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과기원에서 반도체 핵심인력 집중 양성
상태바
4대 과기원에서 반도체 핵심인력 집중 양성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2.05.30 21:1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종호 장관, 반도체 기업 대표, 4대 과학기술원 총장 간담회 개최
- 4대 과기원 전체로 반도체 계약학과 확대 (연 200명 양성)
- 반도체 대학원(전공) 설치 (석·박사 연 500명 이상 양성)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3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반도체 인재양성 간담회' 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국 양 DGIST 총장, 김기선 GIST 총장, 김정호 KAIST 교수, 정은승 삼성전자 사장,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광형 KAIST 총장, 이용훈 UNIST 총장, 왕성호 네메시스 대표, 고서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 황규철 DB하이텍 사장.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초격차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인력 양성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과 4대 국가 과학기술원이 힘을 합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종호 장관이 초격차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반도체 핵심 인력양성을 위해 3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산업계 대표, 과학기술원 총장 등과 간담회를 개최해 이같이 발표했다.

이 장관을 비롯해 ▲정은승 삼성전자 사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황규철 DB하이텍 사장 ▲왕성호 네메시스 대표 ▲이광형 KAIST 총장 ▲김기선 광주과기원(GIST) 총장 ▲국양 대구경북과기원(DGIST) 총장 ▲이용훈 울산과기원(UNIST) 총장 ▲김정호 KAIST 교수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학회장 등이 자리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종호 장관의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방문(5.24)에 이어, 4대 과학기술원(이하 ‘과기원’)이 선도적인 산학 협력을 통해 양적·질적으로 부족한 반도체 핵심 인력양성에 적극 나서기 위한 행보이다.

최근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반도체 분야 협력 강화를 재확인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 강점 분야인 메모리 분야는 글로벌 리더십을 확고히 하면서, 우리가 부족했던 비메모리 분야 경쟁력도 키우기 위해 관건이 되고 있는 반도체 핵심인력의 양성과 활용에 4대 과기원을 활용하여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간담회에서는 그간 과기정통부가 산업계, 과기원 등과 논의해 온 반도체 인력양성 협력방안과 향후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해 반도체 핵심 인력양성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ㅇ 간담회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❶ 과기정통부는 반도체 설계 인력양성을 위해 시스템 반도체 설계 실무인력(학사급) 양성사업*과 인공지능(AI)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석·박사급) 사업의 내년도 예산확보를 통해 신규로 지원할 계획이다. 향후 5년간 특화교육과정 운영, 반도체설계구현 실무인재 3140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❷ 산업계와 함께 학사급 반도체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뿐만 아니라 광주과기원(GIST), 대구경북과기원(DGIST), 울산과기원(UNIST)도 반도체 계약학과를 도입하여 2023년부터 연 200명 이상 양성하고자 한다.

❸ 석·박사급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운영 중인 산학협력 대학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도 반도체대학원 또는 반도체 전공 설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연간 220명 수준의 석·박사 인력배출을 향후 5년 내 500명 이상으로 확대한다.
*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 프로그램: KEPSI(SK 하이닉스 협력), EPSS(삼성전자 협력)
  (울산과학기술원)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21~): 연간 35명 선발

❹ 반도체 설계, 공정 등 실전 경험이 풍부한 산업계 출신 박사급 교수 채용과 산학협력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 (한국과학기술원) 평택 반도체 캠퍼스 활용 산업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광주과학기술원) 개방형 화합물 반도체 특화 팹 구축을 통해 산학협력 확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 중심으로 산학 협력 프로젝트 운영
  (울산과학기술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학연구센터를 통해 기초/실무 융합인재 양성

❺ 세계적 수준의 해외 대학, 연구소, 기업과 4대 과기원간 반도체 분야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도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버클리 인공지능 반도체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협의중)
  (광주과학기술원) 노벨 아마노 연구센터 운영, GIST-MIT 인공지능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협의중)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퍼듀대 인공지능 반도체 공동연구, 스탠포드 지능형 반도체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협의중)
  (울산과학기술원) 프린스턴 대학 및 펜실베니아 대학과 반도체 공동연구(확대 협의중)

이종호 장관은 “초격차 반도체 기술 경쟁력 확보의 관건은 기초가 튼튼하고, 창의성 높은 양질의 인재를 충분히 양성하여, 연구와 산업부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반도체와 같이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기술분야는 산·학·연 협력을 통한 인력양성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하고 “4대 과학기술원이 산업계와 함께 산학협력 인재양성 모델을 선도적으로 추진하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핵심인력의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간담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토대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향후 수립하는 반도체 지원방안에 적극 반영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과기정통부, 반도체 기업, 4대 과기원이 공동으로 참여하는「반도체 인력양성협의회」를 정례화하여, 산학협력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새로운 협력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과학 2022-06-02 18:04:43
KAIST, GIST, DGIST, UNIST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고,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은 사기업이네요.
그래서 몇 가지 의문이 드는데요...
반도체라는 특정 산업 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는 무엇보다 먼저 그로 인해 이득을 얻는 사기업에서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수익자 부담 원칙이란 이럴 때 적용되는 게 아닌가요?
국민 세금이 사기업의 성과로 이전됨으로써 창출되는 이윤에 대해 국가는 어떤 이득 환수 조처를 취하고 있나요?
이에 대한 답이 없다면, '산학협력'이란 그저 산업계가 대학에 꼽는 빨대에 다름 아닐 터이겠지요.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