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석(語釋) 및 가락의 분석으로 옛사람들의 서정을 밝혀내다
상태바
어석(語釋) 및 가락의 분석으로 옛사람들의 서정을 밝혀내다
  • 박재민 숙명여대·고전시가
  • 승인 2023.05.07 2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저자 에필로그_ 『해독과 해석』 (박재민 지음, 태학사, 936쪽, 2023.03)

 

본저는 장르적으로는 고대가요 · 향가 · 고려가요 · 시조 · 가사를 담았고, 방법론적으로는 어학적 · 음악적 · 문학적 분석을 동원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서지학적 · 민속학적 방법도 동원하였다. 필자의 생애는 고전 작품의 기슭을 헤매면서 흘러갔다. 그것은 고되었지만 즐거웠고, 미진했지만 과분한 것이었다. 

논문에 몰두하던 약 20년 간의 기간은 되돌아보면 인생의 여정과 함께 흘러갔던 듯하다. 사람을 만나듯이 작품을 만났고, 그들과 대화하듯이 작품에게 말을 건넸으며, 험지를 여행하듯 작품의 기슭을 헤매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작품의 곳곳을 걷던 많은 좋은 학자들을 만났고 그것은 그 자체로 내 인생이 되었다. 그런데 가끔 그럴 때가 있다. 헤매긴 헤맸는데 도대체 무엇을 위해 헤매고 있는가, 난 지금 어디쯤을 걷고 있는가를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이 책은 그런 자각이 문득 든 2022년 봄에 처음 편집을 시작하였고 1년을 소요한 2023년 봄에 완간되었다.   


향가와 고려가요에의 관심

필자의 주된 관심은 고려가요와 향가에 있다. 고려가요로 학계에 데뷔했고 향가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니, 가장 중요한 시기마다 꼭 이곳을 찾았던 것으로 볼 때, 아마도 난 이 장르들을 가장 사랑했었나 보다. 

고려가요와 향가를 왜 사랑하냐고 누가 물을 때, 필자는 “그것은 신라인과 고려인의 서정 세계를 여는 門이기 때문”이라고 늘 대답한다. 현재 남아 전하는 25수의 향가와, 14수의 고려가요가 없었다면 우리가 어떻게 1000년 전 이 땅을 살던 이들의 서정 세계로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인가? 역사서의 대화로써, 몇 편의 한시로써도 추론 가능하겠지만 그래도 서정은 가락이 있고 음가가 살아 있는 향가와 고려가요에 밀도 높게 묻어 있다. 

그래서 필자의 연구적 관심은 두 장르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어석과 가락’에 집중되어 있기도 하다. 어휘의 뜻을 모르고서는 문학의 서정을 논할 수 없고, 근저에 흐르는 가락을 모르고서는 실질적 향유 느낌과 장르의 史的 전개를 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석의 근간을 이루는 원리를 적은 논문이 〈고등학교의 音借字 · 訓借字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그간 짙게 깔려 있던 향가 해독의 안개를 걷어내고 향찰 어법의 명료한 골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찰 어법의 골격을 한 문장으로 줄이면 “향찰의 한 어절은 한자(진짜 한자) + 차자(가짜 한자)로 결합으로 되어 있다”가 된다. 

가락 연구의 효용을 제시한 논문이 〈정석가 발생 시기 재고〉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고려가요의 가락 연구가 장르의 史的 전개를 논하는 학문적 도구로 긴요히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 고려인들의 노랫가락은 현전 자료들을 통하여 다시 입체적으로 선율화될 수 있음도 보였다.    


시조와 가사로의 확장

고악보에 나타난 가락과 문헌에 수록된 어법의 흔적들은 이후 필자가 조선의 장르인 시조와 가사로 연구를 확장시키는 데도 큰 도움을 주었던 것으로 회고된다. 고전 시가 분야의 난제 중 하나로 ‘시조의 발생 시기’가 있다. 장르 연원의 중요성에 詩歌 전공자의 열정이 더해져 이곳은 여전히 가장 뜨거운 논쟁처로 남아 있다. 필자는 악곡의 분석을 통해 이 테마에 뛰어들었다.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한 소고〉가 그것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시조는 고려인의 향유물이 아니라 조선초 즉, 15세기 태생의 문인들에 의해 비로소 창작되고 향유된 장르임을 확인하였다. 

어법적 방법론을 통해서도 시조 영역의 난제 해결에 가담하였다. 〈한글박물관소장 청구영언의 필사 시기에 대하여>가 그것이다. 한글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구영언은 이전에 〈진본 청구영언〉으로 불리던 것으로 김천택이 직접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책에 남아 있는 어법의 흔적은 이를 강하게 부정한다. 이 논문을 통해 어법의 흔적이 우리의 학적 혼란을 수습해 줄 가능성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보다 직접적으로 말하자면 “한글박물관 소장 청구영언은 1728년의 작품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늦은 18세기 말 또는 19세기 초 이후의 작품이다”가 된다.

미지의 기슭으로 떠날 때

우리의 고전시가가 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접어든 지 100년을 넘어간다. 그간의 연구사가 구축한 고전 시가의 지형도는 후학이 그곳을 다시 찾았을 때 얼마나 큰 편리와 든든함을 주었던가. 그러나 그 지형도 속에는 여전히 잘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기슭들이 있다. 본고는 그 미지의 기슭에 대한 관찰 기록이다. 우리 고전 시가에 관심을 가지고 그 기슭을 여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에 담긴 자료와 이론을 지도 삼아 배낭에 넣고 떠날 수 있을 듯하다. 특히 향가의 해독 방식과 고악보의 해석 방식을 알고 만나는 향가와 고려가요의 기슭은 여행의 가장 흥미로운 지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박재민 숙명여대·고전시가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향가와 고려가요를 주 분야로 하여 시조와 가사 및 고전의 현장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며 주요 저술로 『석주 고려가요』, 『신라 향가 변증』, 『고려 향가 변증』, 『고전의 현장과 스토리』 등이 있다. 나손학술상(2010), 일연학술제 국무총리상(2010), 난정학술상(2018) 등을 수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