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중엽까지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상태바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중엽까지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2.11.22 0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4: 불워-리턴에서 헉슬리까지 | 박설호 지음 | 울력 | 366쪽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4권이 다루는 시대는 “혁명의 시대”를 지나면서 사회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부르주아들이 그들의 자본을 토대로 자본주의를 발전시켜 가던 자본의 시대이다. 하지만 산업 혁명을 통해 자신들의 부를 축적해 간 그들이 부를 축적해 가면 갈수록 그들의 부를 가능하게 해 준 노동자들의 삶은 열악해졌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사회주의 사상이 다발적으로 움트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시기는 산업화를 통해 국가의 부를 증대하기 시작한 국가들이 자신들의 산업을 위한 원자재를 공급받고 자신들이 만든 상품을 판매할 시장으로서 식민지를 점령해 나가기 시작한 “제국의 시대”이기도 했다. 

한편,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그에 대항하는 사회주의 국가가 러시아 혁명을 통해 수립된 것도 바로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처럼 자본과 노동,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그리고 식민 지배를 통한 이념적 대립과 갈등은 폭력을 잉태하고 있었고, 이는 세계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발표된 서양 문학작품이 창조해 낸 유토피아의 세계를 탐구하고 있다.

1. 불워-리턴의 『미래의 사람들』(1871): 지하 세계에 거주하는 기이한 인종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는 이 작품은 미래의 에너지 문제를 거론한다. 정치적으로 수구 보수주의 관점에 입각해 있는 작가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미래 사회에 끼치는 폐해를 지적한다.

2. 버틀러의 『에레혼』(1872): 기계와 그것이 만들어 내는 질서에 의해 영위되는 사회를 강렬한 어조로 비난한다.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에서 디스토피아 문학의 선구적 위치를 점하는 이 작품에서, 작가는 과학기술 및 기계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3. 벨러미의 『뒤를 돌아보면서』(1888): 이 작품은 중앙집권적인 미국 시민사회가 만들어 내는 문학 유토피아로 규정할 수 있다. 벨러미가 창조한 미래 사회는 무엇보다도 사유재산과 화폐의 철폐를 기치로 삼고 있다. 

4. 헤르츠카의 제3의 유토피아(1889): 헤르츠카의 소설 『자유국가』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제3의 유토피아를 설계하고 있다. 그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장단점을 절충한 제3의 유토피아가 국민경제학의 토대 하에서 실현 가능하다고 진단하였다. 

5. 모리스의 『유토피아 뉴스』(1890): 모리스는 중세의 단아한 수공업 내지 수공 예술을 통한 즐거운 노동을 강조하면서, 미래의 런던에서 행복한 사회적 삶을 설계하였다. 그의 작품에는 환경을 더럽히는 거대한 자본주의 체제의 산업 구조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 숨어 있다. 

6. 로시의 실증적 아나키즘 공동체(1894): 로시의 유토피아는 “비국가주의 유토피아”의 전형적 특성을 보여준다. 로시의 코뮌은 샤를 푸리에의 경우처럼 사변적으로 숙고한 어떤 추상적 상이 아니라, 이탈리아와 브라질 등의 실제 현실에서 실험적으로 도출해 낸 유토피아라는 점에서 아나키즘 공동체의 실천 가능성과 구체적이고 당면한 문제점 등을 분명하게 알려 준다.

7. 헤르츨의 시오니즘 유토피아(1900): 헤르츨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유대인 공동체의 설립 가능성을 타진하면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근거한 유대 상인 내지 법률가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다.

8. 웰스의 소설,『모던 유토피아』(1905): 웰스는 20세기 초반에 세기말의 절망적 분위기와 전쟁 위기 등을 감지하고 이를 문학작품에 반영했다. 놀라운 것은 웰스의 일련의 작품들이 국가 이기주의와 열강들의 식민지 쟁탈전을 극복하면서, 하나의 가상적 세계국가를 선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9. 웰스의 타임머신 외(1905): 웰스는 미래 국가의 특성을 기발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 장은 웰스의 『타임머신』, 『잠자는 자가 깨어난다면』 등의 작품을 통해 국가의 권한과 법적 영향력의 제한 가능성 그리고 20세기 유럽 문학에서 드러나는 특징과 취약점 등을 차례로 구명하고 있다.

10. 보그다노프의 화성 유토피아(1907/1912): 『붉은 별』과 『기술자 메니』 등의 작품은 소련 혁명이 발발하기 전에 간행된 것이다. 작가는 고도의 기술을 바탕으로 화성에 건립된 이상 사회를 묘사하고 있다. 

11. 길먼의 여성주의 유토피아(1915): 길먼의 작품 『여자들만의 나라(Herland)』는 여성들의 평화, 협동 그리고 공존을 추구하는, 낙관적인 여성 사회를 다루고 있다. 이로써 길먼은 20세기 이후에 출현하는 생태주의에 근거한 여성들만의 유토피아 사회의 교두보를 마련한 셈이다. 

12. 프레오브라젠스키의 산업 유토피아, 차야노프의 농업 유토피아(1921): 프레오브라젠스키는 산업 발전을 추구하는 소련의 정책에 동의하지만, 전쟁 산업과 관련된 중공업 위주의 정책 추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였다. 한편, 차야노프는 소련의 경제적 토대가 농업에 있음을 분명히 하고, 이에 상응하는 자생적 농촌 경제의 발전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13.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대아 유토피아: 이 장은 지금까지의 사회 유토피아의 특성과 한계를 요약하고, 유토피아의 기능적 문제 등에 관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은 국가의 폭력, 21세기 생태계 문제 그리고 인구 증가 현상 등을 고려하면서, 공동체 속에서 서로 아우르며 협동하는 대아(大我) 유토피아의 의미를 추적하고 있다.

14. 자먀찐의 디스토피아 『우리들』(1921): 자먀찐의 『우리들』은 개인의 행복을 억압하는 “단일국가”의 정치경제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단일국가에서 개인은 존재 가치뿐만 아니라 개인의 고유한 이름조차 박탈당하고 있다. 

15.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외(1932): 헉슬리의 작품은 독재자와 과학기술이 저지르는 끔찍한 만행을 서술하고 있다. 이 장은 미래의 전체주의 국가 체제와 인간 삶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과학기술 등을 통해서 헉슬리가 개진한 인류 문화의 비극적 특징과 부정적 영향력 등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로베르트 무질의 대작 『특성 없는 남자』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특성을 언급하고 있다. 로베르트 무질은 외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이용당하지 않는 자율적 인간의 갈망 속에 도사린 가능성을 추적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