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야기의 어머니”
상태바
신화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야기의 어머니”
  • 김지현 기자
  • 승인 2020.03.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간소개]

■ 신화의 언어: 통념의 전복, 신화에서 길어 올린 서른 가지 이야기 | 조현설 지음 | 한겨레출판사 | 296쪽

 

한국 최고의 신화학자 조현설 교수가 들려주는 매혹적인 아시아 신화 이야기 서른 가지를 담았다.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는 왜 신화를 읽어야 하는가? 저자는 신화가 “인류가 만든 최초의 이야기”이자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야기의 어머니”라고 말한다. 다른 말로 원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신화를 알면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고, 어떤 이야기든 해석할 수 있다. 오늘날 대중문화의 주류인 웹툰·영화·드라마의 소재와 주제의 상당 부분은 신화에서 왔다. 어떤 이야기는 신화를 그대로 재현한 것이고, 어떤 이야기는 신화의 틀을 빌렸다. 무수한 대중매체 속에서 신화는 다양한 모습으로 변주되며,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로 재탄생한다. 그래서 저자는 “신화 없이는 대중 서사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강조한다.

또한 신화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기억을 보존한 “인류 보편의 언어”이기도 하다. 시대를 초월해 인간이 고민했던 주제, 이를테면 우리가 죽은 뒤 당도할 내세는 어떤 모습일지, 우리는 왜 서로 협력해야 하는지 같은 오래된 질문에 대한 답이 신화 속에 있다. 오늘날 우리가 ‘신화의 언어’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저자가 이 책에서 풀어내는 ‘신화의 언어’는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상식과 통념을 뒤흔들고, 전복시킨다.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며 죽음이 없는 세상을 꿈꾸지만, 네팔의 구룽족 신화는 죽음이 사라지자 삶에 지친 사람들이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는 모습을 그리면서 죽음이 실종된 세계야말로 죽음이라는 역설적 진리를 말한다. 누가 이승을 차지할지를 두고 한 내기에서 소별왕이 승부 조작으로 승리하는 「천지왕본풀이」에서는 내기에서 진 착한 대별왕이 저승의 주인이 됨으로써 저승이 ‘맑고 청량한 법’이 있는 ‘좋은 곳’이 되는 역설, 그래서 “패배가 승리가 되고 승리가 패배가 되는 역설”이 성립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신화를 ‘무의식과 역설’, ‘자연과 타자’, ‘문화와 기억’, ‘이념과 권력’이라는 키워드로 분석한다. 전체 4부로 이루어진 이 책의 1부 ‘무의식과 역설’은 모순과 역설로 가득 찬 신화의 숨은 뜻을 파헤친다. 한국 무속신화 「바리데기」에서 약수가 저승에 있는 이유는 물이 생명의 근원인 동시에 홍수신화에서 보듯 파괴의 상징이기도 하다는 모순을 갖고 있어서다. 또한 저자는 신이 보냈다는 ‘천부적 권위’만으로 만주족의 왕이 된 부쿠리용숀과 주민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독이 든 줄 알면서도 독즙을 마신 뒤 부활한 타라이한마마를 대비시키며 “촛불처럼, 하염없이 흔들리면서도 자신을 태워 세상을 밝히는 ‘역설적 것들’”이야말로 인류를 구원할 존재라고 말한다.

2부 ‘자연과 타자’는 신화 속에 담긴 공존과 협력의 지혜를 말한다. 저자는 태어날 때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 ‘오늘이’가 여행길에서 만난 존재들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여신이 되는 「원천강본풀이」에서 인간은 타자의 결핍을 채움으로써 비로소 자신의 결핍을 치유할 수 있는 존재라는 메시지를 읽는다. 왕의 명령으로 지역민들이 숭상하는 나무를 베는 신화를 통해서는 “권력자의 시선으로 자연을 보는 한 되돌아오는 것은 자연의 저항”이라고 경고한다.

3부 ‘문화와 기억’에서는 신화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문화와 기억을 간직한 이야기임을 보여준다. 돌에서 인류가 탄생했다는 돌 창세신화는 바위 동굴을 드나드는 일을 여성의 임신과 동일시한 석기 시대 인류의 사유와 연결돼 있다. 괴물 부부가 사람을 잡아먹고 두개골을 갖고 온 뒤 인간을 낳았다는 와족 신화는 희생된 동물의 뼈가 부활과 증식의 힘을 갖고 있다는 고대인의 사유를 담고 있다.

4부 ‘이념과 권력’은 종교학자 브루스 링컨의 말을 빌려 ‘신화는 서사 형식의 이데올로기’임을 역설한다. 왕조의 시조를 ‘민족의 영산’ 백두산과 연결 지음으로써 왕조에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서사는 현대 북한은 물론이고, 고려나 청나라의 시조신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항상 누이가 남동생과 벌인 내기에서 지는 오뉘힘내기 전설은 미투운동에서 볼 수 있듯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남성지배문화를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이야기다.

그래서 ‘신화의 언어’를 읽는 일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기억과 문화가 담긴 이야기를 통해 공존과 협력의 지혜를 모색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의 숨은 뜻을 찾는 일, 곧 인간과 세계를 읽고 해석하는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