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 혁신, 그리고 리더
상태바
성공적 혁신, 그리고 리더
  • 민경찬 논설고문/연세대 명예교수·과실연 명예대표
  • 승인 2022.11.28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경찬 칼럼]

우리 세대는 요즈음 기후변화, 팬데믹, AI, 반도체, 유전자 기술, 양극화, 인구절벽, 전쟁과 핵탄두 등의 용어들을 들으며 살아간다. 과거와는 성격이 매우 다른 대전환의 시대, 위기의 시대에 들어서 있다. 기후변화 이슈만 해도 지난 7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한 국제회의에서 “우리 앞엔 '집단자살이냐 집단행동이냐'란 선택이 있을 뿐이다.”라고 경고했다. 경제 문제만이 아니라, 인류가 살아가는 터전, 인간의 정체성, 생존 자체가 심각하게 위협을 받는 단계에 와 있다. 

그런데 가장 불안하고 위험스러운 상황은, 우리 정치권과 사회, 그리고 지구촌의 각 나라들도 미래의 공동가치보다는, 현재의 개별가치에 집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새 시대에는 ‘생각하는 방식’, ‘일하는 방식’을 바꿔야(reset) 하는데, 우리 사회는 물론 지도자들 대부분이 산업화 과정에 가졌던 경직된 사고와 행동 관습의 틀 안에 머물러 있다. 

우리는 이제부터라도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국가 생태계와 경쟁력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는 오늘날 세대의 사명이며, 더욱 깨어 있는 지혜와 대담함으로 풀어가야 한다. 미래 세대들을 위해서라도 대한민국은 현재 방향을 잃은 지구촌을 선도하는 사명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핵심주체인 정부, 국회, 지자체, 기업, 대학, 언론 등은 대담한 개혁으로 부응해야 한다. 국가 생태계 및 개별 기관 단위의 전반적 운영체계에 있어 대전환이 요구되는데, 방법론이 중요하다. 

몇 달 전 한 지인으로 부터 책을 하나 받았다. 도몬 후유지의 ‘불씨’였다. 250여 년 전 일본 에도 막부 시절 요네자와번의 17세 우에스기 요잔이라는 번주의 성공적 혁신에 대한 실화 소설이다. 1993년에 한글판이 나왔으니,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읽었을 것 같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하자 빨려 들어가게 되었는데, 지금도 ‘개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이 책을 생각하게 된다. 여기서 번(藩)은 막부 아래 있는 각 지방의 통치단위이며, 번주(藩主)는 번을 다스리는 영주이다.

이 책의 주인공 우에스기 요잔은 미국 케네디 대통령이 가장 존경하는 일본인이라고 말했던 인물이다. 이 책은 1993년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 독일에서 신경영 선언하는 자리에서 삼성전자 임원들에게 나눠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의 줄거리는 극심한 궁핍과 부채로 파탄지경에 이른 번의 재정, 관습과 형식에 빠진 가운데 기득권만 지키려는 중신들, 이들을 원망하며 무기력과 체념에 빠진 번민들로 ‘죽어 있는 나라’에 청년 번주가 과감히 기존의 생태계를 바꾸어가며 구성원 모두에게 희망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번주가 개혁의 불을 붙이기 시작하며 번민을 비롯한 모든 사람의 마음 하나하나에 ‘불씨’가 옮겨지게 되며 번 전체가 뜨거운 용광로로 변한다. 

당시 하나의 번은 그 자체가 하나의 나라였고 번주는 왕과 같은 절대적인 통치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주로부터 촉발되는 번의 개혁 과정을 지켜보면, 오늘 우리의 정치, 사회 등 국가 생태계에 적용시켜야 할 원칙, 철학, 태도 등이 생각나게 한다. 

개혁은 백성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 정부가 풍요롭게 되고자 함이 아니라고 한다. 번주가 번민과 번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번민과 번이 번주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요즈음 정치, 지방자치가 정치인과 관료의 권력 중심에서 주민 서비스 관점의 기능 중심으로, 대학교육에서는 교수 중심에서 학생 맞춤형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비교된다. 

