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욕망이 빚어낸 절망, 인류세
상태바
인간의 욕망이 빚어낸 절망, 인류세
  • 김한나 기자
  • 승인 2020.07.19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간소개]

■ 우리는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죽어가고 있다: 인간이 만든 절망의 시대, 인류세 | 김종갑, 김운하, 송은주, 허정림, 서윤호 외 5명 지음 | 들녘 | 328쪽

여러 달째 신문지면을 뒤덮고 있지만, 그럼에도 ‘코로나19 팬데믹’을 다시금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기후위기로 서식지가 줄어들어 야생동물이 인간의 서식지로 진출하게 되자 야생동물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인수공통감염병’ 증가의 원인이라면 기후위기의 파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결국 코로나19는 인류가 자초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자연재해는 사실 인재(人災)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이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인류세를 사는 우리의 자세여야 한다. 즉 인간은 좀 더 겸손해져야 하고, 생태계 파괴를 멈춰야 하며, 매일 행하고 있는 무지의 죄악에서 하루속히 벗어나야 한다. 두 권으로 나뉘어 출간되는 이 책은 건국대 인류세인문학단의 연구진들이 정리한, 그동안 인류가 지구에 가해온 엄청난 충격으로 말미암아 끔찍하게 바뀐 지질학적 상황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본다.

총 9장으로 구성됐으며,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안을 함께 고민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를 논의한다. 1장에서는 ‘인류세’의 의미를 돌아보며, 이를 둘러싼 쟁점들을 명쾌하게 규정함과 동시에 실천 원칙을 제시한다. 2장은 매우 독특한 형식의 토막 소설로 미래 지구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3장은 인류세 문학을 조명한다. 문학적 상상력에서부터 인류세의 위기를 넘어설 수 있는 길에 대해 알아본다. 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과학기술 발달의 명암을 다시금 조명해본다. 인간 중심의 이기심이나 자연 파괴적 정복이 아닌, 모든 만물에 대한 책임감 있는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 과학기술의 발달에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5장은 인간 중심으로 편성된 법질서에 대해, 인류세라는 시대적 명제는 비인간 존재들의 고유한 자리를 인정해야 함을 요구한다. 6장은 지구를 활성화된 시스템으로 간주하는 ‘가이아 이론’을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지구를 생명권과 비생명권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되는 자기조절 시스템으로 본다면 자연스럽게 탈인간중심주의로 귀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7장은 인간이 지구에 미친 해악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영화들을 집중적으로 재조명하면서,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어떠한 ‘교정적 깨달음’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8장에서는 여성 청소년 기후활동가 툰베리의 도전적인 언행이, 일부 몰지각한 집단에 의해 여성혐오, 아동혐오, 장애인혐오, 그리고 대중혐오라는 중층적 혐오의 표적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인류세라는 거대서사 속에도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러한 불평등 구조가 심화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 9장에서는 그동안 소홀히 취급돼왔던 인류세 시대의 언어의 영향과 역할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그 문제점과 올바른 언어생활을 제시하고 있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농업혁명이 인류의 재앙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농업의 시작이 인류에게 득보다는 실이 훨씬 많다는 주장으로, 우리가 당연하게 믿어왔던 사실을 새롭게 돌아본다. 그에 따르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과학기술의 발전도 몇십, 혹은 몇백 년 후의 세대들에게는 통제 불가능한 재앙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앙의 위험 요소로 빠짐없이 등장하는 것이 핵전쟁, 최첨단 과학기술, 그리고 기후위기다. 이제는 더 이상 낯설지 않은 말이 되어버린 ‘인류세’ 시대에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인공지능, 자율자동차,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의 출현으로 생활이 물질적으로는 윤택해질 듯이 보이지만 곧 인간은 기계, 비인간과의 공존을 고민해야 하는 실존적 위기와 함께 거대한 기후위기를 맞이해야 한다.

이러한 지구 시스템의 교란은 그레타 툰베리(Greta Tunberg)라는 16살 여성 청소년 기후활동가를 도래하게 했다. 툰베리는 지금 바로 여기에서 지구와 미래 세대를 위한 직접 행동주의를 실행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타임』지가 선정한 2019년의 인물 툰베리는 “인간 존재는 단독적이며 자족적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수권, 대기권, 암석권이라는 지구의 일부이자 다양한 비인간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강변한다. 그러면서 “착취와 파괴를 멈춰라! 당연하게 여기던 것을 의심하라! 지금, 바로 여기에서 행동을 시작하라!”고 외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