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관리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사회제도로 형성되었는가?
상태바
기록관리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사회제도로 형성되었는가?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4.03.30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기록관리의 세계: 이론에서 실천까지 | 김유승·김자경·김지현·박지영·설문원 외 7명 지음 | 한울아카데미 | 528쪽

 

기록은 개인과 집단의 기억을 보존함으로써 인류의 지식을 풍요롭게 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기록은 조직 활동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뒷받침하는 권위 있는 정보원이다. 활동의 증거, 정보와 지식으로서의 가치가 기록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록관리는 이러한 기록의 가치를 보호하고 실현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기록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는다면 믿을 만한 정보도, 역사의 증거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다. 현대 기록관리에서는 증거의 엄밀성은 물론 지식자산으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회적 기억을 보존하기 위하여 이론과 실천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그때 그 기록이 없었다면? 이 질문에 우리는 많은 답을 할 수 있다. 진실을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재산권을 보호받지 못했을 것이다. 피해를 구제받지 못했을 것이다. 아무도 그들을 기억하지 못했을 것이다. 역사를 쓰지 못했을 것이다. … 우리는 이 밖에 수많은 상황에서 기록이 수행하는 역할을 말할 수 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기록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부나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은 설명책임(accountability)과 투명성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핵심 메커니즘이 기록관리이기 때문이다.

1장 기록과 기록관리에서는 기록의 본질과 특성, 그리고 기록관리의 사회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록이 왜 개인이나 조직 차원뿐 아니라 사회제도를 기반으로 관리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150여 년간 기록관리를 위한 방법론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개괄하고, 기록관리의 중심 주체로서 기록전문직의 가치와 제도도 간략하게 서술했다.

2장 기록관리제도의 역사에서는 서구와 한국을 중심으로 기록관리가 어떻게 제도화되고 나라별로 어떤 특성을 갖는지 다루었다. 먼저 근대 이후에 초점을 맞추어 서구 기록관리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 독일의 기록관리제도가 각각 어떤 특징을 갖는지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록관리제도가 어떻게 변천했는지를 고찰했으며 특히 현대에 비중을 두고 서술했다.

3장 민간기록의 이해에서는 민간기록을 개인, 시민공동체, 시민단체, 기업과 같이 기록의 생산·관리 주체별로 범주화하거나 사회적 사건, 일상, 예술 등과 같이 기록화 영역별로 범주화하여 각각의 특징과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민간의 기록관리 방식을 수집형과 참여형으로 나누어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 있다.

4장 기록의 평가선별에서는 20세기 이후 전개된 기록 평가선별의 역사를 등장 배경과 핵심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영미권과 한국 평가선별제도의 특징적 측면들을 소개하고 있다.

5장 기록의 분류와 기술에서는 기록 조직을 정리, 분류, 기술, 메타데이터로 구분한 후 기본 개념, 관련 원칙과 변천 과정, 주요 표준들을 상세히 설명했다. 아울러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 조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국제표준 동향을 통해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 공공기록 조직화 현황과 사례도 함께 소개했다.

6장 기록의 보존에서는 기록보존의 개념과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는데, 예방적이고 사전적인 보존 전략은 물론 사후적인 보존 조치, 기록매체별 취급법과 열화 및 훼손 원인별 대비법을 제시하고, 재난대비 방법 및 계획도 다루고 있다.

7장 기록정보서비스에서는 기록정보서비스의 개념과 절차를 시작으로 서비스의 유형, 이용자 유형별 정보 요구와 서비스 전략, 서비스 평가, 정책과 윤리 등을 포괄적으로 설명했다. 한편 디지털 환경에서 기록정보서비스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동향과 전망을 기술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데 필요한 과제도 제안하고 있다.

8장 알권리와 정보공개에서는 알권리의 개념을 권리의 성격과 대상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서구에서 정보공개제도가 어떻게 형성·변화해 왔는지를 추적하는 한편 비교적 일찍 정보공개법령을 제정한 한국에서 법을 이행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데 시민단체의 정보공개운동이 어떻게 기여했는지도 밝히고 있다.

9장 전자기록관리에서는 먼저 전자기록의 개념과 구성요소, 품질요건을 정리하고, 국제표준(ISO 15489-1)에 제시된 기록관리 과정을 전자기록의 측면에서 설명했다. 한편 블록체인, 클라우드, 인지기술 등 날로 새로워지는 정보기술이 기록의 생산·관리에 미증유의 도전을 안겨주는 상황에 대처하는 기록관리계의 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10장 전자기록시스템에서는 기록전문가가 알아야 할 기록시스템 관련 기본지식과 동향을 다루었다. 먼저 기록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기록전문가의 역할을 제시하고, 기록시스템 관련 국제표준을 포괄적으로 소개했다. 이어서 한국 공공부문의 기록시스템 관계 유형을 설명하고 기록생산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으로 나누어 시스템의 특징, 기능요건, 사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기록시스템 발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기록관리,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의 적용, 시스템 개발 방식의 혁신에 필요한 기술과 방법론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 11장 디지털 보존 정책에서는 먼저 디지털 보존의 개념과 보존 전략, 관련 표준을 설명했다. 이어서 유럽 4개국(네덜란드, 덴마크, 스위스, 영국)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8개국 국가기록관리관이 수립한 디지털 보존 정책을 비교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