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반일 감정 줄고 반중 정서 커져…일본인, 반한 감정 여전
상태바
한국인, 반일 감정 줄고 반중 정서 커져…일본인, 반한 감정 여전
  • 이명아 기자
  • 승인 2021.10.04 0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론조사] 제9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 한·일 싱크탱크,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발표
- 한·일 상대국 호감도, 최악의 상황에서 탈피
- ‘중국이 더 싫어’…일본에 대한 인식은 개선

올해 한국인의 반일 정서는 줄어든 반면, 중국에 대한 반감은 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양 국민 모두 개선 필요성을 대체로 인정하면서도 실현 기대감은 다소 낮았다. 

한국 민간 싱크탱크인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손열)과 일본 비영리 싱크탱크인 ‘겐론NPO’(대표 쿠도야스시)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일 국민 상호 인식 조사' 보고서를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한국인 1천 명·일본인 1천12명 등 양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총 2천12명을 대상으로 8월 말~9월 초 시행해 28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한국인 비율은 지난해 12.3%에서 올해 20.5%로 올랐다. 부정적 인식은 71.6%에서 63.2%로 줄었다.

한국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아베 신조 정권의 수출 규제와 이에 따른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논란 등이 겹쳤던 2019년 급격히 악화했으며, 이런 상황이 반영된 지난해 조사에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71.6%에 달했다.

같은 기간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긍정적인 인식은 소폭 감소(25.9%→25.4%)했고, 부정적 인식은 다소 증가(46.3%→48.8%)했다. 그러나 양 국민의 과반수(한국 84.6%, 일본 54.8%)가 ‘현재 대립 국면을 벗어나야 한다’고 답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늘어난 이유로 양국 간 장기 교착상태에 대한 피로감과 중국 위협에 따른 협력 필요성을 꼽았다.

갈등 악화 요인이었던 경제 부문에서도 '한·일 양국 경제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34.3%에서 43.2%로 늘었다.

또한 한국인 응답자 45.8%가 '미래지향적으로 대립을 극복해야 한다'고 답했고, 최소한 정치적 대립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28.8%로 총 74.6%가 한일 관계 개선 필요성을 어느 정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인들도 과반인 54.8%(각 22.8%와 32%)이 이러한 인식을 보였다.

다만 두 나라 국민 모두 양국이 실제 협력할 수 있으리란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양국 응답자 모두 한·일 차기 정부에서 양국 관계가 개선되리란 전망이 크지 않았다.

다음 한국 정부에 대해선 한국 48.3%, 일본 46.1%가 "(한일 관계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 차기 정부에 대해서는 이보다 많은 과반(한국 52.3%, 일본 59.7%)이 같은 답을 냈다.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한국인 응답자 40.7%, 일본인 응답자 38.2%가 "빠른 시일 내에 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반면 한국인이 중국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나빠졌다. 중국을 향한 한국인의 부정적인 인식은 지난해 59.4%에서 올해 73.8%로 올랐고, 긍정적인 인식은 16.3%에서 10.7%로 감소했다. 긍정적인 인식 비율이 10%대로 내려간 것은 집계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중국에 좋지 않은 인상을 느끼게 된 이유(복수응답)로는 65.2%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등 중국의 강압적인 행동’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한국을 존중하지 않아서’(43.8%), ‘일당 지배 체제’(31.9%), ‘역사 갈등’(23.3%) 등이 뒤를 이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역사 왜곡과 군사 갈등 문제 등 기존 요인에 더해 최근 ‘김치공정’과 ‘한복공정’ 등 민간 외교 차원에서 논란이 커지면서 중국을 향한 인식은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과 일본을 한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한 비율은 1년 전 각각 44.3%, 44.1%로 비슷했으나, 올해는 61.8%과 38.6%로 차이가 벌어졌다. 특히 중국의 신장 위구르 지역 내 소수민족 탄압 등 문제에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은 일본(35.0%)보다 한국(61.0%)에서 2배 가까이 컸다.

◆ 제9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주요 결과 요약

■ 상대국 호감도, 최악의 상황에서 탈피

• 한국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 8.5%p 반등, 작년 최악의 상황에서 탈출
• 일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작년 반등 추세 유지
• 호감도 반등은 장기 교착상태에 피로감을 느끼고 안보, 경제 사안 등에서 상호 협력의 필요성을 느끼기때문
• 양국 모두 호감도 반등 주도층은 청년세대(특히 20대)이며 비호감 주도는 60대 이상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인상은 2020년 12.3%에서 2021년 20.5%로 상승하였고, 부정적 인상은 2020년 71.6%에서 63.2%로 감소하였다. 2019년 양국간 무역갈등과 지소미아 논란이 그대로 반영된 2020년 조사결과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한국은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2015년 이후 증가추세였으나(15.7%->21.3%->26.8%->28.3%->31.7%), 2020년 12.3%로 급락했다.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2015년 72.5%에서 2019년 49.9%로 하락추세를 나타냈으나, 2020년 71.6%로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2015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치솟았었다.

반면, 일본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긍정적 인상은 감소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일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지속적으로 하향추세였으나(29.1%->26.9%->22.9%->20%), 2020년 호감도가 5.9%로 반등을 나타냈고 올해도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양국 모두 호감도의 세대편차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주도세력은 청년세대인 반면 비호감도는 60대 이상에서높았다.

■ 한일관계 개선과 협력을 원하는 한국 측 여론, 강해졌다.

