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람들의 자서전과 일기로 보는 ‘진짜’ 조선의 모습!
상태바
조선 사람들의 자서전과 일기로 보는 ‘진짜’ 조선의 모습!
  • 이현건 기자
  • 승인 2021.10.04 15: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조선 사람들, 자기 삶을 고백하다 | 정우봉 지음 | 세창출판사 | 332쪽

 

현대의 우리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오늘 하루 있었던 일상을 기록한다. 그런데 이런 기록 문화가 21세기에 갑자기 생긴 걸까? 조선시대에도 하루하루 있었던 일을 쓰는 일기, 자기 삶을 돌아보며 정리한 자서전이 있었다. 거기에 담긴 조선 사람들의 삶과 마음은 오늘날 우리가 일기에 담는 마음과 다르지 않다. 그동안 널리 알려지지 못했던 평범한 조선 사람들의 이야기. 과연 조선 사람들의 기록에 담긴 진짜 조선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이 책은 조선 사람들의 가장 내밀한 감정과 생활이 담긴 자서전과 일기로 보는 ‘진짜’ 조선의 모습을 담았다. 각계각층 다양한 조선 사람들의 곡진한 삶, 조선 사람들의 가장 진솔한 고백을 담은 기록이 가장 진솔한 역사가 되어 그동안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 준다. 

특히 저자는 양반 사대부뿐 아니라 이외의 계층, 여성 등의 소수자들도 역사의 무대로 끌어들여 그들이 겪었던 삶의 이력들을 생생하게 펼쳐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역사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삶에 담겨 있는 다채로운 모습들도 부각시켰다. 일부 장면으로 들어가 보자.

왕실을 둘러싸고 벌어진 정치 서스펜스…소현세자의 며느리 분성군부인 허씨, 두 아들이 겪은 유배의 고난을 고백하다

“두 공자가 산소에 계시다고 하니 보려고 왔습니다.”
“우리가 어디를 갔겠는가? 임성군은 병이 들어 안에 있으니, 보여 주겠다.”
“계신 줄만 알면 굳이 뵐 필요가 있겠습니까.”
“… 누가 너로 하여금 와서 보라 하더냐?”
“영상이 저를 불러 두 분이 계신지, 안 계신지 보고 오라고 하셨습니다.”

숙종 초기, 집권 세력이었던 남인을 견제하기 위해 서인은 민간에 퍼진 유언비어를 이용하기로 한다. 바로 “소현세자의 손자인 임창군이 진정한 왕통이니, 숙종 대신 임창군을 임금으로 추대해야 한다”는 괴소문이었다. 직접적인 공모 사실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임창군과 임성군 형제는 결국 유배형에 처하게 된다. 소현세자의 며느리이자, 임창군과 임성군의 어머니인 분성군부인 허씨는 두 아들의 유배 길에 동행하여 가족이 겪은 고초를 낱낱이 기록해 『건거지』라는 책으로 엮었다. 아들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마음, 어떻게든 주인을 따라 유배 길에 동행하고자 하는 하인들과의 케미가 곳곳에서 돋보인다.

조선판 마음의 편지…이름 없는 하급 병사, 비겁한 장수 밑에서 겪은 온갖 부조리를 고백하다

“임금께서 무슨 소회가 있으면 아뢰거라 하시니, 어찌 소회가 없으리오? 아뢰면 장수 잡는 일이 될까 그냥 돌아왔으나, 전주에서 굶었던 일이야 어떤 병사가 잊겠는가?”

영조 대에 이인좌의 난이 벌어졌다. 난을 진압하기 위해 징집된 병사 중에 한 하급 병사는 훤히 보이는 고생길을 낱낱이 기록하고자 한다. 전투가 벌어진 일, 본받을 만한 상사를 만난 일, 비겁하고 무능한 상사 밑에서 온갖 고생은 다 한 일을 모두 담아 『난리가』라는 책을 남겼다. 여기 기록된 어떤 무능한 장수는 전투가 벌어지자 혼자 산 위로 내빼고, 행군할 때는 취타수를 괴롭혀 한껏 화려한 군악을 연주하게 했으며, 융통성이라고는 전혀 없어서 병사들의 밥도 제대로 챙겨주지 않았다. 놀라운 것은 동일한 인물이 『영조실록』에는 시대의 영웅으로 기록되었다는 사실이다.

 

넘실거리는 생사의 갈림길…과거 시험 보러 가던 장한철, 망망대해에서 표류하게 된 기구한 사연을 고백하다

“내가 여기 있소? 그대들은 어찌 죽었다고만 여기고서, 살아 있으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오?” 비로소 내가 온전한 것을 알고서, 모두 갑자기 나를 끌어안고 목을 놓아 곡을 했다.

제주에 살던 장한철은 한양에 과거 시험을 보러 가기 위해 뱃길에 올랐다. 기출문제나 다시 보면서 마무리 공부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폭풍을 만나 타고 있던 배가 난파되고 만다. 외딴 섬에 떨어진 장한철과 뱃사공들. 울고불고 망연자실한 사람들 속에서 장한철은 침착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물과 먹을거리를 구해 생존하기 시작한다. 장한철은 표류하는 동안 왜구를 만나 약탈당하기도 하고, 고래를 보며 놀라기도 하는데, 이 모든 순간을 기록으로 남겼다. 장한철의 『표해록』은 흥미진진하고 웃픈 에피소드로 시종일관한다.

조선시대에도 어려운 연애…분원의 공인 지규식, 다사다난한 연애사를 고백하다

“수개월 동안 서울에 머물면서 많은 사람에게 유혹을 당하였다고 추악한 소문이 원중에 떠들썩하니, 이게 무슨 도리입니까?”
“이는 터무니없는 헛소문이다. 어찌 그럴 리가 있겠는가?”

분원은 궁에 납품하는 사기그릇을 만들고 시장에 유통하는 곳이었다. 궁에 납품하는 일을 담당했던 공인 지규식은 그곳에서 춘헌과 운루라는 여성을 만나 연애를 한다. 거의 매일 밤 찾아가 정을 나누고, 병간호도 하고, 진귀한 선물도 사다 준다. 동시에 여느 연인처럼 싸우기를 밥 먹듯이 했다. 춘헌은 도도하고 질투심이 많아 지규식과 기 싸움을 자주 했고, 운루는 병환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지규식에게 풀었다. 이에 지규식은 화가 나서 이별했다가도 어느새 다시 찾아가 화해하곤 했다. 『하재일기』에 기록된 이 생생한 연애담은 조선 사람들 역시 지금의 우리와 똑같이 연애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