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성화대학 8곳 선정…총 540억원 지원·매년 최소 400명 양성
상태바
반도체 특성화대학 8곳 선정…총 540억원 지원·매년 최소 400명 양성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3.02.28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교육부, 반도체 특성화대학 재정지원 기본계획안 공개
- 수도권 3곳, 비수도권 5곳 선정해 집중투자
- 28일 공청회 의견 수렴…계획 확정 후 평가 거쳐 5월 선정

 

교육부가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특성화 대학 8곳을 선정해 4년간 총 54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참가 자격으로 졸업생 연간 50명 배출이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교육부는 2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반도체 특성화대학 재정지원 사업 기본계획(안)'을 공개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하고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학사급 인재 공급과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해 2031년까지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대를 구분하지 않고 반도체 관련학과 학부 정원 2,000명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 특성화대학 사업에 지원하려면 개별 대학 또는 대학 연합체 사업단별 연간 반도체 관련 학부 졸업생을 최소 50명 배출하는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교육부는 사업단 총 8개를 선정할 방침으로, 연간 학부 졸업생 총 400명을 배출하겠다는 이야기다.

구체적으로 ▲회로·시스템 ▲소자·공정개발 ▲소재·부품·장비 ▲테스트·패키징 등 특성화 분야를 정해 인재양성 목표와 이행·추진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행계획에는 학과 신설 등 학사 구조조정 방안을 반드시 담을 필요는 없다. 다만 대학별 인재양성 방식과 양성 목표를 보다 상세히 적어내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과를 신설하지 않는다면 융·복합 전공이수 트랙(과정)을 운영할 수도 있다"며 "학과 신설을 강제하면 학과간 융·복합 인재 양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업 계획에 ▲기초교육, 학문 간 융복합 등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우수 교원 확보 등 인프라 개선 ▲대학 간 공동교육과정 등 탄력적 학사 운영 ▲대기업과 계약 체결 등 취업, 대학원 진학 지원 방안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대학들이 학과 신·증설을 올해부터 추진하려면 지난해 4월 확정된 2024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도 바뀌어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반도체 등 첨단분야 학과 2024학년도 정원 확대 관련 대학들의 신청을 받았고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EBS 뉴스 캡처
                                                                EBS 뉴스 캡처

□ 선정 유형은 개별대학이 참여하는 단독형(5개교)과 2~3개 대학이 연합하여 참여하는 동반 성장형(3개 연합)으로 구분되며, 비수도권 대학에 대해서는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강화된 재정지원을 실시한다. 

단독형은 수도권 2개교, 비수도권 3개교를 선정한다. 동반성장형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각 1개교가 연합한 사업단 1개, 동일 권역 내 비수도권 대학 2~3개교가 뭉친 사업단 2개를 뽑을 방침이다.

동반성장형에 지원하는 비수도권 대학은 ▲충청권 ▲호남제주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등 인접 지역의 단일 권역으로 묶인 학교들과 지원 가능하다.

선정 평가는 산업계, 학계 등 반도체 분야 전문가로 구성한 평가위원단에서 실시한다. 대학들이 제출한 서류, 신청 자격을 사전 검토한 뒤 서면평가(4월), 현장조사 및 대면 평가를 실시해 오는 5월까지 상위 평가를 받은 사업단 8개를 최종 선정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문가가 교수로 재직 중이라면 연관성 있는 학교 평가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며 "공정한 절차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선정된 대학들에게는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의 공공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국고 출연금 총 540억원이 주어진다. 비수도권 대학에게 보다 많은 지원금을 배분한다.

단독형은 대학별로 수도권 각 45억원, 비수도권 각 70억원 내외를 지급한다. 동반성장형은 수도권 대학이 포함된 사업단은 70억원, 비수도권만으로 구성된 사업단에는 사업단별로 85억원 내외의 출연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사업 기간은 총 4년이다. 교육부는 매년 연차평가를 실시하고 2년 뒤 중간평가를 진행, 성과가 미진한 사업단은 지원을 끊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성과 평가에서는 학부 졸업생의 반도체 업계 취업률이 주된 지표로 쓰일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선정 단계에서 반도체 인재양성 관련 기반에 대한 평가 항목 포함을 예정하고 있다"며 "선정 이후에도 진학, 취업 성과 등 양성 인력의 양,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진학, 취업률 등에 대한 구체적인 비중이나 (평가) 방법 등은 향후 별도의 계획을 마련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공청회를 통해 대학의 의견을 수렴한 후 3월 초에 기본계획을 확정하여 공고하고, 5월 중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반도체 특성화대학에 대해서는 사업 신청 단계부터 추진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는 규제는 발굴해 상시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내 반도체 인재양성지원협업센터를 운영해 인력 수요 정보를 공유하고 인재양성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