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성신여대·군산대 등 13개大 기사회생…일반재정지원 추가 선정 교육부의 일반재정지원 대상에서 탈락했던 인하대와 성신여대 등이 구제를 받게 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2∼2024년 일반재정지원 대학 추가 선정 가결과를 17일 각 대학...
뉴스 “국정 교과서 주도한 ‘권성연’ 교육비서관 임명 즉각 철회하라!”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교육비서관으로 임명된 권성연 씨에 대한 교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대학공공성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전국역사교사모임 등 교육 관련 단체들은 각각 입장문을 발표하고 박근혜정부가 추진했던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의 실무 작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
오피니언 [민경찬 칼럼]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세상 만들기 [김범수 칼럼] 코로나가 일깨워 준 대학의 본질 [시론] ‘범유행세’의 역사 교육 [조동일 칼럼] 시대의 변천 … 중국과 한국 ⑧ [시평] 재일조선인 서사가 미국/애플TV를 만났을 때 [시론] 한국의 ‘반중’ 정서, 어떤 징후로 읽어야 하는가
최신뉴스 한국해양대 홍성화 교수, 제13대 한국해사법학회장 취임 26세 이상 대학 신입생 2.6% 역대 최고…10년만에 2배 늘었다 “국정 교과서 주도한 ‘권성연’ 교육비서관 임명 즉각 철회하라!” 전남대 홍창국 교수 이녹스학술상 수상 아주대·인천대·항공대, ‘국토교통 DNA+ 융합기술대학원’ 선정 흩어진 소재 연구데이터 통합·공유…신소재 발굴 등에 활용 전남대 은종방 교수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상 수상 김완진 서울대 명예교수, 조선시대 한글소설 『빙빙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 한국ILO협회, 5월 20일(금) 2022 국제노동 정책토론회(Ⅰ) 개최 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양성사업, 고려대·KAIST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
한국해양대 홍성화 교수, 제13대 한국해사법학회장 취임 한국해양대학교(총장 도덕희) 홍성화 항해융합학부 교수가 지난 20일 개최된 ‘2022년 한국해사법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 공동학술대회’에서 제13대 한국해사법학회장으로 취임했다.한국... 전남대 홍창국 교수 이녹스학술상 수상 전남대 은종방 교수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상 수상 제18회 KAIST 조정훈 학술상에 크랜필드 대학(Cranfield University) 신효상 교수 2022년 5월 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용 교수 선정
대학단신 김완진 서울대 명예교수, 조선시대 한글소설 『빙빙전』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증 POSTECH, 2022년 차세대 리더 연구자로 김준성·강병우·한정우 교수 선정 올해 ICT 석박사 66명 MIT 등 해외 유수 대학·기업에 파견 민교협 등 16개 연구자단체,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 촉구 625돌 세종 나신 날 기념 시민음악회 열려…공공기관의 외국어 남용 신고 행사도
인기기사 1 인하대·성신여대·군산대 등 13개大 기사회생…일반재정지원 추가 선정 2 재일조선인 서사가 미국/애플TV를 만났을 때 3 한국ILO협회, 5월 20일(금) 2022 국제노동 정책토론회(Ⅰ) 개최 4 한국의 ‘반중’ 정서, 어떤 징후로 읽어야 하는가 5 선거 기호에 숫자가 꼭 필요할까
학술·교육 [글로벌 고등교육] 프랑스, 그랑제꼴 입학에 필수인 교양시험 ▶ 프랑스 엘리트 양성소인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프랑스 사회과학 중심의 최상위 명문 그랑제꼴*)에서는 2021년에 입학생들의 사회 배경을 다양화하기 위해 급진적 결정... [연구보고서]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규모와 특성(Ⅱ):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과 지원사업 분석 박사후연구원은 대학 연구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연구자 개인의 경력 경로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간이다. 