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결코 유럽만의 것이 아니었다”
상태바
“과학은 결코 유럽만의 것이 아니었다”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3.04.16 1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과학의 반쪽사: 과학은 어떻게 패권을 움직이고 불편한 역사를 만들었는가 | 제임스 포스켓 지음 | 김아림 옮김 | 블랙피쉬 | 536쪽

 

이름을 아는 과학자가 몇 명인가? 아이작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찰스 다윈 등이 떠오를 것이다. 더 옛날로 가면 지동설을 주장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정도. 여기에서 이상한 점을 느끼지 못했는가? 이들은 모두 유럽 출신이다. 과학 천재는 모두 유럽에서 태어난 걸까? 그렇다면 그라만 콰시, 베로니카 로드리게스,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어떤가? 모두 과학의 역사에서 굵직한 역할을 한 사람들이지만, 생소한 이름이 대부분일 것이다. 이들이 우리 상식 밖에 자리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은 ‘지워진 과학자’를 중심으로 쓴 신개념 역사책이다. 과학기술사를 연구하는 저자는 “과학 천재는 유럽에만 있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과학으로 세계가 연결되기 시작한 15세기의 아즈텍 수도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유럽과 미국의 유명 과학자들보다 앞서서 빛나는 성과를 냈던 또는 그들에게 분명한 과학적 영감을 주었으나 그동안 무시당한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 등 비유럽 과학자를 조명한다.

이처럼 저자는 “과학은 유럽만의 독특한 시도가 낳은 결과물이 아니다”라며, 우리의 기울어진 세계관을 바로잡기 위한 특별한 시도를 이 책에 풀어냈다. 그동안 역사에서 무시당한 비유럽 과학자의 이야기를 세계사 속 주요 사건들과 엮어 들려주는 것이다. 과학이 패권을 좌우하기 시작한 15세기 대항해 시대부터 현재까지 아우르며, 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를 종횡무진하며 우리가 반쪽만 알고 있던 역사의 이면을 과학이라는 렌즈로 보여준다. 

책에는 코페르니쿠스보다 먼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한 이슬람의 천문학자들, 아인슈타인에게 양자역학 연구와 관련된 영감을 준 인도의 물리학자, 말라리아 치료법을 발견한 아프리카 노예 출신 식물학자 등 교과서에서 볼 수 없었던 학자들의 경이로운 과학적 발견이 가득하다. 이들의 삶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역사에서 생략될 수밖에 없었던 정치적 이유 및 그와 관련된 세계사의 핵심 사건들을 함께 들려주어 서구 중심의 역사관을 깨뜨린다. 책에는 도판 67컷도 수록되었는데 태평양 원주민이 조개껍데기와 식물로 만든 지도, 흑인 과학자의 화려한 초상, 아시아 고서에 실린 동식물 삽화 등 다채롭고 이국적인 사진과 그림들은 당대 과학의 현장을 직접 목격하는 듯한 생생함을 선사한다.

본문은 크게 네 부로 구성된다. 15세기 아메리카 대륙에서 자행된 식민지 약탈로 시작, 16~17세기에 아시아와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일어난 무역과 종교 네트워크의 성장에 대해 살핀다. 그리고 유럽 제국과 대서양을 넘나드는 노예무역이 크게 확대된 18세기로 넘어간다(1~2부). 뒤이어 19세기에는 자본주의와 민족주의, 산업 전쟁을 목격하고(3부), 20세기로 접어들어 이데올로기 갈등의 세계, 반식민지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 혁명가들의 세계를 살핀다(4부). 저자는 이 세계사의 순간들 속에서 권력을 업은 과학이 어떻게 패권을 움직이고 유럽과 미국 바깥의 연구자들을 엑스트라로 만들어왔는지 들려준다.

마지막에는 미국 등 기술 강국을 비롯해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정책의 숨은 의도와 문제점을 밝힌다. 특히 우리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국을 비중 있게 다루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학계에서 중국이 얼마나 경쟁적인 우위를 점하며 그 기술로 자국민 포함 소수민족을 어떻게 감시하고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들며 폭로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