문 대신 한글로 소통했고, 왕실과 사대부 가문에서도 수신인이 여성이면 주로 한글을 사용했다. 한문이 권위의 문자였다면, 한글은 상대를 위하는 마음이 담긴 ‘배려’의 문자였던 것이다. 자연스럽게 한글로 쓴 편지 ‘언간’에는 민중들의 역사가, 한문으로는 기록될 수 없는 역사가 생생하게 기록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남성과 여성, 왕과 사대부와 양민과 궁녀와 천민 등 다양한 사람들이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언간에 담긴 무궁무진한 이야기를 탐색한다. 조선시대의 딱딱하고 엄격한 유교 윤리들과 달리, 언간에서는 자녀에 대한 걱정이나 부부간의 다정한 사랑 등 오늘날의 우리와 닮은 마음들을 발견할 수 있다. 왕실과 사대부 가문의 언간에서는 종래의 정치사, 제도사에는 드러나지 않은 권력자의 솔직한 감정, 정치에 관여하려 했던 왕후의 시도, 한문으로는 적을 수 없던 비밀스러운 뒷이야기 등 역사가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순간들이 담겨 있다. 또한 저자는 언간에 쓰인 종이나 글쓰기 양식 등 형태·형식적인 측면에 드러난 당대 사람들의 정서와 문화까지 읽어낸다.

한문으로 쓰인 편지들과 달리 언간은 모두에게 열려 있는 ‘보편적인 글쓰기’였지만, 처음부터 널리 사용되었던 것은 아니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1443년 이후 한글로 「용비어천가」와 같은 노래를 짓거나 불교 서적을 옮기거나 『삼강행실도』를 발행하는 등 한글 보급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고 가사나 시조 등의 한글로 된 문학이 발달하면서, 16세기 중반부터 한글은 전국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시기에 여성들이 쓴 언간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때부터 언간은 성별, 계층의 고하를 뛰어넘어 쓰이는 공유물이 된다. 한문 편지보다 광범위한 관계에서 사용된 것이다.

언간이 활발하게 쓰이면서 예절과 형식 등 언간 고유의 문화도 발달한다. 대표적인 예로 『언간독』이라는 편지 서식집이 유통되었는데, 현대의 편지처럼 사회적 관계나 손위, 손아래 관계에 맞는 적절한 형식을 정리한 것이었다. 서식집에 수록된 상투적인 표현들은 실제로 다양한 언간에서 확인되었고, 서식집 발행 이래로 점점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과 형식은 현대의 편지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언간의 형태에는 조선시대 고유의 문화가 묻어난다. ‘신언서판’이라는 말처럼, 글씨는 그 사람을 평가하는 하나의 잣대가 되었기에 가족 구성원의 편지를 대필해주는 사람도 있었고, 궁중에서는 글씨를 잘 쓰는 상궁이 왕실, 특히 왕후의 언간을 대신 쓰기도 했다. 글씨체 역시 초기에는 한문 서체를 모방한 서체가 널리 쓰였으나, 궁중에서는 기품이 있는 글씨체를 따로 연구해 ‘궁체’를 사용했다. 또한 받는 상대에 맞춰 종이의 재질과 봉투의 유무 등을 다르게 했다.

공적인 한문 편지와 다르게 언간은 주로 사적인, 내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선조의 편지에는 병을 앓는 정숙옹주를 향한 다정한 걱정의 말과 딸을 위해 허준에게 친히 처방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효종은 편지에서 딸 셋이 똑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낸 것에 서운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사대부가의 언간에서는 첩을 들인 남편에 대한 아내의 구구절절한 원망이 드러나고, 유배를 간 추사 김정희의 언간에는 두고 온 아내를 걱정하는 마음과 아내를 잃은 슬픔이 드러난다. 이처럼 언간에는 타인에 대한 원망과 서운함, 애절한 마음 등 솔직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 왕실에서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엄밀하게 단속하였고, 반대로 사대부의 언간은 가문의 역사와 전통을 보여주는 한문 편지와 함께 소중하게 보관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흥선대원군은 독특하게도 남자인 아들에게 한글 편지를 보냈다.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에 압송되어 지내던 대원군은 3년간 톈진에 유배되는데, 그때 이재면에게 한문 편지 대신 언간을 보낸다. 내용은 타국에 유폐된 자신을 구해달라는 요청과 정치 판도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라는 것인데, 한문으로 쓰면 편지의 내용이 노출될 위험이 있어 일부러 한글로 쓴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외교사절이 기밀 사항을 한글로 써서 전하는 등, 한자 문화권에서 한글은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외에도 명성왕후가 조선 후기의 정치가 송시열에게 조정에 복귀해달라고 보낸 언간은 왕후가 적극적으로 정치에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송시열은 명성왕후와 주고받은 언간에서 명성왕후를 ‘여중요순’, 즉 여인 중의 요, 순 임금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정치적 연합의 시도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멀리서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지금과 달리, 먼 거리와 긴 시간을 지나 도착한 언간은 마음을 달래주는 소중한 선물이자 무덤까지 가져가는 일생의 보물이었다. 그러니 언간에 담긴 마음은 사랑이든, 원망이든 그 무엇이든 절절할 수밖에 없다. 언간을 이해하는 일은 곧 시대를 넘어 도착한 마음에 가닿아 역사를 새로이 이해하는 일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