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과 영혼은 불교의 본래적인 것이 아니므로 부처의 말씀에 집중해야 한다
상태바
마음과 영혼은 불교의 본래적인 것이 아니므로 부처의 말씀에 집중해야 한다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2.09.13 0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불교란 무엇인가 | 하카마야 노리아키 지음 | 권서용·이창엽·정영자 옮김 | 산지니 | 352쪽

 

불교 하면 대부분은 고요한 분위기 속 명상이나 수련 등을 떠올릴 것이다. 최근의 불교는 종교, 믿음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마음의 평안을 갖기 위한 자기 수련의 방법이나 부처가 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불교가 종교에서 멀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불교 발전 과정에서 대중에게 쉽게 흡수되기 위해 당시 대중적이었던 영혼긍정설을 받아들인 것이 지나치게 확대되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이 책의 1장에서는 불교의 발상지이자 불교학의 중심지인 마가다 지역으로 거슬러 간 뒤 ‘북방불교’와 ‘남방 불교’의 지리지를 기술한다. 2장은 불교 성립 이전 인도고대의 사상적 개략, 불전, 삼장의 성립 전개를 비롯하여 불교 발전기의 의미를 묻는다. 3장에서는 신앙의 측면에서 불교를 바라본다. 4장은 불교의 기본 사상을 다루고 끝으로 5장에서는 이러한 사상을 기반으로 불교가 어떻게 소승과 대승, 현교와 밀교로 전개되었는가를 밝힌다.

한국 불교의 시작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래된 역사만큼 많은 불교 연구가 이뤄졌다. 하지만 이 책과 같이 비판적인 관점에서 쓰인 입문서는 많지 않다. 이 책은 부처의 탄생부터 사망, 그리고 그 이후 삼장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떻게 발전하였는지를 각국의 문헌을 통해 밝힌다. 이를 통해 불교의 기본 사상은, 아트만(영혼)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설이라 주장한다.

저자는 영혼의 인정은 모든 사건의 성질이나 분별을 이성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불교의 논리에 위배되는 것이라 말한다. 따라서 진리는 영혼을 통해 단박에 깨닫는 것이 아니라 부처의 말씀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깨달아야만 얻을 수 있으며 부처의 가르침만이 진리를 향한 유일한 발걸음이다. 무아설의 강한 비판적 성격 때문에 불교 내부에서는 무아설을 부정하기도 했다. 저자는 이러한 태도가 불교를 정령신앙의 길에 빠뜨린다고 비판한다. 더불어 일음연설법(부처가 다만 한 가지의 말씀만으로 불교의 모든 법을 연설)에서 파생된 번역불가능론(진리는 마음에 있기에 언어로 옮길 수 없다는 주장)도 통속적인 이야기로 평한다. 다른 여러 언어로 부처의 말씀을 옮길 수 있으며 일음은 유익하다는 점에서 같으므로 설해진다는 『대비바사론』의 내용이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저자의 비판적 시각은 수행이 아닌 종교로서의 불교 입지를 견고히 한다.

그렇다면 종교로서의 불교는 무엇일까? 저자는 불교는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도록 돕는 가르침이라 말하며 종교로서의 불교를 정의한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은 불전과 무지의 구별은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삼장의 성립과 여러 불전의 통속적 내용을 파헤치며 진리를 향해 나아간다. 더불어 불교 교리의 중추를 이루는 무아와 오온, 연기사상, 사제의 교의, 유위와 무위는 부처의 말씀을 그대로 옮기기 위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한자를 병기하며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무지의 구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앎보다 모르는 것을 구별하는 것이다. 비판불교 영역을 불교사상계에 던진 저자 하카마야 노리아키를 따라가다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의심하며 진정한 무지의 구별을 할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또한 불교가 세계종교로 아시아 전역에 확장되는 기원인 북서인도 지역의 사상과 역사를 탐구한다. 나아가 중인도 불교연구의 중심지인 마가다를 살피며 양자의 불교적 의의를 지리지로 확인한다. 또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로 불리는 북전 불교와 남전 불교가 어떤 경로로 전파되었으며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밝힌다. 이러한 전파 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것이 저자가 직접 만든 지도이다. 저자가 오랜 세월 불교를 강의하며 가다듬은 지도는 독자로 하여금 고대인도의 낯선 지명을 극복하게 하고 전개 과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북전 불교와 남전 불교가 차이점을 갖게 된 이유를 지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