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전기에너지 활용한 친환경·저비용 신약 합성법 개발
상태바
UNIST, 전기에너지 활용한 친환경·저비용 신약 합성법 개발
  • 김한나 기자
  • 승인 2020.07.26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성과]
- 박철민 교수팀, 전기분해 이용한 질소고리화합물 합성

최근 국내 연구진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신약 합성법을 개발했다.

UNIST 자연과학부 박철민 교수 연구팀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질소고리화합물’의 하나인 ‘인돌로파이란’(indolopyran)을 만드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금속 촉매나 고온 등의 오염을 유발하는 요소를 뺀 데다가, 공기 중에 풍부한 산소를 이용해 반응을 유도한 합성법이다.

▲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인돌로파이란 합성 과정 및 인돌로파이란이 포함된 생리활성물질
▲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인돌로파이란 합성 과정 및 인돌로파이란이 포함된 생리활성물질

질소고리화합물은 최근 FDA에 승인을 받는 약품 중 약 60%에 포함된 물질이다. 고리 형태로 결합한 탄소 원자 사이에 질소 원자가 끼어 있는 구조인데, 여기에 작용기를 결합해 약품을 합성한다. 고리의 모양이나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합성 난이도가 다르다.

항암, 항바이러스, 항면역 등의 효과가 있는 유기화합물의 핵심구조 중 하나인 ‘인돌로파이란’은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알려진 합성법이 제한적이다. 주로 금속을 이용한 합성법이나 높은 온도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신약 개발에 필요한 선도물질과 대량합성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선 더욱 친환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합성 방법도 많지 않고 그마저도 시약과 금속 촉매가 필요하거나 고온에서만 합성할 수 있다.

박 교수 연구팀은 전극의 음극과 양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통해 ‘인돌(indole)’과 ‘활성 메틸렌(methylene)’이라는 두 물질을 짝지어 인돌로파이란을 합성했다. 상온에서 공기 중의 산소를 시약으로, 금속 대신 아이오다이드를 촉매로 사용했다. 반응이 일어나려면 ‘탈양성자화 능력’이 있는 별도의 시약(염기)이 필요한데, 이 합성법은 공기 중의 산소를 예비 염기(pre-base)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정전압 모드를 이용한 합성법으로, 높은 전압에 의한 작용기 손상 문제도 극복했다.

최수빈 자연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주로 한 쪽 극만 활용하는 합성법과 달리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하는 반응 모두를 이용해 복잡한 구조를 갖는 인돌로파이란을 합성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밀도범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과 다양하게 디자인된  반응 경로 규명 실험을 수행해 인돌로파이란 생성 원리를 찾았다. 전극에서 아이오딘과 산소가 각각 산화 및 환원돼 아이오딘 라디칼(Radical)과 슈퍼 옥사이드 라디칼이 만들어지고, 이때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라디칼이 염기로 작용해 반응이 진행된다. 인돌과 활성메틸렌 화합물의 ‘커플링’ 반응 후에 만들어진 중간물질은 최종적으로 고리 모양이 만들어지는 ‘전자고리화반응’을 통해 인돌로파이란이 완성된다.

또 연구팀은 규명된 원리를 바탕으로 동일한 합성법을 적용해 산소 고리 물질인 ‘다이하이드로퓨란’ 골격체(약물에 작용기가 결합하는 뼈대)도 합성했다. 인돌 대신 엔아민(enamine)을 출발물질로 사용해 오각형 탄소 고리에 산소가 포함된 ‘다이하이드로퓨란’이 합성한 것이다.

▲ 박철인 교수 연구팀. 박철민교수(좌측하단),  최수빈연구원(제1저자, 중앙)
▲ 박철인 교수 연구팀. 박철민교수(좌측하단), 최수빈연구원(제1저자, 중앙)

박철민 교수는 “기존 합성법과 달리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유기합성 방법을 적용해 질소고리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었다”며 “반응경로를 알아내 다양한 출발물질로부터 여러 고리 모양의 골격체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본 연구의 합성법은 온화한 합성조건(고온, 고압 등이 없는 조건)으로 생리활성물질을 합성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어, 생리활성물질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최상위 저널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주목받는 논문으로 선정돼, 지난 7일자로 출판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