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경암상에 임현진·심흥선·주영석·이태우 교수
상태바
제19회 경암상에 임현진·심흥선·주영석·이태우 교수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3.09.18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부문별 각 2억 원의 상금 및 상패 수여
- 11월 3일(금) 오후 3시 30분 부산 서면 경암홀에서 시상식 개최 예정

 

(왼쪽부터) 인문사회 분야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 자연과학 분야 심흥선 KAIST 교수, 생명과학 분야 주영석 KAIST 부교수, 공학 분야 이태우 서울대 교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공 

경암교육문화재단(경암재단)은 18일 ‘제19회 경암상’ 수상자 4명을 확정하고, 명단을 발표했다. 

부문별 수상자는 △인문사회 임현진(74) 서울대 명예교수 △자연과학 심흥선(50) KAIST 교수 △생명과학 주영석(41) KAIST 부교수 △공학 이태우(49) 서울대 교수 등 4명이다.

故 경암 송금조 태양그룹 회장이 전 재산을 출연하여 설립한 경암교육문화재단(이사장 진애언)은 2004년 『경암상』을 제정, 매년 인문‧사회/자연과학/생명과학/공학 등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학자들을 선정, 시상하여 올해로 제19회를 맞았다.

경암상 수상자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학문적 독창성과 세계적 수월성이다. 경암상위원회(위원장 신성철, 前 KAIST 총장)는 제19회 경암상 수상자 선정을 위하여 우선 전국 대학 총·학장, 주요 학회장, 3인 이상의 대학교수 등 전문가들로부터 51명의 수상 후보자를 추천받았다. 이후 각 6~7인의 저명한 석학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분야별 심사위원회에서 2차에 걸쳐 공정하고 엄격한 심사를 진행하여 분야별 수상 후보자를 선정한 후, 경암상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번 제19회 수상자로는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분야에서 경암상 취지에 부합한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이룬 네 명이 선정됐다. 신성철 경암상위원장은 “특히, 이번에 선정된 과학기술분야 수상자들은 모두 50세 이하의 국내 ‘토종’ 박사로 국내에서 시작한 독창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적 선도학자로 도약할 수 있는 매우 기대가 되는 탁월한 연구자들”이라고 언급했다.


【제19회 경암상 수상자】


▶ 인문‧사회: 임현진 명예교수(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임현진 교수는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패러다임으로 ‘결손국가’의 개념을 확립하였고, 계급과 계층을 ‘세’라는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의 자본주의적 산업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럽의 조합주의 설명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국가 단원주의’의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의 정치경제체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강중국’의 개념으로 한국사회의 발전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지구시민사회’라는 개념으로 세계질서의 갈등과 협력을 설명하는 이론 틀을 확대 발전시켰다. 임현진 교수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으로 사회과학의 통섭과 융합을 실천해왔으며, 이를 현실에서 적용하여 한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기여해왔다.


▶ 자연과학: 심흥선 교수(KAIST 물리학과)

심흥선 교수는 새로운 입자의 존재를 입증하고 스핀구름을 발견하여 현대물리학의 미해결 난제를 해결했다. 심 교수는 양자 전기소자 및 양자기술에 대한 독창적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관련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SRC 선도연구센터장, 한국 나노-중시물리 연구회 회장으로 중시물리 국내 연구거점을 구축하여 후학을 양성하며 차세대 양자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심 교수는 입자들의 기존 분류법인 보존, 페르미온을 따르지 않는 새로운 입자 애니온(Anyon)의 존재를 2023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새로운 입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업적은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기여로 인정받기 때문에 추후 노벨상 수상도 조심스럽게 예측된다. 이와 같이 심 교수는 양자물리이론 연구로 기초과학 발전과 국가의 미래 산업 토대 구축에 의미있는 기여를 하고 있다. 


▶ 생명과학: 주영석 교수(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는 유전체 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젊고 유망한 의사 과학자로서 유전체 분석을 질환 분석에 접합시켜 암 발생 기전의 새로운 원리를 제시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가고 있다. 

유전체 분석기술은 인체 질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폐암에서 새로운 암 발생 원인으로서 유전자 융합(gene fusion)을 증명하였으며, 폐암이 악성종양의 형태로 진화하는 과정을 유전체 돌연변이로 증명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폐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감염모델에서 인간 폐 파괴기전을 규명하였다.


▶ 공학: 이태우 교수(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는 유기/하이브리드 광전자 소자 연구의 권위자로서 페로브스카이트 LED 소자 분야의 연구를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활발한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총 인용수 28,000회를 기록하고 있고, 사이언스, 네이처 등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2019년 이후 계속 국제 학회에서 자주 인용되는 논문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로 선정된 바 있다. 

이 교수는 학술적인 기여뿐만 아니라 산업 분야에서도 많은 역할을 하여 8건의 핵심원천 특허를 활용하여 교원 창업을 하였고, 지금까지 약 3억5천만 원의 기술이전 업적을 이루었다. 이 교수의 유기/하이브리드 반도체를 활용한 고효율 지능형 플렉서블 광전자 소자 분야 업적은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을 비롯한 국가 기간 산업에 지대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