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초당에서
상태바
다산초당에서
  • 조동일 논설고문/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승인 2021.12.19 1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동일 칼럼]_ 논설고문 칼럼

얼마 전에 전남 강진의 다산초당(茶山草堂)을 다시 찾았다. 올라가는 길이 너무 험해 고생을 하다가, 곧 다듬겠다고 하는 팻말을 군수의 명의로 붙여놓은 것을 보았다. 너무 잘 다듬어 자연을 훼손하고, 다산 정약용(丁若鏞)이 겪은 어려움을 잊게 하지 않을까 염려한다. 

정약용이 거기 가서 머문 것은 불운이면서 행운이었다. 궁벽하고 험한 곳에서 귀양살이를 하는 것은 불운이지만, 빼어난 자연을 스승으로 삼고 힘들게 오르내리면서 좋은 공부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행운이었다. 그런데 불운을 줄이려고만 하고, 행운을 살리려고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불운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 외가인 윤선도(尹善道) 집안의 후원을 받고, 제자들의 도움을 얻었다. 산중에 집을 세 채나 지었다. 먹거리를 공급하고, 조석을 돌보아주는 사람이 있었다. 책을 2천권이나 가져다 놓고, 사례를 열거해 지식을 축적하는 방식으로 글을 썼다. 그 모든 것이 불운을 행운이게 하지 않고, 행운을 불운이게 했다. 

배운다는 것은 셋이다. 자연에서 배우고, 책에서 배우고, 사람에게서 배운다. 상팔자의 선민, 요즈음의 유행어로 말하면 금수저는 고명하다는 스승, 으뜸이라는 책에서 유행에 앞서는 배움을 얻는 것을 자랑한다. 자연에서 배우는 것은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자연은 모르고 지내거나, 멀리서 바라보는 경치 이상의 무엇이 아니라고 여긴다. 유식이 무식이다. 금수저와는 반대인 흙수저, 농사짓는 농민이나 고기잡이를 하는 어민은, 스승도 책도 없어 교란당하지 않고, 나날이 부딪치는 자연에서 생생한 배움을 얻는다. 무식이 유식이다.

정약용은 궁벽한 곳으로 귀양을 간 불운이 행운이어서, 사람이 달라질 수 있었다. 농민이나 어민이 자연에서 얻는, 위에서 말한 놀라운 배움에 동참할 수 있었다. 책을 읽어서는 가능하지 않은 각성을 얻고, 생각의 수준이 크게 높아질 수 있었다. 정약용의 형 정약전(丁若銓)은 더 먼 섬으로 귀양 가서, 어민을 스승으로 삼고 바다의 어류에 관한 배움을 얻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으면서 그런 시도를 조금 했다. 아우 정약용은 딴판이었다. 

정약용은 책에서 배우는 장기를 어려운 환경에서도 뛰어나게 발휘한다고 알리려고 하고, 자연에서 배울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춘 것은 무시했다. 애민(愛民)의 한시를 오랜 표현을 차용해 지은 것이 높이 평가되기나 한다. 농어민이 부르는 민요가 그 자체로 지닌 가치는 알려고 하지 않았다. 민요를 한글로 적거나, 한문으로 직접 옮기려고 하지도 않았다. 농사나 어업이 어떻게 이루어져, 창조주권을 발현하며 사는 보람이나 즐거움을 얻는지 탐구하려고 하지 않았다. 하늘과 땅, 산과 들, 바다와 육지, 계절의 변화, 바람과 비, 농사와 어업, 이 모든 것들이 무엇을 말해주는지, 그 속에 어떤 이치가 있는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다산초당에서 이룩한 많은 저작 가운데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와 <목민심서>(牧民心書)가 특히 널리 알려졌다. 이 두 책은 사람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사례열거를 아주 번다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금씩 조심스럽게 말한 공통점이 있다. 마땅히 할 일이 무엇인가는 선진(先秦) 유학의 이상에 근거를 두었다. 아주 소박한 발상이다. 열거한 사례에 중국과 한국의 것을 망라하고, 일본 것까지 들어 감탄을 자아낸다. 과도한 지식이다. 어린 아이가 몸에 맞지 않은 온갖 좋은 옷을 걸친 것과 그리 다르지 않다고 하면 말이 지나친가? 