그러나 박사학위자 증가에 비해 정규직 일자리가 정체되면서 노동시장이 ... [열린연단] 인간 자유의 본질…자유의 이중성과 파시즘의 유혹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5강_ 이진우 포항공대 명예교수의 「인간 자유의 본질」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버 스퀘어 종... [글로벌 학술동향] LIBER, 출판사와 OA 협상시의 4가지 권고사항 발표 유럽연구도서관협회(LIBER: Ligue des Bibliothèques Européennes de Recherche – Association of European Research... [글로벌 고등교육] 미국인 74%, “대입에서 인종 고려되면 안 돼” ▶ 최근 대입 과정에 대한 연방 대법원과 대학 자체 조사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대입에 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 [열린연단]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 헤겔 자유론 ■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제4강_ 나종석 연세대 교수의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 헤겔 자유론」네이버문화재단의 아홉 번째 시리즈 ‘자유와 이성’ 강연이 매주 토요일 서울의 네이... [R&D BRIEF] 연구 재현성 위기 극복을 위한 「출판 보장형 연구 사전 심의제」 (registered reports) 네이처의 2016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0% 이상의 연구자가 다른 연구자의 실험을 재현하는 데 실패했고, 절반 이상이 자신의 실험을 재현하는 데 실패했다고 응답했다.또한 영... [글로벌 학술동향] 캐나다, 오픈액세스 현황 및 과제 캐나다 대학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권위있는 웹사이트인 University Affairs는 “Is Canada Ready for Open Access?”란 기사를 통해 세...
연구성과 KAIST, 생체 조직 내 여러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탐지하는 고성능 기술 개발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 기술 대비 5배 이상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 “정전기는 당신의 움직임을 알고 있다” 예기치 못하게 나타나 더 따갑게 느껴지는 정전기. 불청객으로 느껴지는 이 정전기도 쓸모가 있다. 신체의 움직임으로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내는 정전기 소자(Triboelectric n... KAIST, 실제 약물로 개발되는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국내 연구진이 물리화학적 아이디어를 인공지능 딥러닝에 접목해 기존의 방법보다 일반화 성능이 높은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리간드란 수용체와 같은 큰 생체 분자... 인하대, 10배 더 향상된 기능 가진 고성능 근접센서 개발 인하대학교는 기계공학과 강태준 교수와 물리학과 정종훈 교수 공동연구팀이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가 발생하는 현상(Pyroelectric Effect, 초전현상)에 기반한 고성능 근접... 물리식 접한 AI, 배터리 용량 예측 향상시킨다 자가용과 버스, 택시에 이르기까지, 최근 도로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면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 KAIST,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 개발해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 분해 성공 KAIST(총장 이광형)는 신소재공학과 박찬범 교수 연구팀이 저주파 자기장 반응성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질환을 유발하는 ... 금/세리아/그래핀 기반 코어-쉘 광촉매로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 발생률을 달성하다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이인환 교수팀이 고효율 그린 수소생산을 위한 삼원계 Au@CeO2/Gr 코어-쉘 광촉매 개발했다. 이인환 고려대 교수팀의 Dung van Dao 연... 인공지능 광음향기술로 고속·고해상도 혈관영상 찍는다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이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을 광음향 현상...
