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방임적 진화를 내세운 자본의 폭력으로부터 인간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윤리 선언
상태바
자유방임적 진화를 내세운 자본의 폭력으로부터 인간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윤리 선언
  • 김한나 기자
  • 승인 2021.02.14 2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진화와 윤리: 19세기 자유주의 과학인의 멘토 토마스 헉슬리의 윤리 선언 | 토마스 헉슬리 지음 | 이종민 옮김 | 산지니 | 192쪽

이 책은 과학과 윤리의 문제를 제기한 고전 「진화와 윤리」의 최초 완역판으로 19세기를 대표하는 자유주의 과학인 토마스 헉슬리가 죽음을 두 해 앞두고 옥스퍼드대학의 로마니즈 강연에서 연설한 원고 내용이다. 19세기를 빛낸 명문장으로 알려진 「진화와 윤리」는 로마니즈 강연 원고에 헉슬리가 ‘프롤레고메나(Prolegomena)’를 달아 기초적이고 개괄적인 몇 가지 문제를 보충하여 설명했다.

19세기는 흔히 과학의 시대라고 불리지만 사회, 정치, 교육, 법률 그리고 종교 분야의 논의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사고되어야 하고, 부인할 수 없는 증거를 통해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한 과학인 헉슬리의 존재가 없었다면, 아마도 진정한 과학의 시대는 다음 세기로 연기되었을지 모른다. 이러한 맥락에서 헉슬리를 19세기 자유주의 과학인의 멘토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헉슬리의 정력적인 활동 덕분에 과학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사회의 인정을 받는 학문으로 자리하게 되었고, 후배 과학인들은 이러한 지적 풍토의 전환 속에서 과학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여유를 누리게 되었다. 

사실 토마스 헉슬리는 ‘다윈의 불도그’라고 불릴 정도로 일생 동안 사회 발전을 위해 과학지식, 과학적 사유방법 그리고 기술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실천했는데, 이 강연에서는 그와 상반되어 보이는 윤리의 문제를 제기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헉슬리는 ‘잭과 콩나무’ 이야기를 인간사회에 적용하여, 콩이 자연계의 생존경쟁을 통해 거대한 콩나무로 성장하는 과정은 인간이 자기주장, 동물적 본성 등의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자연계에서 이루어지는 생존경쟁에서 승리하는 과정을, 거대한 콩나무가 만든 하늘의 세계는 인간이 건설한 고도의 문명사회로 비유하였다. 그런데 인간사회 내부에는 자연 상태에서 생존경쟁을 벌이던 시절의 우주적 본성이 잔존하여 현재의 문명사회를 위기에 처하게 만들 수가 있는데, 이런 위기적 상황을 방지하고 문명사회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생존경쟁 방식과 차원을 달리하는 인간사회의 윤리적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근대 과학문명이 발전하고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세상은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듯 보였지만 당시 유럽의 국가들에서 해방된 노동자들의 삶은 이전 시대 농노들보다 평균 수명이 줄어들 만큼 힘겨웠을 뿐 아니라 신분도 프롤레타리아라는 도시 극빈층으로 전락했으며, 소년 소녀들은 성인의 1/3도 되지 않는 급여를 받고 착취를 당하는 등 18세기의 낙관적 기대감 속에 감춰진 어두운 그림자가 현실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과학의 진화와 발전이 인류의 이상 실현과 항상 발을 맞추는 것은 아닌 것이다. 과학을 단순한 실용적인 수단을 넘어 인간의 삶과 사회를 의미 있게 만들어나가는 문화로 인식하는 헉슬리가 윤리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었다.

「진화와 윤리」는 유럽사회의 거대한 전환이 일어나던 19세기 후반, 자유방임적 진화를 내세운 자본의 폭력으로부터 인간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윤리 선언이었다. 그것은 자신이 일생 헌신하던 과학과 진화의 세계가 적절한 통제와 반성 없이는 오히려 인간사회를 위기로 몰아갈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슬픈 자기고백이었다. 그러나 헉슬리는 진보에 대한 열망과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다. 비록 그 순간이 인간사회의 우주 과정에서 하강하기 시작하는 시점이라 하더라도, 인간의 윤리적 본성이 그에 저항할 수 있다는 데 대한 일말의 기대마저 놓아버리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헉슬리는 그러한 과정을 윤리의 진화라고 믿었던 것이다.

생존경쟁과 우승열패의 진화원리가 인간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오늘날에는 국가와 민족을 초월한 신자유주의적 무한경쟁만이 강조되어 구성원들이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사회 보호망마저 위태로운 실정이다. 아인슈타인의 과학적 성취가 핵무기의 발견으로 이어졌듯이 윤리의식 없는 과학의 발전은 대재앙의 전조가 될 수 있다. 일본 원전 참사를 겪은 21세기 이 시대에, 100여 년이 지난 고전 『진화와 윤리』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