• 한국에서 한일관계 개선과 협력 의지는 급반등, 작년 최악의 상황에서 탈출
•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이루어가면 역사문제도 해결될 것이란 전망 늘어남(2020년 24.5% →2021년38.1%).
• 일본은 관계개선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협력에 대해 냉담한 기조 유지

한국은 2019년 양국 간 무역갈등과 지소미아 논란으로 관계 악화가 지속되는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강하게 표출하였다. 45.8%의 국민이 미래지향적으로 대립을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출했고, 적어도 정치적 대립은 피해야 한다는 견해(28.8%)를 내비치며 전체적으로 압도적 다수인 74.6%의 국민이 현재 대립국면을 벗어나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과반이 넘는 54.8%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

[그림4]를 보면 양국관계 악화의 주원인인 역사문제에 대해 “양국 간 미래지향적 협력관계(안보, 경제, 보건, 기후변화 등)를 만들어가면 역사문제도 서서히 해결될 것이다”라는 견해가 전년도(24.5%)에 비해 14%p 늘어난 38.1%인 점, 또한 “양국간 협력과 관계없이 역사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란 견해는 43.6%에서 21.7%로 급감한 점을 보면 한국 측 여론의 기류가 변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 상대국 대중문화 소비층이 상대국 호감도를 견인하는 중심 세력

• 일본에서 한국의 대중문화(한류)를 소비하는 층의 81.2%가 한국에 호감
• 한국의 경우, 일본 대중문화 소비층 67%가 일본에 호감
• 일본의 경우, 한류에 대한 충성도가 대단히 높음
“64.6%가 한일관계가 악화되어도 한류 소비 변함없음”
• 대중문화 소비 주도층은 청년세대(MZ), 일본의 경우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10% 이상 높음

상대국의 대중문화 소비 여부가 상대국 호감도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일본 대중문화를 즐기는 국민 비중은 18%로 나타났으나, 그중 약67%(“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10.4%)”, “대체로 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56.6%)”)가 일본에 호감을 느끼게 되었다고 답했다. 반면 일본내 한국 대중문화 소비층은 응답자의 34.5%로, 그중 압도적 다수인 81.2%(“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25.8%)”, “대체로 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55.4%)”)가 한국에 호감을 보였다.

한국인의 49.5%가 “(한일)관계가 악화되면 아무래도 일본 대중문화 소비에 주저하게 된다”라고 답하며 한일관계 악화 문제와 일본 문화 소비를 따로 떼어놓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일본인의 과반수 이상(64.6%)는 한일관계가 악화되더라도 한국 문화 콘텐츠를 즐기는 데는 변함이 없다는 소신을 밝혀 한류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보여줬다. 양국 대중문화 소비 핵심 계층은 2030대이며, 일본의 경우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1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韓, “일본과 안보, 경제 협력을 원한다” - 중국 요인이 작동하나?

• 한미일 군사안보 협력 및 쿼드 가입 지지, 경제협력에 대한 요구도 높아짐
• 일본에 대한 군사적 위협인식 하락(44%→38.6%) vs. 중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인식 급증(44.3%→61.8%)
• 한국의 대중국 여론 최악 상태(호감도 10.7%로 대일 호감도의 반토막 수준),
• 중국 위협인식 및 비호감도 증가와 한미일 협력 및 한일 협력 지지 간의 상관관계

한국에서 한미일 삼각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2020년 53.6%에서 2021년 64.2%로 증가하였다. “어느쪽도 아니다”가 35.4%에서 27.5%로 감소하였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미일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어느 쪽도 아니다”란 입장이 2020년 50.6%에서 2021년 52%로 소폭 증가하였고, 한미일 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 또한 2020년 38.9%에서 2021년 36%로 감소하였다.

특별히 한국에서의 인식 변화는 한미일 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줄어든 전년도 조사 결과와 반대되는 것으로, 일종의 V자 형태(V-Shape)를 보인다. 한국인의 대일 인식이 2019년도 조사 결과 이전으로 돌아갔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한일 경제 협력에 대한 요구도 다시 높아졌다((34.3%(2020) -> 43.2%(2021)).

일본과 안보 및 경제 협력을 원한다는 한국인의 인식 변화에는 한국의 대중국 여론 악화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 [그림12]에서 보듯, 2021년 한국의 대중국 여론은 대일 호감도의 반토막 수준인 10.7%로 최악을 기록했다. 지난 3년간, 점점 더 많은 비율의 응답자들이 ‘(중국이) 한국을 존중하지 않는다(43.8%)’라는 이유를 대중 비호감 인식의 원인으로 답한 반면, “사드 보복 등 중국의 강압적인 행동 때문에(65.2%)”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꾸준히 줄었다. 그러나 한국의 중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 인식이 44.3%에서 61.8%로 급증하였고([그림15]), 일본, 미국, 호주, 인도가 참여하는 쿼드(Quad)에 동참해야 한다는 의견 또한 과반수에 달했다(51.1%)는 점에서, 한국이 중국을 위협요인으로 인식하는 정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한일이 협력할 수 있는 잠재적 분야로 중국내 인권탄압 문제 또한 언급되었다. 한국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중국 내 인권탄압 문제에 강경대응해야 한다(61%)고 답하였다.

■ 차기 정부가 한일관계 개선해주리란 기대 낮음

• 한국의 차기정부/대통령에 대한 기대치– “개선되지 않는다” 韓 48.3% 日 46.1%
• 일본의 차기 정부에 대한 기대치– “개선되지 않는다” 韓 52.3% 日 59.7%
•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치 낮음- “빠른 시일 내에 할 필요없다” 韓40.7% 日38.2%

한일 모두 차기정부의 한일관계 개선에 낮은 기대치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응답자의 48.3%가 차기정부에도 한일관계가 개선되지 않을 거라고 답했으며 동일한 답변이 일본에서는 52.3%에 달했다.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치가 낮았으며, “빠른 시일 내에 (정상회담을) 할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의 비중이 한일 각각 40.7%, 38.2%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한일간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 협력에 대한 기대치는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