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일본인 서로 호감도 상승…한·일 '관계개선 필요' 여론 급증
상태바
한국인·일본인 서로 호감도 상승…한·일 '관계개선 필요' 여론 급증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2.09.06 10: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동아시아연구원·겐론NPO '한일 국민 상호 인식 조사' 결과
- 韓∙日 양국 호감도 모두 상승…일본인 20.1% "尹, 좋은 인상“
- '韓日관계 회복 필요하다'…한국인 81.1%·일본인 53.4%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가 지난해보다 크게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두 나라 모두에서 '한·일관계 회복이 필요하다'는 국민 여론이 최근 크게 늘어났고,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이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일본인들의 호감도가 박근혜·문재인 전 대통령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본인들 사이에서 역대 한국 대통령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부정적인 인식보다 앞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 민간 싱크탱크인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비영리 싱크탱크인 ‘겐론NPO’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일 국민 상호 인식 조사' 보고서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의 81.1%와 일본인 응답자의 53.4%가 '역사 갈등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10%포인트(p)와 6.7%p 오른 수치다. 이번 조사에는 한국인 1,028명, 일본인 1,000명 등 총 2,028명이 참여했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긍정 답변'이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61.2%, 71.1%로 집계된 바 있다. 일본인 역시 같은 기간 38.8%, 46.7% 순으로 긍정 답변이 증가 추세를 이어왔다.

양국 관계 개선뿐만 아니라 '한미일 삼각 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질문에도 한국인의 72.4%, 일본인의 37.9%가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아울러 '한일관계를 긍정적으로 전망한다'는 한국인은 지난해 18.4%에서 올해 30.0%로 늘었다. 일본인도 17.2%에서 29.9%로 증가했다.

올해 조사에서는 양국 국민에 대한 '상호 호감도'가 한일 양측이 국민 상호인식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하며 10년 내 최고치에 근접하기도 했다.

일본에 대한 한국인의 긍정적 인식은 지난해 20.5%에서 올해 30.6%로 증가했다. 관련 질문의 긍정 답변은 지난 2019년 31.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반면 본격적인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난 후 집계된 2020년에는 역대 최저치(12.3%)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긍정적인 인식도 25.4%에서 30.4%로 올랐다. 이는 조사 첫해인 2013년(31.1%)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반대로 비호감도는 떨어졌다. 한국의 일본에 대한 비호감도는 지난해 63.2%에 달했다. 올해는 52.8%로 감소했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비호감도도 48.8%에서 40.3%로 줄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일본인의 호감도가 20.1%로 전직 대통령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윤 대통령에 대해 '나쁜 인상'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4.6%에 불과했다. 역대 한국 대통령은 나쁜 인상이라는 평가를 더 많이 받곤 했다. 한국 대통령에 대한 일본인의 긍정적 인식이 부정적 인식보다 앞선 건 윤 대통령의 사례가 처음이다.

지난 2020년 실시한 조사에서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는 1.5%였다. 비호감도의 경우 49.7%로 부정 평가가 48.2%p나 높았다. 한국인의 경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 대해 "좋지도 싫지도 않다"고 답한 비율이 42.7%로 가장 높았다.

양국 국민은 상대국의 대중문화에 노출되는 일이 잦을수록 호감도가 높아진다고 인식했다. '상대국 대중문화 소비를 즐겨 할 경우 좋은 인상을 느끼게 된다'고 응답한 한국인은 지난해 67.0%에서 올해 81.3%로 올랐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일본인의 긍정 답변도 같은 기간 81.2%에서 86.2%로 높아졌다.

◆ 제10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주요 결과 요약


■ 양국관계 개선의 요구가 강하게 표출

• 한일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 양국 모두 다수, 한국인은 81%, 일본인은 53.4%
•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전년 대비 10.1%p 증가, 비호감도는 8.6%p 감소
•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전년 대비 5%p 증가, 비호감도는 8.3%p 감소
• 10년 추이는 2022년 호감도는 양국 모두 과거 최고치 수준에 육박, 비호감도는 최저치

이번 조사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장기간 교착상태에 빠진 한일관계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한국인의 압도적 다수인 81%, 일본인의 과반수를 넘는  53.4%가 개선을 지지하였고, 이러한 분위기는 미래에 대한 전망, 상대국에 대한 인상으로 이어졌다. 

한국민의 일본에 대한 인상은 좋은 인상이 30.6%, 나쁜 인상이 52.8%로 나왔다. 이는 전년 대비 호감도는 10.1%p 증가하고, 비호감도 8,6%p 감소한 수치이다. 일본의 경우, 좋은 인상이 30.4%, 나쁜 인상은 40.3%로서 전년 대비 호감도는 5%p 증가하였고, 비호감도는 8.3%p 감소하였다.

