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상태바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 고현석 기자
  • 승인 2023.04.15 2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TEP 정책브리프]

 

세계 빅테크 기업에서 초거대 생성형 AI 서비스인 ChatGPT가 출시되면서 최근 전 세계적인 화두로 등장했다.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GPT-3.5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이다.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3(2020.6.)는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 셋을 사용해 머신러닝을 통해 문맥의 의미를 이해한 사전학습 후, 특정한 태스크에 대해 파인튜닝을 수행하는 자연어 이해 및 생성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모델로 기존 버전에 비해 큰 주목을 받았다.

ChatGPT로 촉발된 언어모델 기반 서비스의 가능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언어모델과 생성형 AI 챗봇 서비스 출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에서도 한국어 기반의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다수의 스타트업들에서도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생성형 AI에 관한 주요 이슈와 과학기술적 과제를 정리한 KISTEP 브리프 66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저자: KISTEP 과학기술정책센터 고윤미·심정민)을 13일 발간했다. 
 

◇ 브리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 산업적 영향

업무 효율화를 극대화하고 신규 창작물을 빠른 속도로 생성하면서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ㅇ 콘텐츠 산업, IT 산업, 제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ㅇ 기술연구전문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가 생성형 AI 업계를 조사한 결과, 최소 700개 이상의 기업이 경쟁 중으로 시장선점을 위한 기업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 (1) 텍스트 요약 (2) 감정 분석 (3) 텍스트 번역(이상 텍스트 분석) (4) 가상 비서 (5) 챗봇 구축 플랫폼 (6) 챗봇 프레임워크 및 NLP 엔진(이상 대화형 AI) (7) 글쓰기 도구 (8) 코드 생성 (9) 검색 (10) 언어 모델 등 10개 카테고리로 분류 

                                        출처: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 AI타임즈(2023.3.20.)

ㅇ 글로벌시장조사기관인 CB insights가 발표(2023.2.)한 생성형 AI 관련 글로벌 스타트업 250개 중 미국기업이 126개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이어 인도/영국 각 14개, 이스라엘 12개, 캐나다 10개, 프랑스 6개, 중국/호주/일본 각 5개, 네덜란드/스페인 각 4개였다. 한국기업은 시각미디어 분야의 딥브레인AI, 디오비스튜디오, 클레온 등 3개에 불과해 13위를 차지했다.

▶ 기술적 역량

우리나라의 생성형 AI 관련 기술적 역량은 압도적 선두국가인 미국, 중국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이다.

ㅇ 최근 5년간 생성형 AI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전체 논문 수는 총 2,682건으로 전체 5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19,318건(1위), 미국 11,624건(2위), 인도 4,058건(3위), 영국 3,484건(4위)이었다.

ㅇ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총 70건으로 조사대상국 중 7위 수준으로 1위(미국), 2위(중국)와격차가 큰 편이었다. 미국은 691건(1위), 중국 565건(2위), 영국 144건(3위), 독일 107건(4위), 호주 93건(5위)이었다.

ㅇ 세부 기술분류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이미지 생성형 AI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고 다음으로 자연어처리(NLP), 비디오의 순이었다.

인용 수 대비 상위 1% 논문은 이미지 생성형 AI 분야에 집중됐으며, 자연어 처리(NLP) 분야의 경우 전체 논문수에 비해 인용수 대비 상위 1% 논문 비중이 저조한 편이었다. 미국은 자연어처리(NLP) 생성형 AI분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미지 생성형AI 분야의 논문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처: 클래리베이트 분석결과(2023.3)

▶ 해결과제

ㅇ 허위정보, 저작권, 논문 표절,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답변의 윤리 이슈, 부정행위, 학습능력 및 창의성 저하 등 예기치 않은 위험 이슈가 존재한다.

ㅇ 일부 개발자 및 기업 영향력이 집중되면서 인간의 편견이 시스템에 반영되거나 이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국가안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ㅇ 주요국에서는 적극적으로 규제조치를 시행했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사이언스에서도 ChatGPT를 논문 저자로 인정하지 않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2023.1.).


■ 시사점

▶ 초거대 AI는 산업의 지형을 완전히 바꿀 파괴적 혁신으로 전망되므로 우리나라 초거대 AI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 필요.

ㅇ 정부에서는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며, 생성형 AI에 관한 R&D사업도 추진 중.

ㅇ 민간과 협업하여 혁신적 기술의 발전 속도에 발맞추어 이머징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체계 및 기초・원천연구 강화

ㅇ AI 분야의 R&D 투자 현황 및 부처별 전략・계획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술공백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 및 투자필요영역 발굴

▶ 우리의 AI 기술적 역량은 선도국과 격차가 큰 상황으로 AI 경쟁력 고도화를 위해 요구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필요

ㅇ AI 기술 초격차를 위한 생성형 AI 기술개발 우수인력 확보 및 양성 강화

ㅇ 생성형 AI 관련 데이터 구축・개방, 컴퓨팅 파워 및 자원 제공, 윤리 및 신뢰성 확보 등 산업생태계 기반조성

ㅇ AI 관련 원천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산학연 협력 및 딥테크 창업기업 지원을 강화할 필요

▶ 생성형 AI에 대한 진흥을 강화하는 한편, 장단기적으로 미래 위험 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를 검토할 필요

ㅇ AI 튜터 도입, 딥페이크 등 잘못된 정보에 따른 미디어보호 등을 통해 AI의 전반적 활용을 강화

ㅇ 새로운 기능 도입에 따른 출시 전 테스트 강화, 국가 안보 위험성 사전 검토 등을 통해 생성형 AI의 안전성을 국가 차원에서 보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