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상태바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3.03.26 13: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 야마모토 다카미쓰 지음 | 지비원 옮김 | 메멘토 | 568쪽

 

희철학(希哲學),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學), 치지학(致知學), 통고학(通古學), 계지학(計誌學)은 오늘날 각각 Philosophy(철학), Aesthetics(미학), Physics(물리학), Logic(논리학), Archaeology(고고학), Statistics(통계학)에 대응하는 19세기 번역어다. 이들은 모두 서양 학술 체계와 용어를 일본에 도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계몽사상가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만든 용어다. 니시 아마네는 현대 일본과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술, 과학, 기술, 예술, 연역, 귀납, 심리’ 같은 단어를 창안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저자는 서양에서 이입된 지식과 번역의 문제를 파고들다가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百學連環)」이라는 문서를 알게 된다. 이 책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저자는 「백학연환」 중에서도 「백학연환 제1 총론 고(稿)」를 집중분석하면서 「백학연환」 전체의 주요 문맥을 파악한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다. 니시 아마네는 수강생들이 다양한 학술 간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 고전, 유학의 예를 들거나 구체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설명하려 노력했다. 당연히 이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드는 작업이 필요했다.

저자는 「총론」 원문은 30여 쪽에 지나지 않지만 이 짧은 글에 「백학연환」의 정수가 담겼다고 보고, 한 단어, 한 문장씩 읽어가며 일본과 서구의 지식체계가 서로 얽히며 새로운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학술(學術, science and art), 기술(技術, Mechanical Art), 예술(藝術, Liberal Art), 규모(規模, system), 연역(演繹, deduction), 귀납(歸納, induction) 같은 용어뿐 아니라, humanity의 근대 초기 번역어가 인도(人道)였고, Invention의 번역어 ‘발명’과 Discovery의 번역어 ‘발견’이 애초에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특허청(patent office)이 오늘날의 박물관과 같았다는 등의 재미난 사실도 드러난다. 

백학연환은 엔사이클로피디아(Encyclopedia)의 번역어로 온갖 학술(百學)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連環)을 뜻한다. 현재 Encyclopedia라고 하면 ‘백과사전’이나 ‘백과전서’를 떠올리지만 이 말의 어원인 그리스어 ‘엔큐클리오스 파이데이아(Ενκυκλιο? παιδεια)’는 ‘기본적인 교육과정’을 말한다. 이는 서구에서 중세 이래 자유칠과(‘문법’ ‘수사학’ ‘변증론’ ‘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로 불린 과목, 요즘으로 치면 ‘일반교양’이다. 니시 아마네가 한 ‘백학연환’ 강의 자체는 책으로서의 ‘엔사이클로피디아(백과전서)’를 전제로 삼았지만, 이는 현재 우리가 아는 사물 전반에 관한 지식을 모아놓은 백과사전이 아니라 19세기 당시 모든 학술을 전부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한 12권짜리 엔사이클로피디아였다.

당시 일본 지식인의 기초교양이었던 유학에도 정통했고, 네덜란드에 유학하며 서구 학술을 접한 니시 아마네는 “정말로 진리를 아는 사람이라면 일본 고유의 문장〔和文〕으로 써야” 한다는 생각이었기에 동서양의 사고를 독자적으로 결합하여 서구 학술 체계와 용어를 번역해낸다. 일례로 philosophy에 대응하는 ‘철학’이라는 번역어를 만들 때 주돈이의 『통서(通書)』에 나오는 ‘사희현(士希賢: 선비는 현명함을 사랑하고 희구한다)’을 참조하여 ‘현철함을 사랑하고 희구한다’는 의미의 ‘희철학(希哲學)’이라고 번역했고, 이윽고 맨 앞의 ‘희’가 떨어져 나가 ‘철학’이 되었다.

백학연환 강의는 학(science, 學)과 술(art, 術)이 무엇이며 이 둘을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하여, 학과 술의 방법을 논하고, 논리학 정치학 물리학 기계학 천문학 화학 등 다양한 학술 분야를 소개한 후, 마지막으로 학술의 성질에 따라 크게 보통학(普通學)과 수별학(殊別學, 개별학個別學)으로 양분하고 각 학술 영역에 속하는 학문(역사학, 지리학, 문장학, 수학/심리상학, 물리상학)을 분류하면서 끝맺는다.

니시 아마네는 유학이 “글, 말에만 탐닉해서 진리를 보려 하지 않는다, 오로지 ‘서적상의 논의’이기만 하다”며 통렬하게 비판하는 동시에, 『논리학 체계』를 비롯한 J. S. 밀의 저작들과 실증주의자 콩트의 ‘지식 삼단계설’을 비중 있게 소개하면서 경험이나 실험을 통한 실증이 더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그러면서 자신만의 학술 분류를 전개하는데, 저자는 이 분류를 찬찬히 해석해가며 때로는 감탄도 하고 때로는 의문도 표한다. 니시 아마네 스스로도 이후 계속해서 학술 분류를 검토하며 수정해갔다고 하니, 이는 백학연환 강의가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기 위한 시도였음을 보여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