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뜬 브레인칩, 전기신호와 광학신호 동시에 측정
상태바
눈 뜬 브레인칩, 전기신호와 광학신호 동시에 측정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1.12.13 1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두꺼운 광섬유 대신 카메라 단위소자를 머리카락 두께 브레인칩에 집적
- 신경활성 측정과 동시에 뇌 영역별, 신경세포 종류별 시각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일주 박사(좌)와 한국뇌연구원 추남선 박사(우)

브레인칩이 눈을 달았다.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성을 측정하는 브레인칩에 어떤 세포에서 오는 신호인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카메라 기능을 더한 것이다. 

우리 뇌는 서로 다른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에서 활동 하는 신경세포들도 저마다 다른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를 종류에 따라 다른 색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면 질환에 관여하는 특정 세포만을 찾아내고 자극하려는 뇌질환 치료 시도를 현실화하는 발판이 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조일주 박사 연구팀(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신경활성을 측정하는 브레인칩에 카메라의 단위소자인 포토다이오드를 고밀도로 집적, 세포 특이적인 형광신호를 전기신호와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머리카락 두께 크기의 브레인칩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 사업 및 미래뇌융합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11월 19일 게재되었다. 

 

기존에도 0.5mm 굵기의 광섬유로 뇌 피질이나 해마 등 뇌 표면 근처 부위를 시각화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빠르게 변하는 전기적 신호와 반응이 느린 형광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는 어려웠다. 크기 때문에 뇌 심부를 측정하거나 뇌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측정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미세유체공학 및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기존 전기신호 측정용 브레인칩에 카메라 단위소자인 포토다이오드를 집적시키는 데 성공했다. 기존 광섬유 대비 약 30 배 작아진 셈이다.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면서 해당 신호를 보이는 세포의 위치와 세포 종류 정보를 세포 특이적 형광신호를 통해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어레이 형태로 제작하여 뇌의 여러 부위에서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제작한 브레인칩을 쥐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부위에 이식하여 광자극을 주면서 여러 종류의 세포 중 흥분성 세포의 빠르게 변하는 활성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제작된 브레인칩이 신경세포 종류별 역할을 규명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특정 질환에 관여하는 뇌회로와 특정 세포를 자극하는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