현안 · 이슈 [정책연구보고서] ‘혐오의 정치학’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해법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_ 〈‘혐오의 정치학’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해법〉 2010년대에 들어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를 낙인찍어 비인간화하고 차별과 폭력을 조장하는 ... [시사 포커스]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과 시사점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생산량과 폐기물 발생량은 늘어나고 있으나 재활용률은 9%에 불과하다. 화석연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생산, 환경적으로 건전하지 않은 폐기물 처리, 해양으로 유입... [이슈와 논점]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통합 논의의 시사점 과거 종합토지세와 재산세를 근간으로 하던 우리 나라의 부동산 보유세제는 2005년 종합토지세를 폐지하고 기존 부동산 보유세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사안들을 해결하고자 국세인 ‘종합... [정책연구보고서] 기후변화 시대에 인문학의 역할은 무엇일까? 기후변화는 세계적으로 긴급한 이슈이다. 이러한 상황을 맞아 학문의 세계는 다양하게 반응하고 있다. 크게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기존의 학문들이 기후변화의 상황을 다루는 것이고, 다... [시사 포커스]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2022년 4월 9일 국회의 총리 불신임 투표가 가결됨에 따라 파키스탄의 임란 칸(Imran Khan) 총리가 총리직에서 물러났으며, 셰바즈 샤리프(Shehbaz Sharif)가 ... [현안분석] 입법조사처 “가상자산소득 금융투자소득으로 보고 기본공제 250만원해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국정과제에서 암호화폐(가상화폐) 과세 보류를 발표한 가운데 국회 입법조사처가 과세를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며 반대 의견을 내놨다. 가상자산소득을 곧 시행이 예정... [복지이슈] 한국인들 10명 가운데 2명 이상 ‘갑자기 큰 돈 필요할 때’ 타인 도움 받기 원하지 않아 19~60세 한국인들 10명 가운데 2명 이상은 ‘갑자기 큰 돈이 필요할 때’와 같은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도 가족 등 타인의 도움 받기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같이 ... [이슈&진단] 직접민주주의 실현 위해 읍·면 ‘주민총회’ 설치하고 기초자치단체화 해야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읍·면 단위로 주민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주민총회’를 설치하고 재정 자율성·책임성을 부여하는 등 기초자치정부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경기연구원...
연재 · 문화 [김영명의 생활에세이] 세계화, 영어 공용화, 다문화, 촛불 혁명, 그리고 이젠? 박근혜가 탄핵되고 감옥에 가자 ‘촛불 혁명’을 이루었다고 흥분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다 알다시피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결과는 너저분했다. 당시 어느 토론회에서 60대 중반... [이병주 문학세계] 나림 이병주, 그를 회고한다 ‘태양에 바래이면 역사가 되고 월광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역사는 산맥을 기록하고 나의 문학은 골짜기를 기록한다’ 지난해 나림 이병주(1921~1992) 탄생 100주년에 이어 올... [류근조 詩房] 넝쿨 장미에 대한 의혹 류근조(柳謹助) 논설고문/중앙대학교 명예교수·시인 전북 익산 출생. 인문학자. 雅號 이경(裡耕). 1966년『문학춘추』로 등단. 시집《나무와 祈禱》, 《목숨의 盞》, 《입》, 《날... [심재우의 ‘법률과 사건으로 보는 조선시대’] 조선의 열악한 감옥 환경 옥중에서 자행되는 가혹행위사회고발 소설 『활지옥(活地獄)』이 폭로하듯이 청나라 말기의 감옥은 각종 불법과 비리가 만연한 생지옥과 같았다. 그런데 조선의 감옥 사정도 이와 별반 다름... [공연 소식] 뮤지컬 ‘정-의’…스마트폰으로 인해 단절된 세상 속에서 진정한 소통을 찾아가는 공연 사회적 고립감에서 벗어나 말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제공하는 뮤지컬 ‘정-의’가 6월 1일 한양레파토리씨어터에서 막을 올린다.스마트폰의 등장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 [김환규의 과학에세이] 공포의 본질 감정은 의식적이고 주관적인 상태를 말한다. 공포는 동물계의 기본적인 감정의 하나로, 공포 감각은 신경계에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본능적으로 작용한다. 동물행동학자들은 공포를 방어 행... [연호탁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다시 쫓아가는 乙支文德…유목민 索鍾의 후손인가, 인도계 혈통인가? ■ 연호탁의 ‘말로 푸는 역사 기행’ (78)_ 다시 쫓아가는 乙支文德…유목민 索鍾의 후손인가, 인도계 혈통인가? 국립박물관에서 열린 에 간 것이 벌써 십수 년 전의 일이다. 둔황... [최승연의 뮤지컬 인사이트] 아나테프카의 유대인, 그리고 2022년의 한국 뮤지컬 이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되고 있다(주관 서울시뮤지컬단, 총괄프로듀서 김덕희, 연출 정태영, 번역·가사 박천휘, 편곡·음악감독 김길려, 2022. 4. 22~5. 8)...