10년 추이를 보면 2022년 호감도는 양국 모두 과거 최고치 수준에 육박하고, 비호감도는 최저치에 근접하고 있다. 양국은 2013~14년 아베 정부와 박근혜 정부간 갈등으로 최저점을 찍은 이래 꾸준히 소폭 상승하다가 2019년 전후 대법원 강제동원 판결에 따른 외교 대립, 무역 갈등, 지소 미아 논란 등으로 급락한 후 반등에 성공한 모습이다. 한국의 경우 18.3%p 상승했고, 일본도 10.4%p 상승했다.

이 수치는 중국에 대한 인상과 비교할 때 3배 정도 높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서로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에 머물러 있다. 한국의 경우, 10년간 호감도는 10~30%대, 비호감도는 50~70%대 박스권에 갇혀 있다.

양국관계의 미래에 대한 전망도 개선되어, 한국은 12%p 상승, 일본은 11%p 상승을 보였다. 윤석열 정부와 기시다 정부 사이 관계 개선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보다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 높은 집단은 (1) MZ 세대, (2) 상대국 방문 경험자, (3) 상대국 대중문화 소비자

• 양국 모두 연령별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는 10-30대가 높고, 특히, MZ 세대는 과반수
• 상대국 대중문화에 대한 노출도가 클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는 양상
• 상대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경우, 양국 모두 77%의 호감도를 보임

양국 모두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가 10-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특히 10대는 과반 이상 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는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좋지 않은 인상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양국 10대의 좋은 인상은 한국이 53.5%, 일본이 52.2%로 과반을 넘어섰고, 좋지 않은 인상 역시 한국과 일본 모두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은 32.1%, 13%였다. 

반면, 60대 이상의 인식은 한일 양국 모두 가장 낮은 수치인 각각 22.9%, 25.4%가 좋은 인 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상대국에 대한 비호감도 역시 각각 67.2%와 46.9%로 다 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대국에 대한 대중문화에 많이 노출될수록 호감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국민이 일본의 대중문화 소비를 즐겨 할 경우, 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81.3%, 일본 국민이 한국의 대중문화 소비를 즐겨 할 경우, 좋은 인상을 가지게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86.2%로 대중문화가 양국 상호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대국을 방문한 후, 인상에 대한 변화 정도에서 한일 모두 77%가 호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한일 관계에 대한 자국 언론의 공정성에 대한 평가는 양국 모두 ‘공정하지 않다’가 ‘공정하다’는 응답을 웃돌고 있으며, 인터넷상의 상대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또한, ‘자국민의 생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의견이 ‘반영하고 있다’를 넘어서고 있다. 

■ 상대국 지도자에 대한 인상이 국가의 인상을 좌우

• 한국과 일본 모두 양국 지도자에 대한 인식과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지도자에 대한 인상과 상대국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다. 상대국 정상에 대한 비호감이 상대국 전체에 대한 비호감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비호감 지도자의 퇴진과 함께 상대국에 대한 여론이 호전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일본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퇴임 이후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상이 급감하였고, 한국의 경우는 아베 총리의 퇴진이 분기점이 되고 있다. 2020년 아베 총리 퇴진 이후 스가와 기시다에 대한 부정적 인상이 하락하고 있다.

■ 한일 양국의 대중국 위협인식 증가, 상호 위협인식 감소

• 일본에 대한 군사적 위협인식 하락(38.6% → 33.2%) vs. 중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인식 증가(61.8% → 65.0%)
• 대외 위협인식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 수렴 경향 뚜렷하게 표출

군사적 위협이 된다고 느끼는 국가나 지역이 있다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나 지역이 어 디인지 물었을 때, 한국 측 응답자는 북한(80.4%) 및 중국(65.0%)이 군사적으로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중국을 위협 요인으로 인식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20년(44.2%) 대비 2021년(61.8%) 급증한 이래 연속해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일본에 대해 군사적 위협을 체감한다는 응답 비율은 33.2%로, 2021년(38.6%) 대비 5.4%p 하락했다. 

일본 국민이 체감하는 군사적 위협도 한국 측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북한(72.8%) 및 중국(72.1%)을 군사적 위협 요인으로 인식한다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중국에 대한 위협 인식 정도는 2019년(46.1%) 대비 2020년(63.4%) 급증한 이후 계속해서 상승세를 나타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러시아에 대한 위협 인식 정도가 2021년 32.1%에서 2022년 62.2%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한 점도 특기할 만하다.