소박한 발상과 과도한 지식 사이에 심한 불균형이 있다. 지식 열거로 발상의 타당성을 입증하려고 하는 것은 어느 경우에든 마땅한 방법이 아니다. 고증학을 숭상하다가 미시적인 논의에 사로잡혀 길을 잃고 헤매지 말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치의 근본을 따져야 한다. 발상 또는 주장의 핵심을 자기 말로 분명하게 가다듬어야 한다. 

<논어고금주>와 <목민심서>에서 각기 편 주장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이 의문을 의식하고 대답을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 양쪽의 주장이 서로 다른 것을 명백하게 하고, 둘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각론을 넘어서는 총론의 과제인데 내버려두었다. 얼굴을 들어 철학으로 나아가는 거시의 안목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안하지만 내가 대신 나선다. <논어고금주>에서는 공자가 제시한 인(仁)의 보편적 의의를 높이 평가하면서 ‘人人相愛’를 말하고자 했다. <목민심서>에서는 목민(牧民)의 관장(官長)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고 하면서 ‘官長愛民’을 강조해서 말했다. ‘人人相愛’와 ‘官長愛民’은 어떤 관계인가?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으려면, 고찰의 범위를 (가) ‘萬物相愛’, (나) ‘人人相愛’, (다) ‘官長愛民’, (라) ‘士愛萬物’로 넓혀야 한다.

(가)는 자연에서 배워 얻는 으뜸가는 앎이다. 농민이나 어민이 앞서서 획득해, 무식이 유식임을 입증한다. (가)는 대등이기만 하고, 차등은 아니다. (나) 이하는 (가)의 특수한 양상이면서, 차등을 갖추어 딴 길로 나아간다. (나)는 대등이지만, 차등이 끼어들어 혼선을 빚어낸다. (다)는 (나)의 연장이나 상향이라고 할 수 있으나, 관민(官民)의 차등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어, 대등이 파괴된다. 관장(官長)이 애민(愛民)의 정신을 가지라고만 하면 세상이 잘 되는 것은 아니다. 관민의 차등을 부정하고, 관권의 횡포를 용납하지 않는 민중의 저항을 말해야 한다. 애민관(愛民官)의 성례를 잔뜩 열거해 명예심을 부추기는 것보다, 항거민(抗拒民)의 본보기를 많이 들어 두려움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라)는 글을 써서 모든 이치를 밝히는 행위이다. 유식을 자랑하면 차질이 생긴다. 무식이 유식인 줄 알고, (가)에 대한 인식을 깊고 넓게 하는 것이 가장 긴요하다. 농업과 어업이 (가)를 이루어, 농민과 어민이 (나)의 관계를 가진다. 농업과 어업의 관계를 아는 것은 자연이 주는 배움이다. 정약용은 좋은 기회를 얻었으므로 새로운 체험을 깊이 있게 고찰했어야 했다. 납작 엎드려 하던 공부만 더 하지 말고, 일어섰어야 했다. 생각의 차원을 높여 득도의 경지에 이르렀어야 했다. 안타까운 마음에서 같은 말을 더 강조해 다시 한다.

정약용은 책에서 배우는 것이 가장 소중하다는 생각을 버리지 않았다. 독서 내력을 자랑하면서 남의 말 인용을 너무 많이 하고, 자기 말은 뒤에 조금 곁들이는 학풍을 극한까지 밀고 나갔다. 정약용을 지나치게 숭앙해 그 잘못이 더 커지고 있다. 인용을 번다하게 하고 지식을 잔뜩 열거하면 대단한 업적이 된다는 착각이 학문을 멍들게 한다. 


조동일 논설고문/서울대학교 명예교수·국문학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한국학대학원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서울대 명예교수이자 학술원 회원으로 계명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중국 연변대학 명예교수이기도 하다. 주요 저서로 <서사민요연구>, <한국문학통사>(전6권), <우리 학문의 길>, <인문학문의 사명>,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전3권), <대등한 화합: 동아시아문명의 심층> 등 다수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