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하는 깊이에 닿을 수 있는 똑똑한 3차원 마이크로니들
상태바
목표하는 깊이에 닿을 수 있는 똑똑한 3차원 마이크로니들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1.12.21 2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안구, 뇌 같은 조직에서 목표하는 깊이의 신경세포 선택적 자극 실마리
- 애벌레 가시털이 생쥐 피부 뚫는 작은 힘으로 삽입, 조직 손상 최소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 임매순 선임연구원, 이병철 책임연구원, 노현희 학생연구원, 박진수 학생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나노팹센터 강동현 전문원 (왼쪽부터)

욕실 바닥 타일의 틈새까지 닿기 위해서는 길이가 다른 솔이 촘촘히 배열된 청소용 브러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인체 조직 내 여러 깊이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들에 가까이 다가가 이들의 신호를 기록하고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길이가 서로 다른 신경전극 다발로 만든 마이크로 니들 (microneedle, 초미세 신경 전극 다발)이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임매순, 이병철 박사 연구팀(노현희, 윤영준, 박진수, 강동현 등) 이 다양한 길이의 미세전극이 촘촘히 배열된 마이크로 니들을 제작할 수 있는 보다 단순한 반도체 공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신진연구지원사업과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재료과학 및 나노기술 분야 국제학술지‘나노-마이크로 레터즈(Nano-Micro Letters)’에 12월 9일 게재(온라인)되었다. 

 

복잡한 굴곡이 있는 뇌, 망막 같은 3차원 조직 내 여러 층에 분포하는 신경세포들로부터 오는 신호를 동시에 기록하는 한편 원하는 위치의 신경세포만 자극하기 위해서는 제각기 다른 길이의 전극들로 구성된 마이크로 니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신경전극을 개별로 제작 하고 조립하는 복잡하고 반복적인 방식을 거쳐야만 했다. 

연구팀은 길이가 다른 신경전극을 각각 따로 제작하는 번거로움 없이 원하는 길이 배열 정보를 담은 포토마스크 디자인을 이용해 다양한 길이의 신경전극 다발을 한 번에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또 끝을 뾰족하게(전극 말단 단면 폭: ~145nm) 하면서 종횡비를 높여 (25:1) 목표하는 신경 층에 정확히 위치하면서도 삽입 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날카롭고 얇은 압정과 못이 벽에 더 부드럽게 잘 박히는 것과 같은 원리로, 실제 제작된 마이크로니들은 기존 연구 대비 100배 가량 작은 힘으로도 생쥐 뇌에 삽입될 수 있었다. 이는 애벌레 가시털이 생쥐 피부를 뚫는 힘과 비슷한 정도이다.

한편 단위면적당 625개까지 미세전극을 아주 촘촘히 배열함으로써 신경신호를 대량으로 읽어낼 수 있어 복잡한 신경망의 기능적 연결 관계를 밝히는 것에 유용하도록 설계하였다. 

공정 최적화와 소자의 생체적합성, 전기적 특성 평가 등을 계획하고 있는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한 고밀도 신경신호 분석이 뇌의 효율적 동작원리 규명 등을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현희 학생연구원은 “실명한 동물 안구 내에 소자를 이식하고 망막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인공 시각을 구현하는 전자약 실험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