북캐스트 [저자에게 듣는다] 지도자의 ‘본색’에서 국가 흥망의 열쇠를 발견하다 ■ 저자에게 듣는다_ 『지도자 본색: 1인자의 본심을 읽어야 국가의 운명이 보인다』 (김덕수 지음, 위즈덤하우스, 272쪽, 2022. 04) 1.우리에게 익숙한 “인간은 정치적 ... [나의 책, 나의 테제] 신자유주의를 넘는 새 노동체제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 나의 책, 나의 테제_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와 민주 노조 운동』 (노중기 지음, 후마니타스, 408쪽, 2022. 04) 오늘날 우리 한국은 자랑스러운 선진국이다. 전전(戰前)... [책을 말하다] 몸의 공능과 언어의 공능을 종합하는 정체공능(整體功能)의 시론 ■ 책을 말하다_ 『정체공능과 해체의 시론』 (이재복 지음, 도서출판b, 365쪽, 2022. 04) 이 책은 저자가 몸의 공능과 언어의 공능, 다시 말하면 몸의 공능과 같은 언어... [리베르타스] 내 삶은 얼마나 진실한가 –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지금 배가 부른데 빵집 옆을 지나면서 빵을 훔치는 것과 똑같잖아.”“그게 어때서? 빵이 때로는 참을 수 없을 만큼 좋은 냄새를 풍기는걸.”『안나 카레니나』에 등장하는 두 남성의 ... [저자에게 듣는다] 체제-공간-이동의 불협/화음 ■ 저자에게 듣는다_ 『잔여와 잉여: 근현대소설의 공간 재편과 이동』 (오태영 지음, 소명출판, 512쪽, 2022. 03) 한국 근대 최초의 장편소설로 평가 받고 있는 이광수의 ... [저자에게 듣는다] 근대유럽의 설계자: 생시몽·생시몽주의자 ■ 저자에게 듣는다_ 『근대유럽의 설계자: 생시몽ㆍ생시몽주의자』 (육영수 지음, 소나무, 344쪽, 2022. 03) 1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Continuity and T... [나의 책, 나의 테제] 공감정치와 중도정치 ■ 나의 책, 나의 테제_ 『감정구조와 한국 사회: 상생과 통합의 정치를 찾아서』 (홍성민 지음, 한울아카데미, 575쪽, 2022. 03) 무릇 ‘서평’이라고 하면, 학식과 덕망... [리베르타스] 사랑하는 사람은 결코 길을 잃지 않는다 꽃을 주세요 우리의 고뇌를 위해서꽃을 주세요 뜻밖의 일을 위해서꽃을 주세요 아까와는 다른 시간을 위해서노란 꽃을 주세요 금이 간 꽃을노란 꽃을 주세요 하얘져가는 꽃을노란 꽃을 주세...
신간소개 철저한 고증과 사실적 기록에 입각한 조선시대 전염병의 역사 철학의 구축과 반건축(反建築) 민주주의 제도 이면에 들끓는 권력욕과 오판 타자의 책임을 주창하는 얼굴의 철학자, 레비나스의 삶과 철학 “이 미친 차별이 대수롭지 않다면, 당신은 방관자거나 가해자다.” 한국 대표 현대시의 종합적 이해와 감상 세 개의 시대와 네 개의 관점으로 그려낸 사회학 이론의 풍경 로마의 종교적 신념과 관행을 형성한 가장 근본적인 요소들 서구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세계질서와 문명등급이라는 유령 현대 주체와 자기 해석학의 계보를 추적한 명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