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철학의 과감한 전복, 삶을 사랑하는 자는 신을 사랑할 수 없다
상태바
데리다 철학의 과감한 전복, 삶을 사랑하는 자는 신을 사랑할 수 없다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1.03.14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급진적 무신론: 데리다와 생명의 시간 | 마르틴 헤글룬드 지음 | 오근창 옮김 | 그린비 | 400쪽

이 책은 자크 데리다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기반으로, 특히 시간과 욕망의 문제에 집중해 데리다에 대한 새로운 독해를 제시한다. 데리다 사유에서 소위 윤리적 또는 종교적 전회가 있었다는 지배적인 통념에 맞서서, 저자는 데리다의 철학에서 시종일관 급진적 무신론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의 논지는 시간의 구성에 대한 데리다의 성찰로부터 출발한다. 그는 데리다가 어떻게 동일성, 윤리, 종교, 정치적 해방의 조건을 급진적 무신론의 논리에 따라 재사유하는지를 보여 주고, 데리다에 대한 다른 주요 해석들을 비판하면서 삶과 죽음, 선과 악, 자기와 타자 등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저자는 데리다의 입장을 해명할 뿐 아니라, 그의 논리를 전개시키고 강화하며 그 함축을 추적한다. 그 결과는 시간과 욕망 및 주권과 민주주의 등의 긴급한 현대적 이슈와 같은 철학적 주제에 대한 획기적인 탈구축이다.

왜 급진적 무신론인가? 대개 기존의 무신론이 신 존재나 불멸성 같은 관념을 부정하는 것이었다면, 저자는 자신의 무신론이 신과 불멸성에 대한 욕망 자체를 그 근간에서부터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보다 급진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제목이 ‘급진적 무신론’인 까닭은 특히 책의 4장에서 잘 드러나는데, 거기서 저자는 데리다 사유에서 윤리적 또는 종교적인 전회를 읽어내는 기존의 데리다 해석을 정면으로 비판한다. 다시 말해 그는 종교적 전통에 바탕을 둔 많은 철학자들과 현상학자들(존 카푸토, 헨트 데 브리스, 리처드 커니 등)을 매혹했던 후기 데리다의 주요 개념들(메시아주의, 신앙, 종교성 등)에 대한 매우 상이한 해석을 전개한다.

아무것도 상실될 수 없는 그런 무시간적인 충만함으로서의 불멸성 또는 시간의 작용으로부터 면제된 절대적인 것이라는 신학적 통념은, 저자가 데리다 철학에서 주목되지 않은 중요 개념으로 치켜세우는 생존에 대한 욕망과 양립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생존에 대한 욕망은 필멸적 삶에 대한 욕망이지 전통적인 의미의 불멸성에 대한 욕망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시간적 유한성으로부터 면제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순수생명은 순수죽음과 다를 바 없는 것이 된다. 왜 불멸이나 순수생명이 죽음과 다를 바 없는가? 저자가 해석하는 데리다에 따르면, 우리가 무언가를 욕망하고 삶을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바로 그것들이 유한하고 필멸적이기 때문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데리다의 정치철학은 비폭력이 아니라 더 적은 폭력을 추구하는 것이 되는데 이는 절대적 평화는 절대적 폭력과 다를 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목소리와 현상』에서의 한 구절, 곧 “궁극적으로 쟁점이 되는 것, 근본에서 결정적인 것은 시간 개념”이라는 착상에서 출발하여 데리다 전체 논의에서 시간이 갖는 함축을 상세하게 풀어 나간다. 그에 따르면 공간내기, 기록, 차-이, 탈구축 등 데리다의 핵심 개념들은 시간 개념과 관련해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 하나 특기할 만한 것은 그가 데리다의 핵심 개념으로 내세우는 자기면역은 해로운 타자뿐 아니라 스스로를 공격할 수도 있는 면역 작용으로서, 타락가능성이나 위반가능성을 항시 동반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그가 “무한한 유한성”이라고 부르는 시간은 근본적으로 흔적의 구조를 지니며 기회와 위협을 동시에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해명을 토대로 하여 저자는 어떻게 데리다의 논의가 칸트, 후설, 레비나스, 라클라우에 대한 명시적 또는 암묵적 비판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수미일관한 논리로 풀어낸다. 이러한 논의는 종종 데리다를 모종의 칸트주의자로 해석하거나 레비나스와 데리다가 유사한 타자철학을 전개했다는 식의 표준적 해석들과 대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저자는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정체성의 구성이나 윤리의 폭력성, 민주주의, 정치적 해방 등에 관한 철학적 이론들을 시간적 유한성 또는 무한한 유한성의 견지에서 재사고하도록 해준다고 주장한다. 그렇기에 급진적 무신론은 이 책의 부제에서 드러나듯 ‘생명의 시간’을 그 주제로 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자크 데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