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관한 이론이란 무엇인가?’
상태바
‘인간에 관한 이론이란 무엇인가?’
  • 김한나 기자
  • 승인 2021.02.07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망고와 수류탄: 생활사 이론 | 기시 마사히코 지음 | 정세경 옮김 | 두번째테제 | 304쪽

인생에서 맞닥뜨리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의 재현 불가능한 일회적 행위와 선택, 우리가 이런 상황과 행위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 책은 저자의 주된 연구 분야인 오키나와 사람들의 동화와 아이덴티티 문제에 대한 연구와 생활사 방법론을 다루면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저자가 얻게 된 통찰과 문제의식, 이를 바탕으로 ‘인간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이 책에는 사소한 일상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실재에 좀 더 다가가고자 하는 저자 특유의 스타일대로 때로는 에세이처럼, 때로는 사회학 방법론 연구 논문처럼 주제에 따른 여러 글들이 담겨 있다. 이렇게 가벼운 이야기와 이론적 이야기가 교차하는 가운데 우리는 구술을 청취하는 현장에서 벌어진 에피소드를 모은 가벼운 이야기를 읽다가도, 일본 사회학에서의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문제점과 이야기를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여러 논쟁들을 지켜볼 수 있다.

저자가 이 책에서 문제 삼는 여러 사회학적 이론의 문제들은 현재 한국에서도 충분히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것들이다. 흔히 객관성을 담보했다고 여겨지는 양적조사와 객관성보다는 어떤 주관적인 내용이 담긴 해석거리로 여겨지는 질적조사 간의 차이에 관해 저자는 생활사 조사를 통해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으며, 각각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방식’을 단순히 해석하는 식의 논의에서 벗어나, 이를 현실에 대한 다양한 기술 가능성을 넘어서 실재에 다가가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을 통해 저자는 사회학 이론이 쓸모 있음을, 이에 더해 구술 청취라는 단순한 조사 방법으로도 개인과 구조 간의 이분법을 좀 더 현실과 맞닿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즉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이야기 해석으로 전락해 버린 구술사 조사에 다시금 현실을 되돌려주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오랜 기간 진행했던 오키나와와 피차별 부락의 구술조사와 여러 연구자들이 행한 소수자 구술청취조사의 현장에서, 이 현장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가운데 점차 분명해진다. 또한 저자는 구술자의 구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복수複數의 시간에 집중하면서 점차 실제 현실이 그러했다는 것, 구술자가 말하는 것이 실재하는 현실이라는 점을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이 자세하게 드러낸다. 이렇게 저자는 인간에 관한 이론을 만들어가는 한 과정으로 사회학의 의미를 다시금 우리에게 새롭게 보여준다.

그러면 ‘망고와 수류탄’이란 제목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을까? 오키나와에서 행한 구술청취조사에서 한 할머니가 70여 년 전 오키나와에서 벌어졌던 집단자결 사건을 구술하는 과정, 이 과정 속에서 구술자 할머니가 저자와 학생들에게 먹이고자 손수 준비한 다디단 망고. 이렇게 복수의 시간 속에서 중첩되는 현실은 이야기가 진실이라고, 그 낯섬을 통해 우리에게 지나간 역사를 알려 주고 그 의미에 대해 곱씹게 한다. 저자는 이렇게 우리 앞에 불쑥 나타나는 실재와 우리가 이를 받아들이게 되는 관용의 원칙(데이빗슨)이 우리가 타자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또한 개인에게 지워지는 책임이라는 것이 구조를 통해 강제된다는 점, 개인에게 손쉽게 전가하는 사회적 시각들의 폭력성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할애해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오키나와 문제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관한 이론’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또한 구술된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진 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구조 속에서도 잘 살아가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는 각 개인들,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공감을 표하고 연대할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찾을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