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후연구원 전담기관 설립 시급하다…교육·멘토링 지원과 소통 채널 운영도 필요
상태바
박사후연구원 전담기관 설립 시급하다…교육·멘토링 지원과 소통 채널 운영도 필요
  • 고현석 기자
  • 승인 2023.03.18 2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RD 이슈 페이퍼]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 인력 및 통계조사, 독립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전담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경로 다양화를 지원할 수 있는 교육과 멘토링 지원뿐 아니라, 경력개발 정보를 파악하고, 나아가 다양한 동료들과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소통 채널의 운영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이러한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박사후연구원 경력개발 현황 및 지원방안〉(필자: 황준선 부연구위원)을 이슈 페이퍼로 3월 8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박사후연구원 관련 국내 정책과 지원사업 현황, 해외의 박사후연구원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박사후연구원 지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됐다.

박사후연구원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임시적으로 ‘연수’하는 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박사 추적조사를 통해 추정한 결과, 3년 미만의 국내 박사후연구원은 총 5,000명(1년차 2,300명, 2년차 1,600명, 3년차 1,100명) 규모로 추정되며, 4년차 이상의 비정규직 연구자가 최대 8,000명 규모로 추정되어 총 재직 인원은 최대 13,000명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채용 공고를 통해 박사후연구원의 규모를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학(2,514명), 정부 출연(연)(1,205명), 4대 과기원(499명)에서 연간 4,218명을 채용하는 것으로 그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박사후연구원에 관한 통계 조사의 한계로 규모 및 근로조건 등 상세 정보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박사후연구원은 연구자 생애주기에서 가장 창의성이 높고 연구활동이 왕성한 시기이며, 경력 성장의 초기 단계로서 전주기적 진로 및 경력개발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박사후연구원은 개인이 선택한 경력경로라는 인식과 비정규직 연구원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역량 및 경력개발은 개인의 영역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연수기관 내의 지원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박사후연구원이 연수직으로서 교육·훈련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재정 중심의 지원과 연수책임자를 통한 지도에만 의존한다면 공공자금을 통해 양성된 우수한 인적 자본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ECD는 박사후연구원의 불안정성 감소를 위해 ‘예측 가능한 직업 전망 제공’, ‘폭넓은 전문적 경력개발 및 훈련 제공’을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 정책 연구에서도 재정 지원 이외의 차별화된 지원 요구를 시사한 바 있다.

주요국 사례와 같이 우수한 연구 인력이 전문성을 더욱 높일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경력개발 사례와 일자리 소개를 통해 적재적소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우리나라의 연구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연구인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내 박사후연구원 지원정책 및 사업

ㅇ 지원정책: 정부는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박사후연구원의 연구 능력 배양과 심화 연구 몰입을 지원하는 다양한 펠로우십을 신설했으며, 2022년 발표한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지원 및 경력개발 서비스, 경력설계 지원 등 과학기술인의 경력경로 다양화를 위한 정책을 지원했다.

ㅇ 지원사업: 박사후연구원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은 세종과학펠로우십, 박사후 국내·외 연수, 창의·도전연구 기반 지원, 출연(연) 맞춤형 인력향성 등 네 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박사후연구원 재직 규모에 비해 수혜 비율이 낮은 실정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운영하는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은 경력개발,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과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반면, 그 외 세 개 사업은 재정 외의 지원이 없는 실정이다.

▶ 주요국 박사후연구원 지원 현황

ㅇ 미국, 독일은 박사후연구원 지원을 전담하는 별도의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국은 박사후연구원을 포함한 과학기술인력을 위한 경력개발 전담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 미국은 2002년 ‘Next Wave Postdoc Network’ 회의에서 박사후연구원의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기반으로, 박사후연구원 지지를 위해 2003년 박사후연구원협회(NPA, National Postdoctoral Association)를 창립했다.