개혁이란 정치보다 사람의 개혁이 먼저라고 한다. 특히 개혁을 추진하려면 개혁하고자 하는 사람이 솔선수범하여 자신부터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 피폐해진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식사는 국 한 그릇, 반찬 한 가지로 할 것’ 등 개혁방안을 내놓은 후, ‘왕’인 요잔은 자신부터 철저히 실천했다. 우리 지도층의 성찰과 자신의 내면에 존재해온 적들과 싸우는 용기가 필요한 대목이다. 

개혁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사소한 일이라도 모든 구성원이 주저함이 없는 토론과 합의의 주체로서 참여해야 공감과 함께 신뢰와 협력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마음의 벽을 무너뜨리기 위해 모든 정보도 솔직하게 모두에게 제공한다. 정책을 만들고 실행함에 있어, 시장, 정부, 국회, 지자체, 대학, 언론, 시민사회 등의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수평적 동반자로서 서로 협력하며, 결과적으로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거버넌스의 본질’을 지키는 일이다. 요즈음 MZ세대 인재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경청하지 않는 기존의 하향식 의사소통 조직에서는 연봉과 상관없이 많이 떠난다고 한다. 

특히 번주 요잔의 개혁이 성공한 이유로 모두가 주목한 공통점은 ‘사랑’이었다. 백성 한 사람 한 사람을 인간으로 존중한 것이다. 개혁과정에서 고통 받는 계층에게 깊은 이해와 동정의 마음을 전했다. 개혁의 실패는 전부 애정의 결여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그의 개혁은 풍요로움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을 다시 찾게 하여 서로 믿는 마음을 되살린 것이다. 사람들은 ‘왕’인 요잔이 진정으로 애정과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인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의 제일가는 개혁은 ‘사람을 변화시킨 것’이라고 평가한다.   

우리의 지도층은 어떠한가? 예를 들어, 한국에는 ‘정치’가 없고, ‘복수’만 있을 뿐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세계와 미래를 바라보기보다는 틈만 나면 스토리를 만들어서라도 상대방을 흠집 내고 끌어내리려는 데 골몰하는 모습들을 지적한다. 이를 ‘국민’의 마음, 뜻이라고 하는데, 대개의 경우 자신을 지지하는 그룹만을 ‘국민’이라 칭하는 것 같다. 미래보다는 오늘에, 공동가치보다는 개별가치에 몰입하는 것이다. 현재의 정치권을 대장간 수준이라며 용광로 수준으로 고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다. 정부, 국회 등의 지도층 인사 중 임기를 마친 후 국가, 지구촌의 변화 발전에 기여한 인사로 기억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 것일까? 

번주 요잔의 원칙과 정신은 지금도 일본 현지에서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정치를 위해 우선 쌓아야 할 덕(德)과, ‘주위에 나를 속이는 자가 있더라도 나는 결코 속이지 않는다’는 정직함이다. 또한 늘 침착함과 인내심을 견지하며, 바로 눈앞의 이익, 결과보다는 아무리 길이 멀어도 과정을 중시하며 자손들이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깨끗한 방법으로 추진하고 싶다는 리더십이 백성들의 신뢰와 협력을 얻게 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 우리도 이 위기의 시대에 사회 지도층이 어떤 철학과 가치를 선택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역사적 대전환의 갈림길이었던 100여 년 전 조선 말의 정치와 사회 상황, 지도자와 백성들의 모습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대한민국은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시대적 변화와 국제사회를 명확히 인식하고 ‘G3 대한민국’이라는 꿈을 가지고 지속가능하고 행복한 미래 세상을 만들어가야 한다. 세계와 미래를 상대로 국가 생태계 및 개별 기관 단위에서의 요구되는 개혁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하는데, 이를 이끌어갈 수 있는 정직함, 열정, 따뜻한 마음을 지닌 리더, 지도자들을 많이 등장시켜야 한다.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뜨거운 변혁의 용광로로 진화시킬 지도자들을 기대한다.


민경찬 논설고문/연세대 명예교수·과실연 명예대표

연세대 수학과 명예교수로 연세대 대학원장, 대한수학회 회장, 국제퍼지시스템협회(IFSA) 집행이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자문위원장,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과학기술분과 의장, 포스코청암재단 이사, 국무총리 소속 인사혁신추진위원회 민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자문위원회(SAB) 위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