한국에 군사적 위협을 체감한다는 응답 비율은 9.4%로 2021년(12.5%) 대비 3.1%p 하락했으며, 한국 국민의 일본에 대한 위협 체감도의 약 3분의 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일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대중 위협 인식이 증가하고, 상호 간 위협 인식이 감소하는 등 인식 수렴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 한미일 안보협력 지지 증가, 대중국 견제 심리 반영된 결과

• 한미일 삼각 안보협력 - “강화해야 한다” 韓 72.4% ⽇ 37.9%
• 한국의 쿼드(QUAD) 참여, 양국 여론 상이하나 찬성 여론 확산세
• “한미일 안보협력으로 중국 견제” 韓 51.7%, 중국위협론이 대북견제론에 근접

양국의 대중국 위협 인식 확산과 상호간 위협 인식 감소는 안보협력에 대한 입장 변화로 이어졌다. 한국에서 한미일 삼각 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2021년 64.2%에서 2022년 72.4%로 8.2%p 증가하였고, 이에 반대하는 의견은 2021년 8.3%에서 2022년 5.6%로 2.7%p 감소하였다. 일본 측에서는 ‘어느 쪽도 아니다’라는 입장이 54.6%로 응답자 과반이 유보적 입장을 취했으나, 한국과 마찬가지로 강화에 찬성하는 의견은 2021년 36.0%에서 2022년 37.9%로 1.9%p 증가하였고 반대하는 의견은 2021년 11.2%에서 2022년 5.5%로 5.7%p 감소했다.

일본, 미국, 호주, 인도가 참여하는 쿼드(Quad)에 한국도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하여는 한국 측 응답자의 53.0%가 찬성했다. 일본 측에서는 ‘모르겠다’라고 답한 유보적 입장이 54.9%로 과반이었고, 그 밖에는 반대 의견(29.2%)이 찬성 의견(15.5%)에 비해 우세했다. 다만 반대 의견은 2021년(39.4%) 대비 10.2%p 하락하고, 찬성 의견은 2021년(11.4%) 대비  4.1%p 상승하여 일본 측에서도 협력 강화에 동조하는 견해가 점차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긍정적 입장을 보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었을 때, 한일 양국에서 모두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한국 56.4%, 일본 7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에서는 그 뒤를 이어 “중국의 부상을 견제할 필요가 있으므로”라는 응답이 51.7%로, 중국 위협론이 대북 견제론에 거의 육박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대북 견제론은 2021년(71.4%) 대비 15.0%p 하락한 반면 중국 위협론은 2021년(40.0%) 대비 11.7%p 상승하여, 한국인의 대 중국 인식이 눈에 띄게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일본 측에서는 “미국 중심의 지역 안보 협력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라는 답변이 44.6%로 대중 견제론 42.7%를 제치고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 대중 정책에서 한일 양국 의견 수렴 경향 두드러져

• 중국과의 경제관계 제한: “찬성” 韓 62.0% ⽇ 47.5%
• 중국 내 인권탄압 강경 대응: “동참해야 한다” 韓 60.7% ⽇ 39.6%
• 미중 갈등의 원인: 한일 양국 모두 “미중 쌍방 > 중국 > 미국”

한일 양국의 여론은 중국과 관련된 주요 국제정치 현안에서 유사한 양태를 나타냈다. 현재 미국과 일본에서 나타나는 중국과의 첨단기술 등 무역 제한 움직임과 관련하여, 중국과의 경제 관계 제한에 찬성하는 여론은 한국 측 62.0%, 일본 측 47.5%로 나타나 각국 내의 반대 여론(한국 26.7%, 일본 13.1%)을 압도했다.

중국 내 인권탄압 문제에 대한 미국 등 민주주의 국가들의 강경 대응과 관련하여, 한국 측에서 ‘동참해야 한다’라는 여론은 60.7%, ‘동참할 필요 없다’라는 여론은 27.5%로 전년(동참해야 한다 61.0%, 동참할 필요 없다 24.8%) 대비 큰 차이가 없었으며 동참 여론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한편 일본 측에서는 동참 의견이 39.6%, 필요 없다는 의견이 19.5%로 나타났다. 필요 없다는 의견은 전년(20.5%) 대비 큰 차이가 없었으며, 특기할 사항으로는 ‘모르겠다’라는 유보적 입장이 2021년(44.4%) 대비 4.6%p 하락하여 39.8%를 기록했고 동참 찬성 입장은 전년(35.0%) 대비 4.6%p 상승한 39.6%를 기록했다. 이는 유보적 입장을 취했던 일본 국민 중 일부가 찬성 입장으로 선회한 결과로 풀이된다. 일본 측의 유보적 입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점을 감안했을 때, 중국 인권탄압 문제에 관한 대응 측면에서도 양국의 여론이 대체로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미중 갈등의 원인 소재를 묻는 문항에서는 한일 양국 모두 ‘미중 쌍방에 원인이 있다’라는 응답이 가장 우세했다(한국 55.4%, 일본 44.1%). 중국을 원인으로 지목한 응답자 비율은 한국에서 29.8%로 전년(25.0%) 대비 4.8%p 증가했으며, 일본에서도 34.4%로 전년(32.8%) 대비 1.6%p 증가했다. 한일 양국 국민은 미중 갈등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상당한 유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인식 및 정책 선호에서 나타나는 한일 양국의 여론 동조화 경향은 민주주의, 첨단 기술, 무역 등 동아시아 지역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의제들에 관하여 양국의 지도자와 정부가 긴밀히 협력하는 한편, 보편적 가치를 침해하려는 시도에는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양국 국민의 요구를 시사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