현재 대학, 국립연구원, 협회 등 215개 기관과 회원사, 80,000명의 박사후연구원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박사후연구원들의 경력개발에 주력하여 경력개발 지원 제도를 수립하고, 각종 가이드 및 툴킷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ㅇ 미국, 독일, 영국의 주요 기관과 대학은 재직하고 있는 박사후연구원 지원을 위한 별도 조직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량 및 경력개발 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 미국은 대학, 연구기관 내 자체 박사후연구원 지원 조직을 두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Harvard, Standford, Yale, MIT, Johns Hopkins 등 주요 대학은 자체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이트를 운영 중이며, 동시에 전담 지원 조직을 통해 박사후연구원의 성공적인 정착, 역량개발, 경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 멘토링, 진단 등 맞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Boston, Michigan, Wisconsin, Northwestern 등 대학이 연합하여 ‘Postdoc Academy’를 설립하고, 이 기관을 통해 박사후연구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Postdoc Academy’는 NPA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과정을 설계·운영하는 등 전담 기구와 개별 지원 기관의 연계가 우수하다.


▶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개발 인식 및 실태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은 주요국에 비해 박사후연구원 규모가 작고, 국가 차원의 지원이나 지침, 별도 지원 조직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 박사후연구원은 경력개발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개인적 인맥에 의존하여 경력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ㅇ 박사후연구원의 진로 고민 여부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가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며, ‘매우 고민하고 있음’ 응답 비율이 40%로 가장 높았다. 고민의 주된 내용은 취업준비 부족(38%)과 진로 불확실성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38%)으로 나타났다.

ㅇ 박사후연구원 응답자 중 91.6%가 경력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5.4%는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ㅇ 경력개발 활동 중 대내외 훈련 프로그램 참여도 조사 결과, 박사후연구원 다수(78%)가 개인적인 방법으로 학습하고 있으며, 연수기관 내 체계적인 경력개발 체계와 프로그램의 부재로, 재직 기간이 증가하면서 연수기관 훈련 프로그램 참여는 감소하고, 외부 훈련 프로그램 참여는 증가했다.

ㅇ 진로상담 및 정보 교류 등 오프라인 경력개발 활동은 주로 선배나 동료(47%), 연수책임자(32%)를 통해 도움을 받고 있으며, 연수기관(9%) 및 정부기관(1%)의 교육이나 멘토링 등에 대한 활용 비율은 낮았다. 특히 1군 대학은 선배 및 동료를 통한 도움이 53.8%로 높은 반면, 그 외 대학은 연수책임자에 대한 도움이 38.5%로 가장 높았다. 연구기관에서의 도움은 출연(연)이 12.1%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참여자 대상 교육과 KIRD 박사후연구원 기본교육 등 대학 대비 제도적 지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박사후연구원의 경력개발 활동이 개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박사후연구원들은 인적 네트워크의 유무에 따른 정보의 격차를 우려하고 있다.

ㅇ 한편, 박사후연구원은 진로 준비가 어려운 이유를 국가 정책적 관심 부족(36%), 양질의 진로 정보 부족(20%), 지원 기관의 부재(9%)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직기간 증가에 따라, ‘정책적 관심 부족’ 및 ‘지원 기관의 부재’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

ㅇ 박사후연구원을 지원하는 전담 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1%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27.9%의 응답자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 시사점

ㅇ 박사후연구원 지원 전담 기구 설치 및 활성화 필요
• 박사후연구원 지원을 전담하는 총괄 역할 수행
• 정책연구 및 통계조사 수행
• 안정적 연구 활동기반 지원

ㅇ 경력개발 및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운영 필요
• 진출 경로 다양화를 위한 경력개발 교육 운영
• 박사후연구원 맞춤형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다각화

ㅇ 경력개발 정보 교류 및 네트워크 기반 마련 필요
• 박사후연구원의 진출 경로 다양화를 위한 맞춤 경력개발 정보 지원
• 박사후연구원 및 청년 과학기술인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 운영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