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 비해 제조업 근로자의 역량 발휘 적어”
상태바
“독일에 비해 제조업 근로자의 역량 발휘 적어”
  • 고현석 기자
  • 승인 2022.09.17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슈 브리프]
- 직능연, ‘기술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 특성 한·독 비교’ 발표

 

제조업 강국인 우리나라와 독일 제조업 근로자들의 직무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새로운 과업이 발생하거나 작업 절차 개선과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는 빈도에서 한국은 독일에 비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9월 15일(목) ‘KRIVET Issue Brief’ 제241호 <기술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 특성 한독 비교>(작성자: 김안국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명예위원)를 통해 한국과 독일의 제조업 생산직과 기술직 근로자의 직무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브리프에 의하면, 역량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서 일해야 하는 빈도는 한국의 경우 전혀 없거나 드물지만, 독일에서는 생산직과 기술직 모두 높았다.

한국은 지시에 따라 일하는 경우가 많고, 독일은 독자적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새로운 공정기술과 프로그램, 장비의 도입 등으로 인한 변화와 구조조정의 경험은 독일이 한국보다 많았다.

또한 한국은 직무 특성과 작업장의 구조적 변화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기술직과 생산직의 차이도 없는 편이었다. 이는 현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커다란 임금 격차가 있는 현실과 맞지 않았다.

이 분석은 독일연방직업교육훈련연구소(BIBB: Bundesinstitut für Berufsbildung)가 2018년 실시한 직무수행을 위한 숙련 요건에 대한 ‘Employment Survey’ (총 1085명 조사)와 동일한 설문 구조와 설문 문항으로 우리나라 근로자 818명을 대상으로 2021년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수행했다.

 

■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쉽게 처리되지 않는 새로운 과업이 발생하는 빈도는 독일이 한국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새로운 과업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비중은 한국 중소기업의 생산직이 41.9%, 대기업이 33.0%로 나타나 독일의 중소기업(2.7%), 대기업(2.6%)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다.

기술직도 쉽게 처리되지 않는 새로운 과업의 발생 빈도가 독일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이 68% 내외의 높은 비중을 보이지만, 한국은 중소기업 1.1%, 대기업은 7.4%밖에 되지 않았다.

▶ 작업 절차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방법을 자주 시도해야 할 경우도 독일이 한국보다 많았다.

작업 절차 개선이나 새로운 방법의 시도가 전혀 없는 비중은 한국의 중소기업 생산직에서는 40.9%, 대기업 생산직에서는 30.8%로 많지만, 독일은 약 6% 내외였다.

생산직에서 작업 절차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야 할 필요가 자주 있는 경우는 독일 기업에서는 30% 내외로 많지만, 한국 기업에서는 중소기업이 0.7%, 대기업이 3.3%로 거의 없는 편이다.

기술직에서 새로운 작업 절차나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자주 있는 경우는 독일의 중소기업에서는 55.8%, 대기업에서는 51.3%나 되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에서는 3.4%, 대기업에서는 14.8%밖에 되지 않아 큰 차이를 보였다.

▶ 역량을 극한까지 끌어올려 일해야 하는 빈도에서 한국은 독일보다 크게 떨어졌다.

생산직에서 역량의 극한까지 끌어올려서 일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 경우는 독일의 중소기업에서는 11.8%, 대기업은 12.4%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에서는 0.2%, 대기업에서는 0%였다.

기술직도 마찬가지로 역량의 극한까지 끌어올려 일해야 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 비중은 독일의 중소기업 32.6%, 대기업 35.1%이지만 한국의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각각 4.7%, 1.1%밖에 되지 않았다.

반면에 역량의 극한까지 끌어 올려 일해야 하는 경우가 전혀 없다는 응답은 기술직의 경우 한국의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약 66%에 달하지만, 독일의 중소기업은 20%, 대기업은 7.5% 정도에 불과했다.

▶ 독일은 독립적으로 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한국은 주로 지시에 따라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비중이 중소기업 생산직은 7.7%, 대기업 생산직은 12.1%이고, 중소기업 기술직은 8.0%, 대기업 기술직은 14.8%로 낮았다. 반면 지시에 따라서 일하는 비중은 중소기업 생산직이 35.7%, 대기업 생산직은 48.4%이고, 중소기업 기술직은 28.4%, 대기업 기술직은 40.7%로 낮지 않았다.

이에 비해 독일은 독립적으로 일하는 비중이 중소기업 기술직은 89.5%, 대기업 기술직은 94.3%로 거의 대부분이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생산직도 독립적으로 일하는 비중이 60% 내외로 높은 편이었다.

이번 분석을 수행한 김안국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명예위원은 “독일과 비교한 결과 산업 현장에서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역량을 별로 발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선진 제조업 국가로서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협력적이고 긴밀한 노사관계 구축을 통해 현장에서 인적자본의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